골다공증성 척추 압박 골절 환자에서 새로운 척추 골절 발생의 위험 인자

연구 계획: 골다공증성 척추 골절 환자에 대해 보조기를 이용하여 보존적으로 치료 후 추시 결과에 대한 후향적 연구이다. 목적: 골다공증성 척추 골절 환자에서 재골절 발생의 위험인자를 알아보고자 한다. 선행 문헌의 요약: 이전에 골다공증성 척추 골절이 진단된 경우, 낮은 골밀도(BMD)는 재골절 위험을 높인다는 연구 결과가 있으며, 척추 성형술이 재골절의 위험 인자인지에 대해서는 논란이 있다. 대상 및 방법: 본원에서 골다공증성 척추 골절 진단받고 최소 1년 이상 추시 가능했던 환자 52명을 대상으로 후향적 연구를 진행하였다. 골다공...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Journal of Korean Society of Spine Surgery pp. 203 - 210
Main Authors 유성림, 고영도, 최신우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대한척추외과학회 01.12.2017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2093-4378
2093-4386

Cover

Abstract 연구 계획: 골다공증성 척추 골절 환자에 대해 보조기를 이용하여 보존적으로 치료 후 추시 결과에 대한 후향적 연구이다. 목적: 골다공증성 척추 골절 환자에서 재골절 발생의 위험인자를 알아보고자 한다. 선행 문헌의 요약: 이전에 골다공증성 척추 골절이 진단된 경우, 낮은 골밀도(BMD)는 재골절 위험을 높인다는 연구 결과가 있으며, 척추 성형술이 재골절의 위험 인자인지에 대해서는 논란이 있다. 대상 및 방법: 본원에서 골다공증성 척추 골절 진단받고 최소 1년 이상 추시 가능했던 환자 52명을 대상으로 후향적 연구를 진행하였다. 골다공증성 척추 골절 진단 후 추시에서 일년 이내에 재골절이 있었던 군과 재골절이 발생하지 않은 군간의 연령, 성별, 체질량지수(BMI), 골밀도(BMD), 고혈압, 당뇨병과 같은 기저질환 유무, 후방 신전근 위축정도, 척추 성형술 시행 여부, 골다공증 치료 여부, 시상 지수(sagittal index)를 비교하였다. 두 군 사이에 위에서제시한 요소들을 분석하기 위해 독립 표본 T-test, Chi-square test를 이용하여 검증하였다. 또한, 나이 및 성별을 보정한 후 각 요소들을 분석하기 위해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하였다. 결과: 평균 연령은 재골절이 발생한 군은 81.3세로, 재골절이 발생하지 않은 군의 74세보다 높았으며,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p=0.011). 재골절이발생한 군은 골밀도(BMD)가 T-score -4.23, 체질량지수(BMI)는 21.05 kg/m2였고, 재골절이 발생하지 않은 군은 골밀도(BMD)가 T-score -3.28, 체질량지수(BMI)는 24.13 kg/m2 였으며, 이는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08, p=0.001). 또한, 골다공증 약물 치료를 받지 않거나 6개월 미만으로 치료받은 군은 6개월 이상 치료받은 군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재골절이 많았다(p=0.019). 성별과 연령을 보정한 로지스틱 회귀분석에서는 골밀도(BMD) 및 체질량지수(BMI)의 odds ratio 는 각각 0.43, 0.69였고, 이는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p=0.005, p=0.02). 6개월을 기준으로 한 골다공증 약물 치료 여부의 odds ratio 는 1.083 이었고,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p=0.041). 결론: 골다공증성 척추 골절 환자에서 고령, 낮은 골밀도(BMD) 및 체질량지수(BMI), 6개월 미만의 약물 치료는 재골절의 가능성이 높으므로 보다 세심한추시 관찰이 필요하다. 약칭 제목: 척추 재골절 발생의 위험 인자 Study Design: A retrospective study. Objectives: To investigate the risk factors associated with new compression fractures in patients with osteoporotic vertebral compression fractures. Summary of Literature Review: Previous studies have reported that a history of osteoporotic vertebral fractures and decreased bone mineral density were risk factors for new compression fractures. It is not certain whether vertebroplasty is a risk factor for new compression vertebral fractures. Materials and Methods: This retrospective study included a total of 52 patients who were diagnosed with an osteoporotic vertebral compression fracture and could be followed up for at least 1 year. Age, sex, bone mineral density, body mass index, osteoporosis treatment, fat infiltration of the back muscles, the sagittal index, vertebroplasty, and underlying diabetes mellitus or hypertension were compared between patients who developed new compression fractures during 1 year of follow-up and those who did not. For statistical analysis, the t-test and chi-squ are test were used to analyz ethe relationship of each factor with osteoporotic vertebral compression fracture incidence, and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analyze multifactorial explanatory factors. Results: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between the 2 groups regarding sex, underlying disease, the sagittal index, and fat infiltration of the back muscles. Patients who developed a new compression fracture were significantly older (p=0.011), had a lower body mass index (p=0.001), had lower bone mineral density (p=0.008), and were more likely to have taken osteoporosis medication for less than 6 months (including no medication, p=0.019). Th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the risk of developing new compression fractures was significantly elevated in patients with a low body mass index (odds ratio [OR]=0.69, p=0.02), bone mineral density (OR=0.43, p=0.005), and less than 6 months of osteoporosis medication use (including no medication, OR=1.083, p=0.041). Conclusions: The risk of developing new compression fractures in patients with osteoporotic vertebral compression fractures was associated with body mass index, bone mineral density, and having taken osteoporosis medication for less than 6 months. KCI Citation Count: 0
AbstractList 연구 계획: 골다공증성 척추 골절 환자에 대해 보조기를 이용하여 보존적으로 치료 후 추시 결과에 대한 후향적 연구이다. 목적: 골다공증성 척추 골절 환자에서 재골절 발생의 위험인자를 알아보고자 한다. 선행 문헌의 요약: 이전에 골다공증성 척추 골절이 진단된 경우, 낮은 골밀도(BMD)는 재골절 위험을 높인다는 연구 결과가 있으며, 척추 성형술이 재골절의 위험 인자인지에 대해서는 논란이 있다. 대상 및 방법: 본원에서 골다공증성 척추 골절 진단받고 최소 1년 이상 추시 가능했던 환자 52명을 대상으로 후향적 연구를 진행하였다. 골다공증성 척추 골절 진단 후 추시에서 일년 이내에 재골절이 있었던 군과 재골절이 발생하지 않은 군간의 연령, 성별, 체질량지수(BMI), 골밀도(BMD), 고혈압, 당뇨병과 같은 기저질환 유무, 후방 신전근 위축정도, 척추 성형술 시행 여부, 골다공증 치료 여부, 시상 지수(sagittal index)를 비교하였다. 두 군 사이에 위에서제시한 요소들을 분석하기 위해 독립 표본 T-test, Chi-square test를 이용하여 검증하였다. 또한, 나이 및 성별을 보정한 후 각 요소들을 분석하기 위해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하였다. 결과: 평균 연령은 재골절이 발생한 군은 81.3세로, 재골절이 발생하지 않은 군의 74세보다 높았으며,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p=0.011). 재골절이발생한 군은 골밀도(BMD)가 T-score -4.23, 체질량지수(BMI)는 21.05 kg/m2였고, 재골절이 발생하지 않은 군은 골밀도(BMD)가 T-score -3.28, 체질량지수(BMI)는 24.13 kg/m2 였으며, 이는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08, p=0.001). 또한, 골다공증 약물 치료를 받지 않거나 6개월 미만으로 치료받은 군은 6개월 이상 치료받은 군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재골절이 많았다(p=0.019). 성별과 연령을 보정한 로지스틱 회귀분석에서는 골밀도(BMD) 및 체질량지수(BMI)의 odds ratio 는 각각 0.43, 0.69였고, 이는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p=0.005, p=0.02). 6개월을 기준으로 한 골다공증 약물 치료 여부의 odds ratio 는 1.083 이었고,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p=0.041). 결론: 골다공증성 척추 골절 환자에서 고령, 낮은 골밀도(BMD) 및 체질량지수(BMI), 6개월 미만의 약물 치료는 재골절의 가능성이 높으므로 보다 세심한추시 관찰이 필요하다. 약칭 제목: 척추 재골절 발생의 위험 인자 Study Design: A retrospective study. Objectives: To investigate the risk factors associated with new compression fractures in patients with osteoporotic vertebral compression fractures. Summary of Literature Review: Previous studies have reported that a history of osteoporotic vertebral fractures and decreased bone mineral density were risk factors for new compression fractures. It is not certain whether vertebroplasty is a risk factor for new compression vertebral fractures. Materials and Methods: This retrospective study included a total of 52 patients who were diagnosed with an osteoporotic vertebral compression fracture and could be followed up for at least 1 year. Age, sex, bone mineral density, body mass index, osteoporosis treatment, fat infiltration of the back muscles, the sagittal index, vertebroplasty, and underlying diabetes mellitus or hypertension were compared between patients who developed new compression fractures during 1 year of follow-up and those who did not. For statistical analysis, the t-test and chi-squ are test were used to analyz ethe relationship of each factor with osteoporotic vertebral compression fracture incidence, and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analyze multifactorial explanatory factors. Results: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between the 2 groups regarding sex, underlying disease, the sagittal index, and fat infiltration of the back muscles. Patients who developed a new compression fracture were significantly older (p=0.011), had a lower body mass index (p=0.001), had lower bone mineral density (p=0.008), and were more likely to have taken osteoporosis medication for less than 6 months (including no medication, p=0.019). Th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the risk of developing new compression fractures was significantly elevated in patients with a low body mass index (odds ratio [OR]=0.69, p=0.02), bone mineral density (OR=0.43, p=0.005), and less than 6 months of osteoporosis medication use (including no medication, OR=1.083, p=0.041). Conclusions: The risk of developing new compression fractures in patients with osteoporotic vertebral compression fractures was associated with body mass index, bone mineral density, and having taken osteoporosis medication for less than 6 months. KCI Citation Count: 0
Author 고영도
최신우
유성림
Author_xml – sequence: 1
  fullname: 유성림
  organization: (이화여자대학교 의과대학 정형외과학교실)
– sequence: 2
  fullname: 고영도
  organization: (이화여자대학교)
– sequence: 3
  fullname: 최신우
  organization: (이화여자대학교 의과대학 정형외과학교실)
BackLink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299728$$DAccess content in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NRF)
BookMark eNrjYmDJy89LZWLgNDKwNNY1MbYwY4GzzS04GHiLi7MMgMDSxNDI3IyTIfHV5hWvu5e82rz1zbK5b1o2KrzZNPPNtikKb6ZOfb1hqgJQ9s2CDoW3M2e8mTfhzfQJb1rmKLxp7ni9cM6bWVtgaqGKXm-Y86Z57pu5MxTezGl5Ox1Izd0B1MXDwJqWmFOcyguluRk03VxDnD1084rS4rOTM-PzEzPBdHp-fHZRvGNQiGe8kZGBoYWppTEpagHO6mjL
ContentType Journal Article
DBID ACYCR
DatabaseName Korean Citation Index
DatabaseTitleList
DeliveryMethod fulltext_linktorsrc
DocumentTitleAlternate Risk Factors Predicting New Compression Fractures in Patients with Osteoporotic Vertebral Compression Fractures
EISSN 2093-4386
EndPage 210
ExternalDocumentID oai_kci_go_kr_ARTI_2201859
GroupedDBID 5-W
8JR
8XY
ACYCR
ALMA_UNASSIGNED_HOLDINGS
EF.
ID FETCH-nrf_kci_oai_kci_go_kr_ARTI_22018593
ISSN 2093-4378
IngestDate Tue Nov 21 21:31:14 EST 2023
IsPeerReviewed true
IsScholarly true
Language Korean
LinkModel OpenURL
MergedId FETCHMERGED-nrf_kci_oai_kci_go_kr_ARTI_22018593
ParticipantIDs nrf_kci_oai_kci_go_kr_ARTI_2201859
PublicationCentury 2000
PublicationDate 2017-12
PublicationDateYYYYMMDD 2017-12-01
PublicationDate_xml – month: 12
  year: 2017
  text: 2017-12
PublicationDecade 2010
PublicationTitl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Spine Surgery
PublicationYear 2017
Publisher 대한척추외과학회
Publisher_xml – name: 대한척추외과학회
SSID ssj0000941276
Score 4.0140934
Snippet 연구 계획: 골다공증성 척추 골절 환자에 대해 보조기를 이용하여 보존적으로 치료 후 추시 결과에 대한 후향적 연구이다. 목적: 골다공증성 척추 골절 환자에서 재골절 발생의 위험인자를 알아보고자 한다. 선행 문헌의 요약: 이전에 골다공증성 척추 골절이 진단된 경우, 낮은...
SourceID nrf
SourceType Open Website
StartPage 203
SubjectTerms 정형외과학
Title 골다공증성 척추 압박 골절 환자에서 새로운 척추 골절 발생의 위험 인자
URI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299728
hasFullText 1
inHoldings 1
isFullTextHit
isPrint
ispartofPNX 대한척추외과학회지, 2017, 24(4), , pp.203-210
link http://utb.summon.serialssolutions.com/2.0.0/link/0/eLvHCXMwnV3Nb9MwFLfWnbggECC-FSF8QFOmJHYy-xinnQYILmxityrJMjRValHVXbiuh0lcdqDahloEEkIcBwPE37R6_8Oe7aRNUCcGUuU-vTz__D6s-MWxHYQewh0uI2nMbTd1EpumAbXjTTezIXnNIPtnnjlL79nzYGWNPln31-dqW6VVS9u9ZDF9M3Nfyf9EFXgQV7VL9h8iOwEFBtAQXyghwlBeKMa4EWJBcMhwQ2AmcEhzjvBxI8JhgHldEYxi4S4oSniYc03ANapZ3Fc_ABAOEAslTEBwMGPAqqtaXLN4A3NHE0s5Aeg80lCMgLiCCl1gaSEAo7NbntGM0SHKoYzuUHJmFNVNKV2WJqw6FlOtzkm0n3a66nVDsT5V7dJ5rXLrF6Ud4dDl8iZCZ-IxbUmARTQVMUob-xlk4drxy5jRMgp4PzdCFLJQzylPsMCgXV2sooEite5EGVgAVJ2mkbi22EQ5KoS5JkJAmN7YPYcTmxLz6aLFrMxjlcHEIaW8xMuX_1aODP9jKK8cGt5Kt5qvOs1WtwmPRo-bHtjGfF5DNeLqyS375WQyEp7xXc98iLHQDXKtdnezlGutXkGX89hZoenxV9Fcq3MNxSfHX8dvP58c_5RfRrL_zZLfD-Wvd5YcDMZHAwuuyo-71unhgfywJ_f3ZH9oyZ3d8aehfP-jkM2FxkdDuTOSowNLDvun-_A3-g21rqNHy43VaMUGlbRd59tHbqD5dqed3URWHMDwFScbMScBDbIgcYmfecFGzJyMJSm_hR78He_2RYTuoEvTnnMXzfe629k9SFZ7yX3t6DOlWIPt
linkProvider Korean Association of Medical Journal Editors
openUrl ctx_ver=Z39.88-2004&ctx_enc=info%3Aofi%2Fenc%3AUTF-8&rfr_id=info%3Asid%2Fsummon.serialssolutions.com&rft_val_fmt=info%3Aofi%2Ffmt%3Akev%3Amtx%3Ajournal&rft.genre=article&rft.atitle=%EA%B3%A8%EB%8B%A4%EA%B3%B5%EC%A6%9D%EC%84%B1+%EC%B2%99%EC%B6%94+%EC%95%95%EB%B0%95+%EA%B3%A8%EC%A0%88+%ED%99%98%EC%9E%90%EC%97%90%EC%84%9C+%EC%83%88%EB%A1%9C%EC%9A%B4+%EC%B2%99%EC%B6%94+%EA%B3%A8%EC%A0%88+%EB%B0%9C%EC%83%9D%EC%9D%98+%EC%9C%84%ED%97%98+%EC%9D%B8%EC%9E%90&rft.jtitle=Journal+of+Korean+Society+of+Spine+Surgery&rft.au=%EC%9C%A0%EC%84%B1%EB%A6%BC&rft.au=%EA%B3%A0%EC%98%81%EB%8F%84&rft.au=%EC%B5%9C%EC%8B%A0%EC%9A%B0&rft.date=2017-12-01&rft.pub=%EB%8C%80%ED%95%9C%EC%B2%99%EC%B6%94%EC%99%B8%EA%B3%BC%ED%95%99%ED%9A%8C&rft.issn=2093-4378&rft.eissn=2093-4386&rft.spage=203&rft.epage=210&rft.externalDBID=n%2Fa&rft.externalDocID=oai_kci_go_kr_ARTI_2201859
thumbnail_l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lc.gif&issn=2093-4378&client=summon
thumbnail_m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mc.gif&issn=2093-4378&client=summon
thumbnail_s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sc.gif&issn=2093-4378&client=summ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