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 울진군에 발달하는 제4기 구산단층의 발달특성 연구
최근 울진에서 발견된 구산단층은 선캠브리아시대의 우백질 화강편마암과 이를 피복한 제4기 하성층을 절단하며 발달한다. 단층면에서 관찰되는 단층조선의 특성은 구산단층이 주향이동운동이 우세한 단층임을 지시한다. 구산단층 상부를 피복하고 있는 제4기 하성층에 대한 트렌치 조사에서 제4기 하성층에 포함된 역들이 정향배열을 보이고 있어 구산단층은 제4기 하성층이 퇴적된 이후에도 단층활동을 한 제4기 단층으로 해석된다. 정확한 활동시기를 추정하기 위해 제4기 하성층과 단층비지에 대해 실시한 연대측정 결과 구산단층은 50만년 이내에 2번 이상 활...
Saved in:
Published in | 지질학회지, 49(2) pp. 197 - 207 |
---|---|
Main Authors |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대한지질학회
01.04.2013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0435-4036 2288-7377 |
Cover
Abstract | 최근 울진에서 발견된 구산단층은 선캠브리아시대의 우백질 화강편마암과 이를 피복한 제4기 하성층을 절단하며 발달한다. 단층면에서 관찰되는 단층조선의 특성은 구산단층이 주향이동운동이 우세한 단층임을 지시한다. 구산단층 상부를 피복하고 있는 제4기 하성층에 대한 트렌치 조사에서 제4기 하성층에 포함된 역들이 정향배열을 보이고 있어 구산단층은 제4기 하성층이 퇴적된 이후에도 단층활동을 한 제4기 단층으로 해석된다. 정확한 활동시기를 추정하기 위해 제4기 하성층과 단층비지에 대해 실시한 연대측정 결과 구산단층은 50만년 이내에 2번 이상 활동했던 단층으로 해석되었다. 기존 연구자에 의해 제시된 실제 변위와 겉보기 변위와의 상관관계를 이용한 구산단층의 추정변위는 약 94.63 cm 이다. 그리고 만약 보수적으로 해석하여 이 변위를 한 번의 지진활동에 의한 변위로 가정할 때 구산단층에서의 이 단층운동에 수반된 모멘트 지진규모는 약 6.4-6.9로 추정될 수 있다. The Gusan Fault cuts the Quaternary fluvial deposits as well as Precambrian leucocratic granite gneiss. Slickenlines on the surface of the Gusan Fault indicate dominantly strike-slip movement sense. Age dating results on the Quaternary fluvial deposits and fault gouges of the Gusan Fault demonstrate that the Gusan Fault might be activated at least two times within 500 ka B.P. Based on the trench survey across the fault on the Quaternary fluvial deposits, covering the basement, aligned long axes of pebbles cutting the Quaternary fluvial deposits indicate that the Gusan Fault was activated by strike-slip movement after the development of the Quaternary fluvial deposits. The inferred slip associated with the Quaternary fault movement, based on a suggested relationship between true displacement and apparent displacement, is about 94.63 cm. Based on the inferred true displacement, the inferred moment magnitude (Mw) associated with the slip along the fault is in a range of 6.4-6.9, if it is supposed as one event. KCI Citation Count: 12 |
---|---|
AbstractList | 최근 울진에서 발견된 구산단층은 선캠브리아시대의 우백질 화강편마암과 이를 피복한 제4기 하성층을 절단하며 발달한다. 단층면에서 관찰되는 단층조선의 특성은 구산단층이 주향이동운동이 우세한 단층임을 지시한다. 구산단층 상부를 피복하고 있는 제4기 하성층에 대한 트렌치 조사에서 제4기 하성층에 포함된 역들이 정향배열을 보이고 있어 구산단층은 제4기 하성층이 퇴적된 이후에도 단층활동을 한 제4기 단층으로 해석된다. 정확한 활동시기를 추정하기 위해 제4기 하성층과 단층비지에 대해 실시한 연대측정 결과 구산단층은 50만년 이내에 2번 이상 활동했던 단층으로 해석되었다. 기존 연구자에 의해 제시된 실제 변위와 겉보기 변위와의 상관관계를 이용한 구산단층의 추정변위는 약 94.63 cm 이다. 그리고 만약 보수적으로 해석하여 이 변위를 한 번의 지진활동에 의한 변위로 가정할 때 구산단층에서의 이 단층운동에 수반된 모멘트 지진규모는 약 6.4-6.9로 추정될 수 있다. The Gusan Fault cuts the Quaternary fluvial deposits as well as Precambrian leucocratic granite gneiss. Slickenlines on the surface of the Gusan Fault indicate dominantly strike-slip movement sense. Age dating results on the Quaternary fluvial deposits and fault gouges of the Gusan Fault demonstrate that the Gusan Fault might be activated at least two times within 500 ka B.P. Based on the trench survey across the fault on the Quaternary fluvial deposits, covering the basement, aligned long axes of pebbles cutting the Quaternary fluvial deposits indicate that the Gusan Fault was activated by strike-slip movement after the development of the Quaternary fluvial deposits. The inferred slip associated with the Quaternary fault movement, based on a suggested relationship between true displacement and apparent displacement, is about 94.63 cm. Based on the inferred true displacement, the inferred moment magnitude (Mw) associated with the slip along the fault is in a range of 6.4-6.9, if it is supposed as one event. KCI Citation Count: 12 |
Author | 진광민 강희철 김영석 신현조 |
Author_xml | – sequence: 1 fullname: 진광민 organization: (한국지질자원연구원) – sequence: 2 fullname: 김영석 organization: (부경대학교) – sequence: 3 fullname: 강희철 organization: (부경대학교) – sequence: 4 fullname: 신현조 organization: (한국전력기술주식회사) |
BackLink |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1768138$$DAccess content in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NRF) |
BookMark | eNrjYmDJy89LZWLgNDKysNA1NzY3Z2HgNDAxNtU1MTA242DgLS7OTDIwMDO3MDQyN-Rk8Hm1ae_rbY0Kb2bteLO85dXWDW-mT1B4vWHO6-41b6fOeN01ReHNgjkmr3ZsUHi1dc2bpg2vu1e82bH1zdwZMEVdO9-0bFR4M30DUJ6HgTUtMac4lRdKczNouLmGOHvo5hWlxWcnZ8bnJ2aC6fT8-OyieMegEM94IyNjMwtDYxKUAgC8HFwX |
ContentType | Journal Article |
DBID | ACYCR |
DatabaseName | Korean Citation Index |
DatabaseTitleList | |
DeliveryMethod | fulltext_linktorsrc |
DocumentTitleAlternate | Study on developing characteristics of the Quaternary Gusan Fault in Uljin, Gyeongbuk, Korea |
EISSN | 2288-7377 |
EndPage | 207 |
ExternalDocumentID | oai_kci_go_kr_ARTI_223681 |
GroupedDBID | ACYCR ALMA_UNASSIGNED_HOLDINGS M~E |
ID | FETCH-nrf_kci_oai_kci_go_kr_ARTI_2236813 |
ISSN | 0435-4036 |
IngestDate | Tue Nov 21 21:42:27 EST 2023 |
IsPeerReviewed | true |
IsScholarly | true |
Language | Korean |
LinkModel | OpenURL |
MergedId | FETCHMERGED-nrf_kci_oai_kci_go_kr_ARTI_2236813 |
Notes | G704-000209.2013.49.2.007 |
ParticipantIDs | nrf_kci_oai_kci_go_kr_ARTI_223681 |
PublicationCentury | 2000 |
PublicationDate | 2013-04 |
PublicationDateYYYYMMDD | 2013-04-01 |
PublicationDate_xml | – month: 04 year: 2013 text: 2013-04 |
PublicationDecade | 2010 |
PublicationTitle | 지질학회지, 49(2) |
PublicationYear | 2013 |
Publisher | 대한지질학회 |
Publisher_xml | – name: 대한지질학회 |
SSID | ssib006781271 ssib044745929 ssib006591851 |
Score | 3.660921 |
Snippet | 최근 울진에서 발견된 구산단층은 선캠브리아시대의 우백질 화강편마암과 이를 피복한 제4기 하성층을 절단하며 발달한다. 단층면에서 관찰되는 단층조선의 특성은 구산단층이 주향이동운동이 우세한 단층임을 지시한다. 구산단층 상부를 피복하고 있는 제4기 하성층에 대한 트렌치 조사에서 제4기... |
SourceID | nrf |
SourceType | Open Website |
StartPage | 197 |
SubjectTerms | 지질학 |
Title | 경북 울진군에 발달하는 제4기 구산단층의 발달특성 연구 |
URI |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1768138 |
hasFullText | 1 |
inHoldings | 1 |
isFullTextHit | |
isPrint | |
ispartofPNX | 지질학회지, 2013, 49(2), 205, pp.197-207 |
link | http://utb.summon.serialssolutions.com/2.0.0/link/0/eLvHCXMwnV3Na9RAFB_anryIouJXJYIDwhKZTCabmWOSTalixUOF3hayyYos7MKyvXgQLD21Fw9Ki1TwpoceorCyHvyHNvF_8M1L0mTF4uolPCYvv_c1zLyZzAch96CTEn3mMNPq854pEtUzIY9LTOH27Vjf8xAzvXd460l785l4tOPsrKw-baxa2p1ED3ov_7iv5H-iCmUQV71L9h8iewYKBUBDfOEJEYbnUjGmoUd9Tv0ODX3qtyErbNEwoApKpSY8l0qBTA71Gb5yqWItZGdUBZqQPvWA6FDlUCWxxKNKIJKnmQoECV-0SizNH1DJEbRAQHmayUExgCbPEQPovsLvBfVLhV1EKrGb-XJlBasIWWmqkPCoDGoeqC5CQcrMG_Mbi34QVFlaG2-D-kHNgioVQsAF0irVU50FFqYFa6md0gPge481BWkjGbJIlAiiLfiuObWir7kQzakVdE6A0gvLgmWMbjTgkIrC-Nwuj_rGMs6hDrt2eXVN0WlYxQrlMv_gzK375mo9wm9d9sLh4IPei-7zUXcw7sIQ6GEX8r22Potg1bZ0u7_1KqzbV0dZzb_AkKhYvB4OCOEKR-HFfmeqQ8o1HPcbKdf2JXKxHCsZXlHxL5OVwegKeTz_-iP79trI38_yT_vzaZofvTGy9CQ7PP357jg7eGvkH0_EfJYa8-lpvpdmh5_z2TT_cFwxHXzP978Y-VEK76-S-xvhdrBpgnS08FxL7WtkbTgaJteJ0U4Yd2OWRPp_f6xc6QhbRiyWDo-grZI3yN2_wt1cgucWuVBXl9tkbTLeTdYhN51Ed9DhvwBAZnOD |
linkProvider | ISSN International Centre |
openUrl | ctx_ver=Z39.88-2004&ctx_enc=info%3Aofi%2Fenc%3AUTF-8&rfr_id=info%3Asid%2Fsummon.serialssolutions.com&rft_val_fmt=info%3Aofi%2Ffmt%3Akev%3Amtx%3Ajournal&rft.genre=article&rft.atitle=%EA%B2%BD%EB%B6%81+%EC%9A%B8%EC%A7%84%EA%B5%B0%EC%97%90+%EB%B0%9C%EB%8B%AC%ED%95%98%EB%8A%94+%EC%A0%9C4%EA%B8%B0+%EA%B5%AC%EC%82%B0%EB%8B%A8%EC%B8%B5%EC%9D%98+%EB%B0%9C%EB%8B%AC%ED%8A%B9%EC%84%B1+%EC%97%B0%EA%B5%AC&rft.jtitle=%EC%A7%80%EC%A7%88%ED%95%99%ED%9A%8C%EC%A7%80%2C+49%282%29&rft.au=%EC%A7%84%EA%B4%91%EB%AF%BC&rft.au=%EA%B9%80%EC%98%81%EC%84%9D&rft.au=%EA%B0%95%ED%9D%AC%EC%B2%A0&rft.au=%EC%8B%A0%ED%98%84%EC%A1%B0&rft.date=2013-04-01&rft.pub=%EB%8C%80%ED%95%9C%EC%A7%80%EC%A7%88%ED%95%99%ED%9A%8C&rft.issn=0435-4036&rft.eissn=2288-7377&rft.spage=197&rft.epage=207&rft.externalDBID=n%2Fa&rft.externalDocID=oai_kci_go_kr_ARTI_223681 |
thumbnail_l |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lc.gif&issn=0435-4036&client=summon |
thumbnail_m |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mc.gif&issn=0435-4036&client=summon |
thumbnail_s |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sc.gif&issn=0435-4036&client=summ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