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성관리자의 직무스트레스와 관리효능감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관리효능감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조직의 효율적 인적자원관리를 위해서는 여성관리자 본인과 조직구성원에게 영향을 미치는 여성관리 자의 직무만족을 높이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여성관리자의 직무스 트레스와 관리효능감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과 관리효능감의 조절효과를 탐색하였다. 연구대상은 여 성관리자 1,537명으로, 2014 여성관리자패널 자료를 활용하였다. 연구결과 수입, 직무스트레스, 관리 효능감은 직무만족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또한,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과의 관계에서 관리효능감의 조절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Saved in:
Published in | Seuteureseu yeon-gu (Online) pp. 327 - 331 |
---|---|
Main Authors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대한스트레스학회
01.12.2018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1225-665X 2234-1668 |
DOI | 10.17547/kjsr.2018.26.4.327 |
Cover
Summary: | 조직의 효율적 인적자원관리를 위해서는 여성관리자 본인과 조직구성원에게 영향을 미치는 여성관리 자의 직무만족을 높이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여성관리자의 직무스 트레스와 관리효능감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과 관리효능감의 조절효과를 탐색하였다. 연구대상은 여 성관리자 1,537명으로, 2014 여성관리자패널 자료를 활용하였다. 연구결과 수입, 직무스트레스, 관리 효능감은 직무만족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또한,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과의 관계에서 관리효능감의 조절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직무만족을 높이기 위해서는 여성관 리자의 관리효능감 증진이 인적자원관리 차원에서의 필요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Background: For efficient management of an organization’s human resource, it is crucial to increase the job satisfaction of women managers, since it is closely related to an individual’s job performance and company’s one. In this regard, this research explores how women managers’ job stress and managerial efficacy affect their job satisfaction.
Methods: This research uses the fifth wave of Korean Women Manager Panel (KWMP) collected in 2015. The 1,537 women managers who work at a company with 100 or more employees are employed and the data are analyzed using ordinary least squares (OLS).
Results: Income, job stress, and managerial efficacy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job satisfaction. In addition, managerial efficacy has a moderating effect between job-related stress and job satisfaction.
Conclusions: This study suggests the meaningful findings that in terms of boosting women manager’s job satisfaction, it is requested to promote their managerial efficacy at the human resource management level. KCI Citation Count: 1 |
---|---|
Bibliography: | https://doi.org/10.17547/kjsr.2018.26.4.327 |
ISSN: | 1225-665X 2234-1668 |
DOI: | 10.17547/kjsr.2018.26.4.3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