답전윤환 적합 품종 선발을 위한 윤환밭과 연속밭에서의 수수, 조의 병충해, 생육특성 비교

본 시험은 논으로부터 밭으로 윤환한 2년차인 윤환밭과연속밭에 수수 남풍찰 등 7품종, 조 삼다찰 등 7품종을 공시하여 윤환밭과 연속밭의 병충해 및 잡초발생 양상, 생육및 수량특성 차이 구명은 물론 답전윤환에 적합한 품종 선발 및 수수, 조의 체계적인 답전윤환 재배기술을 위한 기초자료를 확립하고자 수행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답전윤환 시 주요 병해는 2작물 중 조의 경우 전반적으로 연속밭에 비해 윤환밭에서 발병율이 높았으며, 수수는 연속밭에 비해 윤환밭에서 발병율이 낮았다. 시험품종 중 저항성 품종으로는 수수는 발병율이 20%...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pp. 224 - 232
Main Authors 유제빈, 윤성탁, 楊景, 예민희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작물학회 01.09.2017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0252-9777
2287-8432
DOI10.7740/kjcs.2017.62.3.224

Cover

Abstract 본 시험은 논으로부터 밭으로 윤환한 2년차인 윤환밭과연속밭에 수수 남풍찰 등 7품종, 조 삼다찰 등 7품종을 공시하여 윤환밭과 연속밭의 병충해 및 잡초발생 양상, 생육및 수량특성 차이 구명은 물론 답전윤환에 적합한 품종 선발 및 수수, 조의 체계적인 답전윤환 재배기술을 위한 기초자료를 확립하고자 수행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답전윤환 시 주요 병해는 2작물 중 조의 경우 전반적으로 연속밭에 비해 윤환밭에서 발병율이 높았으며, 수수는 연속밭에 비해 윤환밭에서 발병율이 낮았다. 시험품종 중 저항성 품종으로는 수수는 발병율이 20% 미만인 소담찰, 조는 발병율 10% 미만인 삼다찰과 삼다메로 판단된다. 2. 답전윤환 시 주요 충해인 조명나방 유충에 대하여 수수와 조는 연속밭에 비해 윤환밭에서 피해주율이 낮았다. 시험품종 중 저항성 품종으로 수수는 60% 미만인 동안메로 판단된다. 조는 모든 품종에서 입은 피해가 전체 잎 대비 피해율 2% 미만으로 생육 및 수량에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으로 판단된다. 3. 답전윤환 시 잡초 발생 양상은 전반적으로 초종수의차이는 없으나, 잡초의 개체수는 42% 감소하였고, 총건물중 또한 40% 감소하였다. 건생잡초의 개체수는연속밭 대비 윤환밭에서 65% 감소하였고, 습생잡초는연속밭 대비 윤환밭에서 35% 감소하여 습생잡초보다건생잡초의 감소폭이 컷다. 건생잡초의 건물중은 연속밭 대비 윤환밭에서 53% 감소하였고, 습생잡초는 연속밭 대비 윤환밭에서 35% 감소하여 습생잡초보다건생잡초의 감소폭이 컷다. 윤환밭과 연속밭에서 모두건생잡초인 바랭이가 우점하였다. 4. 답전윤환 시 각 작물별 수량은 수수는 연속밭에 비해윤환밭에서 90% 증가하였다. 조는 연속밭에 비해 윤환밭에서 감소하였으나, 통계적 차이는 없었다. 윤환밭에서 풋옥수수의 경우 찰옥4호가 789.0 kg/10a, 수수의 경우 동안메가 280.9 kg/10a, 조의 경우 다황메가 263.5 kg/10a로 가장 많았다. 5. 답전윤환에 적합한 품종은 병충해 피해 및 생육․수량을 기준으로 하면 수수에서는 병충해 피해가 비교적적고, 수량이 많은 황금찰, 동안메, DS202가, 조에서는 삼다찰, 삼다메, 다황메가 적합품종으로 판단된다.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disease, insect damage, growth, and yield characteristics of sorghum and foxtail millet in an organic paddy-upland rotation system at Anseong-si Gyeonggi province, Korea, in 2016. Seven varieties of sorghum and foxtail millet are used in this study. A rotational upland field and continuously cropped upland field were compared in order to establish an optimum cultural method and to select the best sorghum and foxtail varieties for a paddy-upland rotation system. The incidence rate of major diseases was higher for sorghum than for foxtail millet. Moktaksusu (22.8%) had the highest incidence rate among sorghum varieties. Hwanggeumchal (7.0%) had the highest incidence rate among foxtail millet varieties. DS202 (89.3%) was the most severely damaged by Ostrinia furnacalis larva, which is the main pest of sorghum and maize. The weed numbers, and the weed fresh and dry weights were lower in the rotational upland field than in the continuously cropped upland field. Futhermore, the number of weed plants decreased by 42% and the dry weight of weeds decreased by 33% in the rotational upland field compared to the continuously cropped upland field. The culm length of sorghum and foxtail millet were 7.9 cm, and 3.4 cm longer, respectively, in the rotational upland field than in the continuously cropped upland field. The average yield of sorghum per 10 a increased by 90% in the rotational upland field compared to continuously cropped upland field.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rotational upland field and the continuously cropped upland field for foxtail millet. The most suitable varieties for a paddy-upland rotation system were judged to be Hwanggeumchal, Donganmae, and DS202 for sorghum, and Samdachal, Samdamae, Dahwangmae for foxtail millet. Keywords : foxtail millet, growth and yield, paddy-upland rotation, sorghum KCI Citation Count: 1
AbstractList 본 시험은 논으로부터 밭으로 윤환한 2년차인 윤환밭과연속밭에 수수 남풍찰 등 7품종, 조 삼다찰 등 7품종을 공시하여 윤환밭과 연속밭의 병충해 및 잡초발생 양상, 생육및 수량특성 차이 구명은 물론 답전윤환에 적합한 품종 선발 및 수수, 조의 체계적인 답전윤환 재배기술을 위한 기초자료를 확립하고자 수행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답전윤환 시 주요 병해는 2작물 중 조의 경우 전반적으로 연속밭에 비해 윤환밭에서 발병율이 높았으며, 수수는 연속밭에 비해 윤환밭에서 발병율이 낮았다. 시험품종 중 저항성 품종으로는 수수는 발병율이 20% 미만인 소담찰, 조는 발병율 10% 미만인 삼다찰과 삼다메로 판단된다. 2. 답전윤환 시 주요 충해인 조명나방 유충에 대하여 수수와 조는 연속밭에 비해 윤환밭에서 피해주율이 낮았다. 시험품종 중 저항성 품종으로 수수는 60% 미만인 동안메로 판단된다. 조는 모든 품종에서 입은 피해가 전체 잎 대비 피해율 2% 미만으로 생육 및 수량에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으로 판단된다. 3. 답전윤환 시 잡초 발생 양상은 전반적으로 초종수의차이는 없으나, 잡초의 개체수는 42% 감소하였고, 총건물중 또한 40% 감소하였다. 건생잡초의 개체수는연속밭 대비 윤환밭에서 65% 감소하였고, 습생잡초는연속밭 대비 윤환밭에서 35% 감소하여 습생잡초보다건생잡초의 감소폭이 컷다. 건생잡초의 건물중은 연속밭 대비 윤환밭에서 53% 감소하였고, 습생잡초는 연속밭 대비 윤환밭에서 35% 감소하여 습생잡초보다건생잡초의 감소폭이 컷다. 윤환밭과 연속밭에서 모두건생잡초인 바랭이가 우점하였다. 4. 답전윤환 시 각 작물별 수량은 수수는 연속밭에 비해윤환밭에서 90% 증가하였다. 조는 연속밭에 비해 윤환밭에서 감소하였으나, 통계적 차이는 없었다. 윤환밭에서 풋옥수수의 경우 찰옥4호가 789.0 kg/10a, 수수의 경우 동안메가 280.9 kg/10a, 조의 경우 다황메가 263.5 kg/10a로 가장 많았다. 5. 답전윤환에 적합한 품종은 병충해 피해 및 생육․수량을 기준으로 하면 수수에서는 병충해 피해가 비교적적고, 수량이 많은 황금찰, 동안메, DS202가, 조에서는 삼다찰, 삼다메, 다황메가 적합품종으로 판단된다.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disease, insect damage, growth, and yield characteristics of sorghum and foxtail millet in an organic paddy-upland rotation system at Anseong-si Gyeonggi province, Korea, in 2016. Seven varieties of sorghum and foxtail millet are used in this study. A rotational upland field and continuously cropped upland field were compared in order to establish an optimum cultural method and to select the best sorghum and foxtail varieties for a paddy-upland rotation system. The incidence rate of major diseases was higher for sorghum than for foxtail millet. Moktaksusu (22.8%) had the highest incidence rate among sorghum varieties. Hwanggeumchal (7.0%) had the highest incidence rate among foxtail millet varieties. DS202 (89.3%) was the most severely damaged by Ostrinia furnacalis larva, which is the main pest of sorghum and maize. The weed numbers, and the weed fresh and dry weights were lower in the rotational upland field than in the continuously cropped upland field. Futhermore, the number of weed plants decreased by 42% and the dry weight of weeds decreased by 33% in the rotational upland field compared to the continuously cropped upland field. The culm length of sorghum and foxtail millet were 7.9 cm, and 3.4 cm longer, respectively, in the rotational upland field than in the continuously cropped upland field. The average yield of sorghum per 10 a increased by 90% in the rotational upland field compared to continuously cropped upland field.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rotational upland field and the continuously cropped upland field for foxtail millet. The most suitable varieties for a paddy-upland rotation system were judged to be Hwanggeumchal, Donganmae, and DS202 for sorghum, and Samdachal, Samdamae, Dahwangmae for foxtail millet. Keywords : foxtail millet, growth and yield, paddy-upland rotation, sorghum KCI Citation Count: 1
Author 예민희
윤성탁
유제빈
楊景
Author_xml – sequence: 1
  fullname: 유제빈
  organization: (단국대학교)
– sequence: 2
  fullname: 윤성탁
  organization: (단국대학교)
– sequence: 3
  fullname: 楊景
  organization: (단국대학교)
– sequence: 4
  fullname: 예민희
  organization: (단국대학교)
BackLink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269701$$DAccess content in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NRF)
BookMark eNrjYmDJy89LZWCQMjTQMzc3MdDPzkou1jMyMDTXMzPSM9YzMjJhYuA0MrIw17UwMTZiYeA0MDI10rU0NzfnYOAtLs5MMjAwMbYwMDEx52SofN299c2CljdzlrydOUPhzYLGt1NXKryd1PFmUavCm5YFrzfMeTO3ReHNnJa3U-coQFS93rD21eY9Cm-mb3jT1gvkvJk-4U0LUBlQe8cMINJReLNwA4j7evPEN9tWvp26BSjSPPfNnIVvu3a-admo8Hpny6utE3gYWNMSc4pTeaE0N4Omm2uIs4duXlFafHZyZnx-YiaYTs-Pzy6KdwwK8Yw3MrMwNTM3MCZFLQBg5348
ContentType Journal Article
DBID ACYCR
DOI 10.7740/kjcs.2017.62.3.224
DatabaseName Korean Citation Index
DatabaseTitleList
DeliveryMethod fulltext_linktorsrc
DocumentTitleAlternate A Comparison of the Disease and Insect Damage, and Growth Characteristics of Sorghum and Foxtail Millet between Rotational Upland and Continuously Cropped Upland Field in Order to Identify the Optimum Varieties for an Organic Paddy-Upland Rotation System
EISSN 2287-8432
EndPage 232
ExternalDocumentID oai_kci_go_kr_ARTI_2685670
GroupedDBID 9ZL
ACYCR
ALMA_UNASSIGNED_HOLDINGS
DYU
JDI
KROLR
OK1
ID FETCH-nrf_kci_oai_kci_go_kr_ARTI_26856703
ISSN 0252-9777
IngestDate Tue Nov 21 21:43:22 EST 2023
IsPeerReviewed true
IsScholarly true
Language Korean
LinkModel OpenURL
MergedId FETCHMERGED-nrf_kci_oai_kci_go_kr_ARTI_26856703
Notes http://www.cropscience.or.kr/
ParticipantIDs nrf_kci_oai_kci_go_kr_ARTI_2685670
PublicationCentury 2000
PublicationDate 2017-09
PublicationDateYYYYMMDD 2017-09-01
PublicationDate_xml – month: 09
  year: 2017
  text: 2017-09
PublicationDecade 2010
PublicationTitle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PublicationYear 2017
Publisher 한국작물학회
Publisher_xml – name: 한국작물학회
SSID ssib004380447
ssib001151835
ssj0045709
ssib036279253
Score 3.995568
Snippet 본 시험은 논으로부터 밭으로 윤환한 2년차인 윤환밭과연속밭에 수수 남풍찰 등 7품종, 조 삼다찰 등 7품종을 공시하여 윤환밭과 연속밭의 병충해 및 잡초발생 양상, 생육및 수량특성 차이 구명은 물론 답전윤환에 적합한 품종 선발 및 수수, 조의 체계적인 답전윤환 재배기술을 위한 기초자료를...
SourceID nrf
SourceType Open Website
StartPage 224
SubjectTerms 농학
Title 답전윤환 적합 품종 선발을 위한 윤환밭과 연속밭에서의 수수, 조의 병충해, 생육특성 비교
URI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269701
hasFullText 1
inHoldings 1
isFullTextHit
isPrint
ispartofPNX 한국작물학회지, 2017, 62(3), , pp.224-232
link http://utb.summon.serialssolutions.com/2.0.0/link/0/eLvHCXMwnV3NaxNBFF_aevEiiorfLOIcJG7MfszuzHE3SakKnlqop5DNbkQDCYT0oDdxlaIIVQitkEIqXnoQIrVCwT_Ev6GZ_R9887GbNFWsQljevn3zmzfv7TK_2czMatqthtuEfi4OjSh0Y8OJCDbCsGkbnkMdO8QuH5Tw2RYP3aUV5_4qXp2b_zk1a2mtFxYbz3-7ruR_sgo6yCtfJfsPmc1BQQEy5BeOkGE4nijHqBogEqAAo2oZ-SVEHC5QkEGoIEoRJYXsmilUGPm0ICQLESKugYCFFRQHQ8AMShyEQ1VAWVCgxFEItFw4Xo8q51dQ1UeBjQJl5HEtB3cRqUwZiUu0pOrNq1MOg2uUTARLgvmmAssMA14TNbkqcKFlysHAyUoQm9sqZ0UECHhHVa2BKTGoaJvPAym_KprR9QedbvZPhWLt_ItnBUUbsps1wy-pUPPGSFQya-LkNQtfbETMiQm0AHP_QICQ-otHChORrgDUEFrRzgpS-2aqlzZABLJZafIxy9Ol2qbCXhURA6RyhoR5fVzwESlPdQ0Wtgxg7pKqxEJnwdjXII56W6y6I7k-XTEbS16b7TRhAMBnmbaeNvj29aZXdK2iXcyLTu9QPsMcjuxR3mo8qT3u1FrdGozE7tUsl2DXK81rpyzPkxMoHq1MiDoQzemN_vh3D5zJwBZYlUctnHMqB3tyslbWbrn8jXt-97jfQBPb3eYUTVw-q51R4zvdlw_rOW2u1TmvPRu_3WfDhA0-px-3dDZ8kfZ39fTDOvv0SmfJcDwasO1EZ4Mk7Q90aTUefTnc-6GzzRF7_Q5O2OYGS8AMiq9vwe-OznZG_HS89559303730DzcpsNdtI3Byz5qo8PksP9jQva7cXqcnnJAFdF7P4cQ_uittDutONLmk6iemzVbWD1NnXqJqURDc0GNpuRZdcjii9rN_-Od-UkRle105Mb95q20OuuxdeBf_fCGyKVvwDSDr65
linkProvider CAB International
openUrl ctx_ver=Z39.88-2004&ctx_enc=info%3Aofi%2Fenc%3AUTF-8&rfr_id=info%3Asid%2Fsummon.serialssolutions.com&rft_val_fmt=info%3Aofi%2Ffmt%3Akev%3Amtx%3Ajournal&rft.genre=article&rft.atitle=%EB%8B%B5%EC%A0%84%EC%9C%A4%ED%99%98+%EC%A0%81%ED%95%A9+%ED%92%88%EC%A2%85+%EC%84%A0%EB%B0%9C%EC%9D%84+%EC%9C%84%ED%95%9C+%EC%9C%A4%ED%99%98%EB%B0%AD%EA%B3%BC+%EC%97%B0%EC%86%8D%EB%B0%AD%EC%97%90%EC%84%9C%EC%9D%98+%EC%88%98%EC%88%98%2C+%EC%A1%B0%EC%9D%98+%EB%B3%91%EC%B6%A9%ED%95%B4%2C+%EC%83%9D%EC%9C%A1%ED%8A%B9%EC%84%B1+%EB%B9%84%EA%B5%90&rft.jtitle=Korean+journal+of+crop+science&rft.au=%EC%9C%A0%EC%A0%9C%EB%B9%88&rft.au=%EC%9C%A4%EC%84%B1%ED%83%81&rft.au=%E6%A5%8A%E6%99%AF&rft.au=%EC%98%88%EB%AF%BC%ED%9D%AC&rft.date=2017-09-01&rft.pub=%ED%95%9C%EA%B5%AD%EC%9E%91%EB%AC%BC%ED%95%99%ED%9A%8C&rft.issn=0252-9777&rft.eissn=2287-8432&rft.spage=224&rft.epage=232&rft_id=info:doi/10.7740%2Fkjcs.2017.62.3.224&rft.externalDBID=n%2Fa&rft.externalDocID=oai_kci_go_kr_ARTI_2685670
thumbnail_l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lc.gif&issn=0252-9777&client=summon
thumbnail_m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mc.gif&issn=0252-9777&client=summon
thumbnail_s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sc.gif&issn=0252-9777&client=summ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