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과 언어(국어)의 통합적 교수·학습을 위한 ‘讀·討·論’ 모형화 연구: 학문 문식성 개념을 기초로 하여
창의·융합형 인재 육성을 요구하는 요즘, 이 연구는 국어교육 연구자, 물리교육 연구자, 물리교사가 한 팀이 되어 과학과 언어(국어)를 교수·학습 차원에서 융합적으로 통합시킬수 있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이를 위해 우리의 교육 현장에서 흔히 활용되는 읽고 논의하고 쓰는 방식을 활용하면서도 학문 문식성(disciplinary literacy) 개념에 기반을 둔 ‘讀·討· 論 모형’을 제안하였다. 이러한 모형 정립을 위하여, 유사한 기존 국어과의 북 클럽 프로그램(Book Club Program), 과학과의 탐구적 과학 글쓰기(Scienc...
Saved in:
Published in | 교육과정평가연구, 19(1) pp. 149 - 178 |
---|---|
Main Authors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한국교육과정평가원
01.02.2016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1229-1544 2671-728X |
Cover
Summary: | 창의·융합형 인재 육성을 요구하는 요즘, 이 연구는 국어교육 연구자, 물리교육 연구자, 물리교사가 한 팀이 되어 과학과 언어(국어)를 교수·학습 차원에서 융합적으로 통합시킬수 있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이를 위해 우리의 교육 현장에서 흔히 활용되는 읽고 논의하고 쓰는 방식을 활용하면서도 학문 문식성(disciplinary literacy) 개념에 기반을 둔 ‘讀·討· 論 모형’을 제안하였다. 이러한 모형 정립을 위하여, 유사한 기존 국어과의 북 클럽 프로그램(Book Club Program), 과학과의 탐구적 과학 글쓰기(Science Writing Heuristic)와 ‘논변활동을 강조한 개방적 과학탐구활동 모형’ 및 STEAM 교육 방법들에 대해 일별하고, ‘讀· 討·論 모형’과 대비하여 변별되는 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그리고 기존 읽기교육의 한계로판단되는 내용 문식성과 변별되는 학문 문식성의 개념에 대해 알아보고, 이와 관련하여 과학 언어와 과학 개념(지식)의 특성, 과학자의 과학 텍스트 읽기 특성 등을 밝힌 선행 연구들을 토대로 모형의 이론적 배경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이론적 검토를 통해 학문 문식성개념에 기반한 ‘讀·討·論 모형’에서 중점을 두어야 할 원리를 제안하였다. 후속 연구에서는본 논문에서 제안한 교수·학습 모형을 실제 고등학교 물리 수업에 적용한 후 그에 대해 성찰하는 연구를 진행할 것이다. This study was jointly conducted by a Korean language art researcher, a physics education researcher and a high school physics teacher. We explored a method to integrate science and language art at the same time into lessons. In order to do this we propose a new model called "‘讀(Dok)·討(To)·論(Ron)" which means reading, discussion, and writing in Korean. Using reading, discussion and writing as tools to teach school subjects is not something new, and is rather commonly used method in and out of schools in Korea and probably in other countries as well. However, our main aim was to model commonly used methods in Korean schools, which has rarely been conducted in this field of educational research.
We first reviewed the similar teaching & learning models such as the Book Club Program, the Science Writing Heuristic, and other methods suggested by STEAM educators. We then compared them to our "‘讀(Dok)·討(To)·論(Ron)" model's distinguisher. We also reviewed the concept of disciplinary literacy and the unique features of science language, science knowledge, and the ways that scientists read science texts. Then, based on our literature reviews, we suggest the frame and steps of our model and its potentials & preconditions to enable its successful implementation. In the following study, we will conduct physics lessons based on our "‘讀(Dok)·討(To)·論(Ron) model with disciplinary literacy" at a high school and report its implementation as well as its potentials & pitfalls. KCI Citation Count: 11 |
---|---|
Bibliography: | G704-001275.2016.19.1.010 http://www.kice.re.kr/boardCnts/view.do?boardID=1500201&boardSeq=5004934&lev=0&m=030202&searchType=S&statusYN=W&page=1&s=kice |
ISSN: | 1229-1544 2671-728X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