흰쥐에서 출형성 쇼크 후 회복 시 저체온법 및 수액 치료에 따른 폐장의 염증성 변화

배경: 출혈성 쇼크는 허혈 시 발생하는 산소산화물 등에 의해 체내에 여러 가지 염증반응을 일으킴으로써 각 장기의 기능부전을 초래한다. 특히 폐장은 허혈 시 조기에 폐포 세포의 투과성이 증가하여 부종, 염증세포의 침윤 및 출혈 등이 일어나 호흡부전증을 초래한다. 또한 출혈성 쇼크 시 기본적으로 시행하는 수액 요법은 간질의 부종을 일으켜 폐장의 기능을 감소시킬 수 있는 위험 요소이다. 따라서 출혈성 쇼크 후 폐장의 기능 저하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폐장의 염증 반응을 줄이고 폐부종을 최소화시키는 노력이 필요하다. 대상 및 방법: 300∼3...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Journal of chest surgery pp. 879 - 890
Main Authors 장원채, 범민선, 정인석, 홍영주, 오봉석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대한흉부외과학회 01.12.2006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2765-1606
2765-1614

Cover

Abstract 배경: 출혈성 쇼크는 허혈 시 발생하는 산소산화물 등에 의해 체내에 여러 가지 염증반응을 일으킴으로써 각 장기의 기능부전을 초래한다. 특히 폐장은 허혈 시 조기에 폐포 세포의 투과성이 증가하여 부종, 염증세포의 침윤 및 출혈 등이 일어나 호흡부전증을 초래한다. 또한 출혈성 쇼크 시 기본적으로 시행하는 수액 요법은 간질의 부종을 일으켜 폐장의 기능을 감소시킬 수 있는 위험 요소이다. 따라서 출혈성 쇼크 후 폐장의 기능 저하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폐장의 염증 반응을 줄이고 폐부종을 최소화시키는 노력이 필요하다. 대상 및 방법: 300∼350 gm 정도의 수컷 흰쥐를 이용하여 경정맥을 통해 약 3 mL/100 g의 혈액을 제거하여 평균 경동맥압 35∼40 mmHg의 출혈성 쇼크 상태(I 단계, 60분)를 유도하고 유지한 후, 제거한 혈액을 재주입하고 수액요법을 실시하여 평균 경동맥압을 80 mmHg로 유지하는 소생 상태(II 단계, 60분)를 시행한 후 약 3시간 정도 경과를 관찰(III 단계)하였다. 실험동물은 3군으로 나누어 실험하였으며 I군(n=10)은 I 단계 시 직장체온을 37 1oC로 유지하고 II 단계에서 린저액을 이용하여 수액요법을 실시하였다. II 군(n=10)은 I 단계 시 직장체온을 33 1oC로 유지하고 II 단계에서 린저액을 이용한 수액요법을 실시하였다. III 군은 I 단계 시 33 1oC로 체온을 유지하였고 II 단계에서 5% 알부민액을 이용하여 수액요법을 실시하였다. 각 군 모두 실험 전, I, II, III 단계 후반에 혈류역학적 인자(심박수, 평균 경동맥압), 동맥혈 가스 분석, 혈청내 포도당과 LDH, I, II 단계의 투여 수액양, 기관지-폐포 세척액의 Interleukin (IL)-8을 측정하였고, 조직검사를 통해 염증반응의 정도를 조직학적 점수로 평가하였다. 결과: I 군의 4예를 제외한 26예가 III단계까지 생존하였다. 각 군 간의 평균 경동맥압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그러나 실험 1단계에서의 채혈량은 I 군은 3.2 0.5 mL/100 g으로 II, III 군의 3.9 0.8 mL/100 g, 4.1 0.7 mL/100 g에 비해 각각 유의하게 적었다(p<0.05). II 단계에서의 투여 수액량은 I 군 28.6 6.0 mL, II 군 20.6 4.0 mL, III 군 14.7 2.7 mL로 각 군 간에 통계적인 유의성이 있었다(p<0.05). 혈청내 칼륨 농도는 I 군에서 II 군에 비해 소생술 후 의의 있게 높았으며(p<0.05), 포도당 농도는 II 단계의 I 군에서 타군과 비교하여 현저히 낮았다(p<0.05). IL-8은 I 군 1,834 437 pg/mL, II 군 1,006 532 pg/mL, III군 764 302 pg/mL로 I 군에서 II 및 III 군과 비교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으며(p<0.05), 폐조직의 조직검사를 통해 평가한 염증세포 분포 점수에서 III 군이 1.6 0.6으로 I 군 2.8 1.2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았다(p<0.05). 결론: 압력 조절형 출혈성 쇼크 모델에서 시행한 저체온법은 정상체온을 유지하고 있는 군에 비해 쇼크 상태에서의 기초대사량을 줄여줌으로써 허혈에 의한 조직의 직접적인 손상을 억제할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또한 저체온법은 수액의 사용량을 줄여주고 IL-8 등의 싸이토카인 분비를 억제시키며 백혈구의 침윤을 줄여줌으로써 쇼크 후 폐장의 기능 회복에 도움을 준다. 그러나 저체온법을 시행한 군에서도 투여하는 수액을 달리함으로써 폐장의 염증변화나 손상이 차이를 나타낼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되며 이에 대한 세심한 연구가 있어야 할 것이다. KCI Citation Count: 1
AbstractList 배경: 출혈성 쇼크는 허혈 시 발생하는 산소산화물 등에 의해 체내에 여러 가지 염증반응을 일으킴으로써 각 장기의 기능부전을 초래한다. 특히 폐장은 허혈 시 조기에 폐포 세포의 투과성이 증가하여 부종, 염증세포의 침윤 및 출혈 등이 일어나 호흡부전증을 초래한다. 또한 출혈성 쇼크 시 기본적으로 시행하는 수액 요법은 간질의 부종을 일으켜 폐장의 기능을 감소시킬 수 있는 위험 요소이다. 따라서 출혈성 쇼크 후 폐장의 기능 저하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폐장의 염증 반응을 줄이고 폐부종을 최소화시키는 노력이 필요하다. 대상 및 방법: 300∼350 gm 정도의 수컷 흰쥐를 이용하여 경정맥을 통해 약 3 mL/100 g의 혈액을 제거하여 평균 경동맥압 35∼40 mmHg의 출혈성 쇼크 상태(I 단계, 60분)를 유도하고 유지한 후, 제거한 혈액을 재주입하고 수액요법을 실시하여 평균 경동맥압을 80 mmHg로 유지하는 소생 상태(II 단계, 60분)를 시행한 후 약 3시간 정도 경과를 관찰(III 단계)하였다. 실험동물은 3군으로 나누어 실험하였으며 I군(n=10)은 I 단계 시 직장체온을 37 1oC로 유지하고 II 단계에서 린저액을 이용하여 수액요법을 실시하였다. II 군(n=10)은 I 단계 시 직장체온을 33 1oC로 유지하고 II 단계에서 린저액을 이용한 수액요법을 실시하였다. III 군은 I 단계 시 33 1oC로 체온을 유지하였고 II 단계에서 5% 알부민액을 이용하여 수액요법을 실시하였다. 각 군 모두 실험 전, I, II, III 단계 후반에 혈류역학적 인자(심박수, 평균 경동맥압), 동맥혈 가스 분석, 혈청내 포도당과 LDH, I, II 단계의 투여 수액양, 기관지-폐포 세척액의 Interleukin (IL)-8을 측정하였고, 조직검사를 통해 염증반응의 정도를 조직학적 점수로 평가하였다. 결과: I 군의 4예를 제외한 26예가 III단계까지 생존하였다. 각 군 간의 평균 경동맥압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그러나 실험 1단계에서의 채혈량은 I 군은 3.2 0.5 mL/100 g으로 II, III 군의 3.9 0.8 mL/100 g, 4.1 0.7 mL/100 g에 비해 각각 유의하게 적었다(p<0.05). II 단계에서의 투여 수액량은 I 군 28.6 6.0 mL, II 군 20.6 4.0 mL, III 군 14.7 2.7 mL로 각 군 간에 통계적인 유의성이 있었다(p<0.05). 혈청내 칼륨 농도는 I 군에서 II 군에 비해 소생술 후 의의 있게 높았으며(p<0.05), 포도당 농도는 II 단계의 I 군에서 타군과 비교하여 현저히 낮았다(p<0.05). IL-8은 I 군 1,834 437 pg/mL, II 군 1,006 532 pg/mL, III군 764 302 pg/mL로 I 군에서 II 및 III 군과 비교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으며(p<0.05), 폐조직의 조직검사를 통해 평가한 염증세포 분포 점수에서 III 군이 1.6 0.6으로 I 군 2.8 1.2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았다(p<0.05). 결론: 압력 조절형 출혈성 쇼크 모델에서 시행한 저체온법은 정상체온을 유지하고 있는 군에 비해 쇼크 상태에서의 기초대사량을 줄여줌으로써 허혈에 의한 조직의 직접적인 손상을 억제할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또한 저체온법은 수액의 사용량을 줄여주고 IL-8 등의 싸이토카인 분비를 억제시키며 백혈구의 침윤을 줄여줌으로써 쇼크 후 폐장의 기능 회복에 도움을 준다. 그러나 저체온법을 시행한 군에서도 투여하는 수액을 달리함으로써 폐장의 염증변화나 손상이 차이를 나타낼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되며 이에 대한 세심한 연구가 있어야 할 것이다. KCI Citation Count: 1
Author 범민선
홍영주
오봉석
정인석
장원채
Author_xml – sequence: 1
  fullname: 장원채
  organization: (전남대학교)
– sequence: 2
  fullname: 범민선
  organization: (전남대학교)
– sequence: 3
  fullname: 정인석
  organization: (전남대학교)
– sequence: 4
  fullname: 홍영주
  organization: (전남대학교)
– sequence: 5
  fullname: 오봉석
  organization: (전남대학교)
BackLink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1107958$$DAccess content in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NRF)
BookMark eNrjYmDJy89LZWLgNDI3M9U1NDM0YYGzDcw4GHiLizOTDEyNjc3NLAxNORkK3s7d8GbphDfTJ7xpmaPwZtuctzOmvmnZqPCmfc_bxjUKb2e3KLyd1fN681aFN91A-QUNbzZteTNjxetNUxVeb-hXeNMx483UhQpvds54vbgHaIjC6ykbXi_dofC2f8KbeUvfzJ2h8Gb6njfL5oKMfL254e3MKTwMrGmJOcWpvFCam0HTzTXE2UM3rygtPjs5Mz4_MRNMp-fHZxfFOwaFeMYbGppZmBlbGpOiFgDQf3Hr
ContentType Journal Article
DBID ACYCR
DatabaseName Korean Citation Index
DatabaseTitleList
DeliveryMethod fulltext_linktorsrc
DocumentTitleAlternate Inflammatory Reponse of the Lung to Hypothermia and Fluid Therapy after Hemorrhagic Shock in Rats
EISSN 2765-1614
EndPage 890
ExternalDocumentID oai_kci_go_kr_ARTI_1168639
GroupedDBID ACYCR
ALMA_UNASSIGNED_HOLDINGS
GROUPED_DOAJ
PGMZT
RPM
ID FETCH-nrf_kci_oai_kci_go_kr_ARTI_11686393
ISSN 2765-1606
IngestDate Sun Mar 09 07:54:07 EDT 2025
IsPeerReviewed true
IsScholarly true
Language Korean
LinkModel OpenURL
MergedId FETCHMERGED-nrf_kci_oai_kci_go_kr_ARTI_11686393
Notes G704-000272.2006.39.12.005
ParticipantIDs nrf_kci_oai_kci_go_kr_ARTI_1168639
PublicationCentury 2000
PublicationDate 2006-12
PublicationDateYYYYMMDD 2006-12-01
PublicationDate_xml – month: 12
  year: 2006
  text: 2006-12
PublicationDecade 2000
PublicationTitle Journal of chest surgery
PublicationYear 2006
Publisher 대한흉부외과학회
Publisher_xml – name: 대한흉부외과학회
SSID ssib053376815
ssib044743717
ssj0002513323
Score 3.226655
Snippet 배경: 출혈성 쇼크는 허혈 시 발생하는 산소산화물 등에 의해 체내에 여러 가지 염증반응을 일으킴으로써 각 장기의 기능부전을 초래한다. 특히 폐장은 허혈 시 조기에 폐포 세포의 투과성이 증가하여 부종, 염증세포의 침윤 및 출혈 등이 일어나 호흡부전증을 초래한다. 또한 출혈성 쇼크 시...
SourceID nrf
SourceType Open Website
StartPage 879
SubjectTerms 흉부외과학
Title 흰쥐에서 출형성 쇼크 후 회복 시 저체온법 및 수액 치료에 따른 폐장의 염증성 변화
URI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1107958
hasFullText 1
inHoldings 1
isFullTextHit
isPrint
ispartofPNX Journal of Chest Surgery, 2006, 39(12), , pp.879-890
link http://utb.summon.serialssolutions.com/2.0.0/link/0/eLvHCXMwnV3NaxNBFF-anryIouI3gzgHCZHdZHZ35riTD6pQTxV6C7v5EAkkEtOLB6kQULDQHBoatRGLRDx4iK2KQv-jnf0ffDM7m2yKxeplecx7875-m8ybZT4M43aTMmLWLSdXc6mdI7W6lfMbTpCrs4LVNBmlpCE3Cq8-cFYekvvr9vpSZj-1ammjF9ytPfvjvpL_QRXaAFe5S_YfkJ0phQagAV94AsLwPBXGuFzCrIS5ictF7NmYKYK5mqAEs2JWUtwBSklTzGzN45biURdzxaMW9qQ4SHHgx5SHKTA55gXM7VieJ1o9U66TkOrzmBNlmmKPKvE82MkqCoQqcUcq-VLKxl5smzPVxLFXUHa086ojIyowLgPjVHlDK0mIZdkqCRlSVnfkSoPnyNZUiMp56SjIgj1yQj2ubg7LPk1tE4f3cNEY1-a5hSmZi8ThEuVrRXsBxj0zrQWSxRKXOU3gKc1FlHe0pNMIYMhOkPXisQ8zi4tcpFHInA7PTmCGXDHlmKMhAt3SqqeALCbCbIbxfEDIu46dsxxTHx2ebrNIahCi8fU8ST0TX8e6eNT4sRJg4bDxVu1x9VGn2upWYUp1D6aIDoUyNmNkCpYcSFafl5M_bEKg_kx9D4CpA8xedX0pS6G8vD1IXbE48x1quHa3marh1s4ZZzXYyIt_SeeNpVbngvEkGk_FZCB2B6K_h8SPvWg0FP2vSLw8il58QdG7PoreboWH35F4DfwPm-Lgmxh9Dg-GKJxuI_FqJIb7SPwahR-3QAkKd6bh5CeKtgfi_USMR0jsHolPY6kyPNyM3uxcNO5UymvFlRx4qNJwcjoKl4zldqfduGwgP7Coa-V93w8c4ps-dZsQtFNzgA7qlF0xbv1d39XTCF0zzsxftOvGcq-70bgBNXEvuKlw-Q30OJ-w
linkProvider ISSN International Centre
openUrl ctx_ver=Z39.88-2004&ctx_enc=info%3Aofi%2Fenc%3AUTF-8&rfr_id=info%3Asid%2Fsummon.serialssolutions.com&rft_val_fmt=info%3Aofi%2Ffmt%3Akev%3Amtx%3Ajournal&rft.genre=article&rft.atitle=%ED%9D%B0%EC%A5%90%EC%97%90%EC%84%9C+%EC%B6%9C%ED%98%95%EC%84%B1+%EC%87%BC%ED%81%AC+%ED%9B%84+%ED%9A%8C%EB%B3%B5+%EC%8B%9C+%EC%A0%80%EC%B2%B4%EC%98%A8%EB%B2%95+%EB%B0%8F+%EC%88%98%EC%95%A1+%EC%B9%98%EB%A3%8C%EC%97%90+%EB%94%B0%EB%A5%B8+%ED%8F%90%EC%9E%A5%EC%9D%98+%EC%97%BC%EC%A6%9D%EC%84%B1+%EB%B3%80%ED%99%94&rft.jtitle=Journal+of+chest+surgery&rft.au=%EC%9E%A5%EC%9B%90%EC%B1%84&rft.au=%EB%B2%94%EB%AF%BC%EC%84%A0&rft.au=%EC%A0%95%EC%9D%B8%EC%84%9D&rft.au=%ED%99%8D%EC%98%81%EC%A3%BC&rft.date=2006-12-01&rft.pub=%EB%8C%80%ED%95%9C%ED%9D%89%EB%B6%80%EC%99%B8%EA%B3%BC%ED%95%99%ED%9A%8C&rft.issn=2765-1606&rft.eissn=2765-1614&rft.spage=879&rft.epage=890&rft.externalDBID=n%2Fa&rft.externalDocID=oai_kci_go_kr_ARTI_1168639
thumbnail_l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lc.gif&issn=2765-1606&client=summon
thumbnail_m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mc.gif&issn=2765-1606&client=summon
thumbnail_s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sc.gif&issn=2765-1606&client=summ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