급성 심근경색증 후 심실중격 결손: 10년 경험
배경: 급성 심근경색증에 합병된 심실중격 결손은 내과적 치료만으로는 85∼90%의 높은 사망률을 보이는 질환으로서, 본 병원에서의 외과적 치료 경험을 분석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6년 8월부터 2006년 8월 사이에 급성 심근경색증 후 합병된 심실중격 결손으로 수술적 치료를 시행한 11예를 대상으로 후향적으로 의무기록을 검토하였다. 남자가 4명, 여자가 7명이었으며 평균연령은 70 11 (범위, 50∼84)세였다. 심실중격 결손의 위치는 전중격 결손이 7예, 후중격 결손이 4예 있었다. 심실중격 결손은 급성 심근경색 후 2.0...
Saved in:
Published in | Journal of chest surgery pp. 351 - 355 |
---|---|
Main Authors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대한흉부외과학회
01.05.2007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2765-1606 2765-1614 |
Cover
Abstract | 배경: 급성 심근경색증에 합병된 심실중격 결손은 내과적 치료만으로는 85∼90%의 높은 사망률을 보이는 질환으로서, 본 병원에서의 외과적 치료 경험을 분석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6년 8월부터 2006년 8월 사이에 급성 심근경색증 후 합병된 심실중격 결손으로 수술적 치료를 시행한 11예를 대상으로 후향적으로 의무기록을 검토하였다. 남자가 4명, 여자가 7명이었으며 평균연령은 70 11 (범위, 50∼84)세였다. 심실중격 결손의 위치는 전중격 결손이 7예, 후중격 결손이 4예 있었다. 심실중격 결손은 급성 심근경색 후 2.0 1.3 (범위, 1∼5)일째에 발견되었으며 심실중격 결손의 진단 후 2.4 2.7 (범위, 0∼8)일째에 수술을 시행하였다. 모든 환자에서 수술 전 심초음파와 관상동맥조영술을 시행하여 심실중격 결손의 위치, 심실 기능, 그리고 관상동맥 병변을 파악하였으며, 수술 전에 대동맥내 풍선펌프를 삽입한 경우가 10예 있었다. 결과: 11예 모두에서 infarct exclusion 술식을 시행하였고, 8예에서는 관상동맥우회술을 함께 시행하였으며 평균 문합수는 1.0 0.8개였다. 수술 사망은 1예였으며 수술 후 초음파 소견에서 잔여 단락이 발견되었던 2예에서는 첩포의 누출에 대해 재수술을 시행하였다. 그 밖의 합병증으로는 일시적인 심방세동(7예), 발작성 심실상성빈맥(1예), 저심박출증(3예), 재수술이 필요했던 출혈(2예), 흉골 지연봉합(2예), 급성 신부전(2예), 폐렴(1예), 대동맥내 풍선펌프로 인한 혈전색전증(1예), 수술 후 섬망(2예) 등이 있었다. 생존한 10명의 환자들 중 1명을 제외한 나머지 9명의 환자에서 38 40개월간의 추적관찰이 되었는데, 추적 관찰 기간 중에 3명이 사망하였고 생존한 6명의 환자는 모두 양호한 상태(NYHA 기능등급, I∼II)를 보였으며, 그 중 3명에서는 혈역학적으로 큰 의미가 없는 잔여단락이 있었다. 결론: 급성 심근경색증 후 심실중격 결손은 수술위험도가 높은 질환이지만, 수술 전 대동맥내 풍선펌프를 삽입하고 조기에 심실중격 결손부의 infarct exclusion 술식과 함께 관상동맥우회술을 시행함으로써 만족할 만한 수술 및 중기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KCI Citation Count: 0 |
---|---|
AbstractList | 배경: 급성 심근경색증에 합병된 심실중격 결손은 내과적 치료만으로는 85∼90%의 높은 사망률을 보이는 질환으로서, 본 병원에서의 외과적 치료 경험을 분석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6년 8월부터 2006년 8월 사이에 급성 심근경색증 후 합병된 심실중격 결손으로 수술적 치료를 시행한 11예를 대상으로 후향적으로 의무기록을 검토하였다. 남자가 4명, 여자가 7명이었으며 평균연령은 70 11 (범위, 50∼84)세였다. 심실중격 결손의 위치는 전중격 결손이 7예, 후중격 결손이 4예 있었다. 심실중격 결손은 급성 심근경색 후 2.0 1.3 (범위, 1∼5)일째에 발견되었으며 심실중격 결손의 진단 후 2.4 2.7 (범위, 0∼8)일째에 수술을 시행하였다. 모든 환자에서 수술 전 심초음파와 관상동맥조영술을 시행하여 심실중격 결손의 위치, 심실 기능, 그리고 관상동맥 병변을 파악하였으며, 수술 전에 대동맥내 풍선펌프를 삽입한 경우가 10예 있었다. 결과: 11예 모두에서 infarct exclusion 술식을 시행하였고, 8예에서는 관상동맥우회술을 함께 시행하였으며 평균 문합수는 1.0 0.8개였다. 수술 사망은 1예였으며 수술 후 초음파 소견에서 잔여 단락이 발견되었던 2예에서는 첩포의 누출에 대해 재수술을 시행하였다. 그 밖의 합병증으로는 일시적인 심방세동(7예), 발작성 심실상성빈맥(1예), 저심박출증(3예), 재수술이 필요했던 출혈(2예), 흉골 지연봉합(2예), 급성 신부전(2예), 폐렴(1예), 대동맥내 풍선펌프로 인한 혈전색전증(1예), 수술 후 섬망(2예) 등이 있었다. 생존한 10명의 환자들 중 1명을 제외한 나머지 9명의 환자에서 38 40개월간의 추적관찰이 되었는데, 추적 관찰 기간 중에 3명이 사망하였고 생존한 6명의 환자는 모두 양호한 상태(NYHA 기능등급, I∼II)를 보였으며, 그 중 3명에서는 혈역학적으로 큰 의미가 없는 잔여단락이 있었다. 결론: 급성 심근경색증 후 심실중격 결손은 수술위험도가 높은 질환이지만, 수술 전 대동맥내 풍선펌프를 삽입하고 조기에 심실중격 결손부의 infarct exclusion 술식과 함께 관상동맥우회술을 시행함으로써 만족할 만한 수술 및 중기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KCI Citation Count: 0 |
Author | 정요천 김기봉 조광리 |
Author_xml | – sequence: 1 fullname: 정요천 organization: (서울대학교) – sequence: 2 fullname: 조광리 organization: (서울대학교) – sequence: 3 fullname: 김기봉 organization: (서울대학교) |
BackLink |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1198245$$DAccess content in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NRF) |
BookMark | eNrjYmDJy89LZWLgNDI3M9U1NDM0YYGzDcw4GHiLizOTDExMzE2MzQ3NORlsXu3ofNOyUeFN95pX2_e82rT3TXPnm2VzFd7ObgGJvele8mbJxFebViq82rThTdsEKwVDg9etLUDe3rfTZ_AwsKYl5hSn8kJpbgZNN9cQZw_dvKK0-OzkzPj8xEwwnZ4fn10U7xgU4hlvaGhmYW5kZkyKWgBxUk9F |
ContentType | Journal Article |
DBID | ACYCR |
DatabaseName | Korean Citation Index |
DatabaseTitleList | |
DeliveryMethod | fulltext_linktorsrc |
DocumentTitleAlternate | Post-Infarction Ventricular Septal Rupture: 10 Years of Experience |
EISSN | 2765-1614 |
EndPage | 355 |
ExternalDocumentID | oai_kci_go_kr_ARTI_1168726 |
GroupedDBID | ACYCR ALMA_UNASSIGNED_HOLDINGS GROUPED_DOAJ OK1 RPM |
ID | FETCH-nrf_kci_oai_kci_go_kr_ARTI_11687263 |
ISSN | 2765-1606 |
IngestDate | Tue Nov 21 21:39:33 EST 2023 |
IsPeerReviewed | true |
IsScholarly | true |
Language | Korean |
LinkModel | OpenURL |
MergedId | FETCHMERGED-nrf_kci_oai_kci_go_kr_ARTI_11687263 |
Notes | G704-000272.2007.40.5.006 |
ParticipantIDs | nrf_kci_oai_kci_go_kr_ARTI_1168726 |
PublicationCentury | 2000 |
PublicationDate | 2007-05 |
PublicationDateYYYYMMDD | 2007-05-01 |
PublicationDate_xml | – month: 05 year: 2007 text: 2007-05 |
PublicationDecade | 2000 |
PublicationTitle | Journal of chest surgery |
PublicationYear | 2007 |
Publisher | 대한흉부외과학회 |
Publisher_xml | – name: 대한흉부외과학회 |
SSID | ssib044743717 ssj0002513323 |
Score | 3.2523618 |
Snippet | 배경: 급성 심근경색증에 합병된 심실중격 결손은 내과적 치료만으로는 85∼90%의 높은 사망률을 보이는 질환으로서, 본 병원에서의 외과적 치료 경험을 분석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6년 8월부터 2006년 8월 사이에 급성 심근경색증 후 합병된 심실중격 결손으로 수술적 치료를... |
SourceID | nrf |
SourceType | Open Website |
StartPage | 351 |
SubjectTerms | 흉부외과학 |
Title | 급성 심근경색증 후 심실중격 결손: 10년 경험 |
URI |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1198245 |
hasFullText | 1 |
inHoldings | 1 |
isFullTextHit | |
isPrint | |
ispartofPNX | Journal of Chest Surgery, 2007, 40(5), , pp.351-355 |
link | http://utb.summon.serialssolutions.com/2.0.0/link/0/eLvHCXMwnV3NaxQxFA_bnryIUsWvyiDmIMvIZCaTmUgv87FShXqq0NvSmc2ILOzCur148NJVKL3YUwXxVgTBg-5FD_YfGqf_gy8vs7tTqVi9DC_Jyy8veSHz3kySR8hdrnKV-apnK8Zzm7OisGXgFuDz9Jw8UFnh4x_djSdi_Sl_vOVvtVpVY9fSzji7n78881zJ_2gV8kCv-pTsP2h2DgoZQIN-4Qkahue5dEw7EY1DGkraSWjIaczaSMU0SrAsoLEhXBqnWOTV3JGgMgXulMoYqjbrGYIjF6eS1QCRbM-gHGQCBAc_KEASMHwDM28MkANqYj-fYf1inK72i8ahbNA6NulQ6WtCRlSiEIAnk1MsDEWAlox4se5N1GCBEqm3cJjhiVE-4DVRhObfOILFjkKcldiLBOulWgaZIJHiiAGAwCIQTGpUje3h8BpmiUQECIu11Q2EbzPh1LdwN_MYb6znXn0brqpT_uK1Odsq8Nvb9NS93f38effZsNsfdcE7eQTelggDVyyRJY_pNXnjVWe29nEOptzMtdZWhKsD72B0wrmsYP4MRkXD_Nm8RC7WmrMiMwkvk1Z_uELWyu971eSrVe1_Lr_9KKfH1e5e9fGDdfJ-ovOq_aPq6KCcfrLK6ZfqzdsHFnN-vp5A6vjk8N0Vcu9hZzNZt6E17MKfu-JdJcuD4UBdI1ZvO8i4tx06gci4AMNWesLnChz6zHOUyq-TO3_Hu3EeppvkwmKS3CLL49GOWgXTcJzdxjH9BaTuU0w |
linkProvider | ISSN International Centre |
openUrl | ctx_ver=Z39.88-2004&ctx_enc=info%3Aofi%2Fenc%3AUTF-8&rfr_id=info%3Asid%2Fsummon.serialssolutions.com&rft_val_fmt=info%3Aofi%2Ffmt%3Akev%3Amtx%3Ajournal&rft.genre=article&rft.atitle=%EA%B8%89%EC%84%B1+%EC%8B%AC%EA%B7%BC%EA%B2%BD%EC%83%89%EC%A6%9D+%ED%9B%84+%EC%8B%AC%EC%8B%A4%EC%A4%91%EA%B2%A9+%EA%B2%B0%EC%86%90%3A+10%EB%85%84+%EA%B2%BD%ED%97%98&rft.jtitle=Journal+of+chest+surgery&rft.au=%EC%A0%95%EC%9A%94%EC%B2%9C&rft.au=%EC%A1%B0%EA%B4%91%EB%A6%AC&rft.au=%EA%B9%80%EA%B8%B0%EB%B4%89&rft.date=2007-05-01&rft.pub=%EB%8C%80%ED%95%9C%ED%9D%89%EB%B6%80%EC%99%B8%EA%B3%BC%ED%95%99%ED%9A%8C&rft.issn=2765-1606&rft.eissn=2765-1614&rft.spage=351&rft.epage=355&rft.externalDBID=n%2Fa&rft.externalDocID=oai_kci_go_kr_ARTI_1168726 |
thumbnail_l |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lc.gif&issn=2765-1606&client=summon |
thumbnail_m |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mc.gif&issn=2765-1606&client=summon |
thumbnail_s |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sc.gif&issn=2765-1606&client=summ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