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인 심근경색 환자에서 심장 돌연사를 예측하기 위한비침습적인 위험예측인자에 대한 고찰

배경 및 목적:급성 심근경색 후 치명적인 부정맥 발생의 위험성을 예측하는데 다양한 비침습적인 인자에 대해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며 이중 Multicenter Automatic Defibrillation Trial II(MADIT II) 연구에 따르면 전기생리검사 없이 좌심실 구출율이 30% 이하인 심근경색 후 환자들을 대상으로 무작위로ICD를 삽입하였을 때 ICD를 삽입한 군에서 31% 사망률의감소가 있었음을 보여주고 있다. 하지만 한국인에 있어 심근경색 후 심장 돌연사의 위험예측인자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실정이다. 이에 본 저자들은...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Korean circulation journal pp. 431 - 436
Main Authors 손장원, 신동구, 김동희, 조현수, 김형준, 배준호, 홍그루, 박종선, 김영조, 심봉섭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대한심장학회 01.06.2006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738-5520
1738-5555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배경 및 목적:급성 심근경색 후 치명적인 부정맥 발생의 위험성을 예측하는데 다양한 비침습적인 인자에 대해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며 이중 Multicenter Automatic Defibrillation Trial II(MADIT II) 연구에 따르면 전기생리검사 없이 좌심실 구출율이 30% 이하인 심근경색 후 환자들을 대상으로 무작위로ICD를 삽입하였을 때 ICD를 삽입한 군에서 31% 사망률의감소가 있었음을 보여주고 있다. 하지만 한국인에 있어 심근경색 후 심장 돌연사의 위험예측인자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실정이다. 이에 본 저자들은 24시간 활동 중 심전도와 신호평균화 심전도 및 좌심실 구출율 측정 등의 비침습적인 검사들이 심장 돌연사 위험예측지표로서의 가치가 어떠하며, ICD삽입에 대한 MADIT II 기준이 한국인 심근경색 후 환자에게도 적절하게 적용될 수 있는지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방 법:영남대학병원 순환기내과에 급성 심근경색으로 입원한 640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시행하였다. 심초음파 상 좌심실 구출율이 30% 이하인 경우, 24시간 활동 중 심전도상 비지속성 심실빈맥이 관찰되거나 시간당 조기심실수축이 10개 이상 관찰된 경우, 신호 평균화 심전도 상 Late potential이 양성인 경우를 심장 돌연사의 위험을 예측하는 지표로서 설정하였으며 치명적인 부정맥을 24시간 활동중 심전도나 표면심전도 상 심실빈맥 및 세동이 관찰된 경우와 심장 돌연사가확인된 경우로 정의하였다. 결 과: 평균 18±15개월의 추적 관찰 기간 동안 640명 중 치명 적인 부정맥 사건은 42명(6.6%)에서 발생하였으며 다변량 분석을 시행한 결과 좌심실 구출율 30% 이하, 심실조기수 축이 시간당 10개 이상, 베타차단제를 투여하지 않는 경우가 치명적 부정맥 발생의 위험인자이었으며 이 중 좌심실 구출 율 30% 이하가 교차비 7.783으로 가장 의미 있었다. MADIT II와의 비교에서는 본 연구의 좌심실 구출율이 30% 이 하인 환자의 사망률이 27.6%로 MADIT II의 고식적 치료 군의 19.8%보다 높았고 베타차단제 경구투여정도는 55%로 MADIT II의 70%보다 낮았다. 결 론: 본 연구에서는 좌심실 구출율이 30% 이하인 환자 군에서 치명적 부정맥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많았고 베타차단제 경 구투여가 치명적 부정맥의 예방에 중요하며 ICD 삽입의 MADIT II기준이 한국인 심근경색 후 생존자에서도 적용되어 질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Background and Objectives:According to the MADIT II criteria, a low left ventricular ejection fraction (LVEF)is one of the most important predicting factors for sudden cardiac death (SCD) in post myocardial infarction(PMI) patients, and it is a reasonable indication for ICD implantation. The aim of this study is to reveal theincidence and the prognostic value of the non-invasive parameters and whether the MADIT II criteria for ICDimplantation can be applied to Korean PMI patients. Subjects and Methods:During the period from January2001 to June 2005, 640 PMI survivors were included in this study. The incidence of an abnormal SAECG, prematureventricular complex (PVC) counts ≥10/hr, non-sustained ventricular tachycardia (NSVT) on ambulatoryECG and a low (≤30%) LVEF were studied and used as risk stratification markers for later adverse arrhythmicevents. Results:The incidence of PVCs ≥10/hr and NSVT on the ambulatory ECG was 14.3% and 7.5%,respectively. 29 patients (4.9%) had a LVEF of less than 30%. Arrhythmic events occurred in 9 of the 29 patients(31%). SCD or adverse arrhythmic events occurred in 42 of the 640 patients. The percentage of patients whowere using β-blocker was lower than that in the MADIT II study group (55% vs 70%, respectively). In the adversearrhythmic event (+) group, the percentage of β-blocker use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in the arrhythmicevent (-) group (32.5% vs 58%, respectively). Conclusion:The MADIT II criteria and PVCs ≥10/hr or NSVTon the ambulatory ECG can be suggested as the indications for implanting an ICD in Korean PMI patients. Theuse of β-blocker is important for preventing adverse arrhythmic events. (Korean Circulation J 2006;36:431-436) KCI Citation Count: 3
Bibliography:G704-000708.2006.36.6.006
ISSN:1738-5520
1738-55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