8주간의 유,무산소 복합운동 트레이닝이 흡연, 비흡연 남성의 신체조성, 심폐기능관련 변인, 혈중 지질 및 염증반응인자에 미치는 영향

본 연구는 현재 흡연을 하고 있는 사람과 흡연을 하지 않는 성인 남성을 대상으로 장기간의 복합운동 트레이닝을 실시한 후 피험자들의 신체조성, 심폐기능관련 변인, 혈중지질 및 급성염증반응인자들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를 알아보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연구의 대상은 20대 후반부터 40대 초반의 규칙적인 운동을 하고 있지 않는 흡연 및 비흡연 남성으로 흡연자의 경우, 흡연경력이 3년 이상이고, 하루 흡연량이 15~20개피 이상인 사람들이다. 연구대상자들은 비흡연+운동군(18명)과 흡연+운동군(16명) 두 집단으로 구분하였으며, 참여인원...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Ch'eyuk kwahak yŏn'gu pp. 51 - 59
Main Author 변재철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국민체육진흥공단 한국스포츠정책과학원 01.09.2008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598-2920
2233-7938
DOI10.24985/kjss.2008.19.3.51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본 연구는 현재 흡연을 하고 있는 사람과 흡연을 하지 않는 성인 남성을 대상으로 장기간의 복합운동 트레이닝을 실시한 후 피험자들의 신체조성, 심폐기능관련 변인, 혈중지질 및 급성염증반응인자들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를 알아보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연구의 대상은 20대 후반부터 40대 초반의 규칙적인 운동을 하고 있지 않는 흡연 및 비흡연 남성으로 흡연자의 경우, 흡연경력이 3년 이상이고, 하루 흡연량이 15~20개피 이상인 사람들이다. 연구대상자들은 비흡연+운동군(18명)과 흡연+운동군(16명) 두 집단으로 구분하였으며, 참여인원은 총 34명이었다. 유산소 운동은 트레드밀 달리기를 주로 하였고, 무산소 운동은 웨이트 트레이닝으로 상체와 하체의 8 종목을 선정하여 실시하였다. 8주간의 트레이닝 전과 후 신체조성 및 심폐기능관련 변인의 변화에서 체중, 체지방율, 안정시 및 최대심박수에서는 집단간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체중, 제지방체중 및 체지방율은 트레이닝 전, 후 간에서만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각각 p<.001, p<.05). 최대산소섭취량에서는 트레이닝 전에 비해 8주 후에 집단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1). 8주간의 트레이닝 전과 후에 혈중 지질은 집단내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지질요인 중에서도 특히, 고밀도 지단백(HDL)과 중성지방(TG) 농도는 집단간에서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각각 p<.001, p<.01). 그리고 혈중 염증반응인자의 모든 요인에서 8주간의 트레이닝 전과 후간에 집단내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염증반응인자 중에서도 hs-CRP, Fibrinogen 및 Adiponectin 농도에서는 집단간에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5).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d the effects of aerobic and anaerobic combined exercise training on body compositions, blood lipids and acute inflammatory markers in current smoking and never smoking men. Who participated in this study was thirty four males. Subjects aged 20-40 years who smoke 15-20 or more cigarettes/day and for at least 3 years or more than 3 years. Also, subjec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non-smoking+exercise and smoking+exercise group). All Subjects were do not any kind of regularly physical exercise training. All subjects participated in a supervised aerobic and anaerobic complex exercise training program during 8 weeks. The program consist of treadmill running and weight training for 8sites. Maximal oxygen uptake (VO2max) testing and 1 RM test were assessed at baseline and after 8 weeks of combined exercise training. Results: The combined exercise training program resulted in significant improvement in VO2max, and body fat was decreased significantly after exercise training. HDL-cholesterol level was increased significantly, and TC, LDL -cholesterol, TG levels diminished after exercise training. Moreover, blood C-reactive protein and Fibrinogen levels decreased significantly in two groups after 8 weeks. Otherwise,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s on adiponectin level between groups after combined exercise training during 8 weeks. KCI Citation Count: 10
Bibliography:G704-000739.2008.19.3.013
ISSN:1598-2920
2233-7938
DOI:10.24985/kjss.2008.19.3.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