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50년대~1970년대 시의 시간 연구 ― 시간의 형성과 시간성을 중심으로

본 연구는 현실 인식 태도와 관련하여 시에 형성된 시간의 실재적 양상과 그 시간이 어떠한 시간성을 드러내는 방향으로 작동하는지를 1950년대부터 1970년대의 시를 통해 살펴보았다. Ⅱ장에서는 시에 형성된 시간이 현재를 중심으로 하여 나타난다는 것과 그 시간이 현실 인식 태도에 따라 다양한 시간성이 드러나는 방향으로 작동하는 방식에 대해 논의하였다. Ⅲ장에서는 1950년대의 전후시를 통해 전쟁으로 인해 단절된 현실의 일상적인 시간을 복원하고 있는 양상과 일상적, 선형적, 부정적 시간성의 양상을 살펴보았다. Ⅳ장에서는 1960년대의...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한국시학연구, 0(55) pp. 241 - 272
Main Author 윤의섭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시학회 01.08.2018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229-1943
2733-9440
DOI10.15705/kopoet..55.201808.009

Cover

Abstract 본 연구는 현실 인식 태도와 관련하여 시에 형성된 시간의 실재적 양상과 그 시간이 어떠한 시간성을 드러내는 방향으로 작동하는지를 1950년대부터 1970년대의 시를 통해 살펴보았다. Ⅱ장에서는 시에 형성된 시간이 현재를 중심으로 하여 나타난다는 것과 그 시간이 현실 인식 태도에 따라 다양한 시간성이 드러나는 방향으로 작동하는 방식에 대해 논의하였다. Ⅲ장에서는 1950년대의 전후시를 통해 전쟁으로 인해 단절된 현실의 일상적인 시간을 복원하고 있는 양상과 일상적, 선형적, 부정적 시간성의 양상을 살펴보았다. Ⅳ장에서는 1960년대의 시에 형성된 시간이 순수현재 시간의 양상을 보이고 있으며 목적성과 추상성을 갖는 시간성의 양상을 보인다는 점을 살펴보았다. Ⅴ장에서는 1970년대 시의 시간이 현실적이고 경험적인 현실로 제시되어 있어 시간성이 감각적으로 지각될 수 있는 실제적인 시간의 양상을 보여주고 있는 점을 살펴보았다. This study examined aspects of the times formed in the poetry in relation to the attitudes of the perception of reality. It also examined the poetry from the 1950s to the 1970s to find out how time is becoming temporal attribute. In Chapter II, revealed that the time formed in the poem is centered around the present. It also discussed the way in which that time reveals its Various temporal attribute in relation to the attitudes of the perception of reality. In Chapter III, examined at the aspects of restoring the ordinary times of reality interrupted by the war in poetry of post-war in the 1950s, and the aspects of daily, linear, and negative time perception. In Chapter Ⅳ, revealed it looked at the fact that the time formed in the 1960s showed a time of purely present, with temporal attribute has a purpose and abstraction. In Chapter Ⅴ, examined that the time of the poetry of the 1970s was presented as a realistic and empirical reality. temporal attribute shows aspects of real time that can be perceived as sensory. KCI Citation Count: 0
AbstractList 본 연구는 현실 인식 태도와 관련하여 시에 형성된 시간의 실재적 양상과 그 시간이 어떠한 시간성을 드러내는 방향으로 작동하는지를 1950년대부터 1970년대의 시를 통해 살펴보았다. Ⅱ장에서는 시에 형성된 시간이 현재를 중심으로 하여 나타난다는 것과 그 시간이 현실 인식 태도에 따라 다양한 시간성이 드러나는 방향으로 작동하는 방식에 대해 논의하였다. Ⅲ장에서는 1950년대의 전후시를 통해 전쟁으로 인해 단절된 현실의 일상적인 시간을 복원하고 있는 양상과 일상적, 선형적, 부정적 시간성의 양상을 살펴보았다. Ⅳ장에서는 1960년대의 시에 형성된 시간이 순수현재 시간의 양상을 보이고 있으며 목적성과 추상성을 갖는 시간성의 양상을 보인다는 점을 살펴보았다. Ⅴ장에서는 1970년대 시의 시간이 현실적이고 경험적인 현실로 제시되어 있어 시간성이 감각적으로 지각될 수 있는 실제적인 시간의 양상을 보여주고 있는 점을 살펴보았다. This study examined aspects of the times formed in the poetry in relation to the attitudes of the perception of reality. It also examined the poetry from the 1950s to the 1970s to find out how time is becoming temporal attribute. In Chapter II, revealed that the time formed in the poem is centered around the present. It also discussed the way in which that time reveals its Various temporal attribute in relation to the attitudes of the perception of reality. In Chapter III, examined at the aspects of restoring the ordinary times of reality interrupted by the war in poetry of post-war in the 1950s, and the aspects of daily, linear, and negative time perception. In Chapter Ⅳ, revealed it looked at the fact that the time formed in the 1960s showed a time of purely present, with temporal attribute has a purpose and abstraction. In Chapter Ⅴ, examined that the time of the poetry of the 1970s was presented as a realistic and empirical reality. temporal attribute shows aspects of real time that can be perceived as sensory. KCI Citation Count: 0
Author 윤의섭
Author_xml – sequence: 1
  fullname: 윤의섭
  organization: (대전대학교)
BackLink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379149$$DAccess content in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NRF)
BookMark eNrjYmDJy89LZWCQMzTQMzQ1NzDVz84vyE8t0dMzNdUzMjC0MLDQMzCwZGLgNDI3Nta1NDExYGHgNDQystQ1tDQx5mDgLS7OTDIwMDO3MDQwNuBkiDG0NDV43dryuqehztDSHMpUeNM9583cGSDq1YYWhTfTN7zaukbhUcNUqAhI7u2MqW9aNr7avAcm1rLxzVyg2iUT33SveTNnz-uFc3gYWNMSc4pTeaE0N4Omm2uIs4duXlFafHZyZnx-YiaYTs-Pzy6KdwwK8Yw3Ngd6y9jSmBS1ACMhaHA
ContentType Journal Article
DBID ACYCR
DOI 10.15705/kopoet..55.201808.009
DatabaseName Korean Citation Index
DatabaseTitleList
DeliveryMethod fulltext_linktorsrc
DocumentTitleAlternate A Study on The Time of The Poetry from The 1950s to The 1970s :Focusing on the formation of time and the temporal attribute
EISSN 2733-9440
EndPage 272
ExternalDocumentID oai_kci_go_kr_ARTI_3757039
GroupedDBID ACYCR
ALMA_UNASSIGNED_HOLDINGS
M~E
ID FETCH-nrf_kci_oai_kci_go_kr_ARTI_37570393
ISSN 1229-1943
IngestDate Tue Jun 10 03:11:08 EDT 2025
IsDoiOpenAccess true
IsOpenAccess true
IsPeerReviewed false
IsScholarly false
Language Korean
LinkModel OpenURL
MergedId FETCHMERGED-nrf_kci_oai_kci_go_kr_ARTI_37570393
OpenAccessLink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379149
ParticipantIDs nrf_kci_oai_kci_go_kr_ARTI_3757039
PublicationCentury 2000
PublicationDate 2018-08
PublicationDateYYYYMMDD 2018-08-01
PublicationDate_xml – month: 08
  year: 2018
  text: 2018-08
PublicationDecade 2010
PublicationTitle 한국시학연구, 0(55)
PublicationYear 2018
Publisher 한국시학회
Publisher_xml – name: 한국시학회
SSID ssib006781030
ssib044738283
ssib001151696
Score 3.3220227
Snippet 본 연구는 현실 인식 태도와 관련하여 시에 형성된 시간의 실재적 양상과 그 시간이 어떠한 시간성을 드러내는 방향으로 작동하는지를 1950년대부터 1970년대의 시를 통해 살펴보았다. Ⅱ장에서는 시에 형성된 시간이 현재를 중심으로 하여 나타난다는 것과 그 시간이 현실 인식 태도에 따라...
SourceID nrf
SourceType Open Website
StartPage 241
SubjectTerms 한국어와문학
Title 1950년대~1970년대 시의 시간 연구 ― 시간의 형성과 시간성을 중심으로
URI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379149
hasFullText 1
inHoldings 1
isFullTextHit
isPrint
ispartofPNX 한국시학연구, 2018, 0(55), , pp.241-272
link http://utb.summon.serialssolutions.com/2.0.0/link/0/eLvHCXMwnR09b9NA9NSWhQWBAPHVyqq4AVUOOdvX8422a1SQylSkDkiR7TgIRYqrKF0Yqg7pVBaGqh3SAaljh1aIrb-GMTH_gffO59rQVAQW3_O7l3fv_C5575z33hHy3IZNAhg-btqdSJgOi7gZWavSFG7MWTvhlmCYKLzxdnX9nfNmi2_NzYta1NLOIG4kn6bmlfyPVgEHesUs2X_Q7BVTQAAM-oUraBiuM-kYD1eloU9dTl1HAQFGLoiQSTGlY4WG0PhUBgjINSrdOsqjfhPIFUoKvEEUp16wUoZE8Cn0dV7YAJUicqjPFJFN_eCGz2kixUCP7DlUMk3tFYIGwAAn4TGA6960GpCXTEHStdowRZe8PhtcVU1wrDmvvQbRA3nVdLR8ul6lfjHC3KuwvGIpzyYCAB7ooGYBLEuaTBa1oxqpwoGLZ5vSKepKlb_0Rb0u7TRYxflD1-wRF02s3dHNtrN00GhwjsGErorflZUFLqMO_jDMv5UA7yYfWx-yVrffgo3O65YtsHSanCe3LCFUfMLGblj5wQz__qz8TPBI9HFy6t5xhA07bZV8Uk5XZ8-jwC-nigvOV6_fqTlfm3fJHb1rMrziK3CPzHWz--Q9Lv_J_nDyeW8XF3wBGvnBKD85xmZ8PjTyo_Px9zPjx96hxmDfz-PDfHgx_nZZ4oYX-QnQnn7JD87y0eXk6-gBefEq3AzWTZBGPZWbn479kCz0sl76iBhxhLYmSaQDk01lO-J2LJN2JxZW2rHc5DFZ_ju_J7MQPSW3q9X4jCwM-jvpIjiug3hJKekXWj98QQ
linkProvider ISSN International Centre
openUrl ctx_ver=Z39.88-2004&ctx_enc=info%3Aofi%2Fenc%3AUTF-8&rfr_id=info%3Asid%2Fsummon.serialssolutions.com&rft_val_fmt=info%3Aofi%2Ffmt%3Akev%3Amtx%3Ajournal&rft.genre=article&rft.atitle=1950%EB%85%84%EB%8C%80%7E1970%EB%85%84%EB%8C%80+%EC%8B%9C%EC%9D%98+%EC%8B%9C%EA%B0%84+%EC%97%B0%EA%B5%AC+%E2%80%95+%EC%8B%9C%EA%B0%84%EC%9D%98+%ED%98%95%EC%84%B1%EA%B3%BC+%EC%8B%9C%EA%B0%84%EC%84%B1%EC%9D%84+%EC%A4%91%EC%8B%AC%EC%9C%BC%EB%A1%9C&rft.jtitle=%ED%95%9C%EA%B5%AD%EC%8B%9C%ED%95%99%EC%97%B0%EA%B5%AC%2C+0%2855%29&rft.au=%EC%9C%A4%EC%9D%98%EC%84%AD&rft.date=2018-08-01&rft.pub=%ED%95%9C%EA%B5%AD%EC%8B%9C%ED%95%99%ED%9A%8C&rft.issn=1229-1943&rft.eissn=2733-9440&rft.spage=241&rft.epage=272&rft_id=info:doi/10.15705%2Fkopoet..55.201808.009&rft.externalDBID=n%2Fa&rft.externalDocID=oai_kci_go_kr_ARTI_3757039
thumbnail_l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lc.gif&issn=1229-1943&client=summon
thumbnail_m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mc.gif&issn=1229-1943&client=summon
thumbnail_s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sc.gif&issn=1229-1943&client=summ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