융복합 교육을 위한 생태언어학 기반 국어과 빅 아이디어 제안
이 연구는 융복합 교육의 실효성 있는 실행을 위하여 생태언어학을 기반으로 국어과 빅 아이디어를 제안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는 융복합 교육의 타당한 방향성을 점검하고 국어과 교육과정 층위에서 이에 대응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한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특히 삶으로서의 교육을 추구하는 융복합 교육과 지향적 동일성을 응축하고 있는 생태언어학을 바탕으로 국어과 빅 아이디어를 제시해 보고자 한다. 융복합 교육은 교과의 결합을 추구하지만 실상 교과의 넘나듦을 강조한다. 그리고 학습자로 하여금 하나의 분야에 전문성을 갖추면서도 다른 분야와 소통...
Saved in:
Published in | 교육과정평가연구, 18(3) pp. 29 - 54 |
---|---|
Main Author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한국교육과정평가원
01.11.2015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1229-1544 2671-728X |
Cover
Summary: | 이 연구는 융복합 교육의 실효성 있는 실행을 위하여 생태언어학을 기반으로 국어과 빅 아이디어를 제안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는 융복합 교육의 타당한 방향성을 점검하고 국어과 교육과정 층위에서 이에 대응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한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특히 삶으로서의 교육을 추구하는 융복합 교육과 지향적 동일성을 응축하고 있는 생태언어학을 바탕으로 국어과 빅 아이디어를 제시해 보고자 한다.
융복합 교육은 교과의 결합을 추구하지만 실상 교과의 넘나듦을 강조한다. 그리고 학습자로 하여금 하나의 분야에 전문성을 갖추면서도 다른 분야와 소통할 수 있는 인간상을 기르는 데 초점을 둔다. 국어교육은 융복합 교육에 대응하기 위하여 국어교육의 열림을 지향해야 한다. 국어교육의 열림은 다른 교과나 비교과 활동의 넘나듦을 추동하는 것으로 국어교육이 지닌 본연의 정체성을 강화하는 데 기여한다. 이는 국어과와 다른 교과 혹은 비교과의 일대일 결합이 아니라 넘나듦을 추동하는 매개 담론을 통해 실현될 수 있다. 그리고 교육과정 층위에서 이들 매개 담론은 빅 아이디어로 수렴된다.
이 연구에서는 국어과 빅 아이디어를 제안하기 위한 매개 담론으로 생태언어학을 도입한다. 생태언어학은 ‘인간, 언어, 환경’의 관계성과 총체성을 지속가능성의 관점에서 조명하는 학문이다. 구체적으로 생태언어학은 인간 생태론, 사회 생태론, 심층 생태론으로 세분화되어 인간이 사회와 자연 속에서 지속가능한 언어를 사용하는지의 문제에 대해 탐구한다. 특히 인간의 언어가 오직 인위적인 전유물이 아니라 사회를 영속시키고 자연과의 조화를 이루는 생태적 균형성을 지니고 있음을 역설한다. 이와 같은 생태언어학을 통하여 국어로써 사고하며 국어를 소통하고 바람직한 국어 문화를 형성하는 국어교육의 정체성을 보다 강화해 줄 수 있다. 구체적으로 지속가능한 국어 사용에 관한 새로운 교육적 화두를 국어교육에 제공하여 삶으로서의 국어교육을 가능하게 하는 융복합의 내용을 구성할 수 있다. 그것은 바로 ‘인간, 언어, 환경의 균형적인 관계’를 유지하고 이를 통해 ‘바람직한 소통과 문화의 상’을 그려나가는 것이다. 이에 이 연구는 국어과 빅 아이디어로 ‘생태적 균형성’을 제안한다. This study aims at suggesting big idea of Korean subject based on ecolinguistics for an effective implication of convergence education. It has a meaning to get a way of confirming a valid direction of convergence education for coping with it on Korean subject curriculum. Especially this study suggest big idea of Korean subject on a basis of ecolinguistics which is condensing directional similarity with convergence education, seeking the educations as living.
Convergence education is oriented to combine subjects, in fact, it emphasizes crossing subjects. It focuses on making learners to get a human image, having the professionalism in one field and communicating with other fields. Korean language education points to the openness for coping with convergence education. And this openness induces subject of activities in it to cross others, it contributes reinforcement of Korean language education’s identity itself. It could be opened not by one to one combination of subjects but by mediation discourses for leading a crossing. And these mediation discourses converge on big idea at a level of the curriculum.
This study adopts ecolinguistics as a mediation discourse for big idea of Korean subject. Ecolinguistics lights relationship and wholeness among the “human, language, environment” at a perspective on sustainability. Concretely, ecolinguistics divides into human ecology, social ecology, and deep ecology, and it inquires for human to use sustainable language in the society and nature. Especially it emphasizes that language is not an artificial property but a doing with ecological balance which makes harmony with the society and nature. So ecolinguistics could reinforce the identity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thinking by Korean language, communicating Korean language, and forming a desirable Korean language culture. At the same time, it could transfer contents of convergence which are related to Korean language education as living through new educational topics about sustainable language use. This is maintaining “a balanced relationship among human, language, environment”, sketching “desirable communication and culture phenomenons”. So, this study suggest the “ecological balance” as big idea of Korean subject. KCI Citation Count: 9 |
---|---|
Bibliography: | http://www.kice.re.kr/boardCnts/view.do?boardID=1500201&boardSeq=5001829&lev=0&m=030202&searchType=null&statusYN=W&page=1&s=kice G704-001275.2015.18.3.012 |
ISSN: | 1229-1544 2671-728X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