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반도 남쪽에서의 자연감마 분포 특성
605개 시추공에서의 감마검층 자료를 분석함으로써 한반도 남쪽 지역에서의 전체성분 자연감마 강도분포를 구하고 성인 및 암종 별 감마강도 특성을 제시하였다. 한반도에 집중적으로 분포하고 있는 화강암을 중심으로 대보화강암과 불국사화강암을 비교하고 경기육괴와 영남육괴를 비교함으로써 암체 및 육괴 별 감마 특성을추적하였다. 얻어진 자연감마 강도분포는 태백-단양-하동 선을 경계로 동측의 낮은 감마와 서측의 높은 감마로구분되었다. 대보화강암이 불국사화강암에 비하여 높은 감마값을 가지며, 특히 경기육괴에 분포하는 대보화강암이 영남육괴에 분포하는...
Saved in:
Published in | 지질학회지, 50(6) pp. 783 - 796 |
---|---|
Main Authors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대한지질학회
01.12.2014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0435-4036 2288-7377 |
DOI | 10.14770/jgsk.2014.50.6.783 |
Cover
Summary: | 605개 시추공에서의 감마검층 자료를 분석함으로써 한반도 남쪽 지역에서의 전체성분 자연감마 강도분포를 구하고 성인 및 암종 별 감마강도 특성을 제시하였다. 한반도에 집중적으로 분포하고 있는 화강암을 중심으로 대보화강암과 불국사화강암을 비교하고 경기육괴와 영남육괴를 비교함으로써 암체 및 육괴 별 감마 특성을추적하였다. 얻어진 자연감마 강도분포는 태백-단양-하동 선을 경계로 동측의 낮은 감마와 서측의 높은 감마로구분되었다. 대보화강암이 불국사화강암에 비하여 높은 감마값을 가지며, 특히 경기육괴에 분포하는 대보화강암이 영남육괴에 분포하는 대보화강암에 비해 현저히 높은 감마강도를 보였다. 아울러 감마이상대의 분포는 북동-남서 또는 동북동-서남서 방향의 일관된 방향성을 보이며 낮은 감마이상대의 위치가 금-은 광상구의 위치와도 좋은 상관을 보인다. The distribution feature of natural gamma strength in the southern Korean Peninsula has beencharacterized by analyzing the gamma log data from 605 boreholes. Gamma strength properties, which are relatedto rock types, geological origins, intrusion times and tectonic massifs were also discussed in this study. The naturalgamma distribution of southern part of the Korean Peninsula is characterized by higher gamma in the west andlower gamma in the east of the line connecting Taeback, Danyang, and Hadong. The Daebo granite shows highergamma strength than that of Bulguksa granite, specifically the Daebo granite in the Gyeonggi massif shows highergamma value in the Gyeonggi massif than the Deabo granite in the Yeongnam massif. The gamma distributionreveals a lineation pattern parallel to the direction of NE-SW or ENE-WSW, and particularly the low gammaanomalies are well correlated with the locations of the gold-silver metallogenic provinces. KCI Citation Count: 1 |
---|---|
Bibliography: | G704-000209.2014.50.6.006 |
ISSN: | 0435-4036 2288-7377 |
DOI: | 10.14770/jgsk.2014.50.6.78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