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장-구불 결장부 거대 표재성 종양의 내시경 점막하 박리술 치료 성적

목적: 대장의 거대 종양의 경우 기술적인 어려움으로 인해 내시경 점막하 박리술이 보편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지 않다. 이번 연구에서는 직장-구불 결장부의 표재성 거대 종양에서 시행한 내시경 점막하 박리술 성적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고려대학교 구로병원에서 크기가 30 mm 이상인 직장-구불 결장부 종양에 대하여 내시경 점막하 박리술을 시행한 15명을 대상으로 병리결과, 시술성적, 합병증에 대하여 후향적으로 의무기록을 조사하였다. 결과: 병변의 평균 크기는 42.5±14.3 mm(30∼78)이었다. 조직병리 검사에서 고분화...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Clinical endoscopy pp. 222 - 227
Main Authors 고진성, 박종재, 정원호, 이준영, 임상아, 권민정, 노혜진, 주문경, 이범재, 김지훈, 연종은, 김재선, 변관수, 박영태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대한소화기내시경학회 01.04.2011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2234-2400
2234-2443

Cover

Loading…
More Information
Summary:목적: 대장의 거대 종양의 경우 기술적인 어려움으로 인해 내시경 점막하 박리술이 보편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지 않다. 이번 연구에서는 직장-구불 결장부의 표재성 거대 종양에서 시행한 내시경 점막하 박리술 성적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고려대학교 구로병원에서 크기가 30 mm 이상인 직장-구불 결장부 종양에 대하여 내시경 점막하 박리술을 시행한 15명을 대상으로 병리결과, 시술성적, 합병증에 대하여 후향적으로 의무기록을 조사하였다. 결과: 병변의 평균 크기는 42.5±14.3 mm(30∼78)이었다. 조직병리 검사에서 고분화 선암 1명(6.6%), 고도 이형성을 동반한 선종 4명(26.7%), 그리고 저도 이형성을 동반한 선종 10명(66.7%)이었다. 평균 시술시간은 90.5±60.7분(22∼246)이었다. 일괄절제율은 86.7%이었고 완전절제율은 100%이었다. 측방 절제연 양성은 4명(26.6%), 수직 절제연 양성은 없었다. 합병증으로 조기출혈이 3예(20%)에서 발생하였으나 내시경으로 모두 치료하였다. 천공은 3명(20%)에서 발생하였고 이중 2명은 내시경 클립술, 1명은 개복수술을 시행하였다. 결론: 직장-구불 결장의 표재성 거대 종양에서 내시경 점막하 박리술은 높은 일괄절제율을 기대할 수 있는 치료법 중 하나이다. 향후 많은 증례와 장기 추적 관찰에 의한 내시경 점막하 박리술의 안전성과 유용성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Background/Aims: Endoscopic submucosal dissection (ESD) of a colorectal tumor is technically difficult.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clinical outcomes of superficial large rectosigmoid tumors after ESD. Methods: Medical records of 15 patients with large rectosigmoid tumors (more than 30 mm), in which ESD performed, were reviewed retrospectively. Results: The mean tumor size was 42.5±14.3 mm (range, 30∼78 mm). A histological examination revealed a well-differentiated adenocarcinoma in five cases (33.3%), adenoma with high-grade dysplasia in six cases (40%), and low-grade dysplasia in four cases (26.7%). The mean procedural time was 90.5±60.7 min (range, 22∼246 min). The en bloc resection rate was 86.7%, and the complete resection rate 100%. The lateral resection margin was positive in four cases (26.6%), but no cases with a positive vertical margin were observed. Bleeding occurred in three cases (20%), and all were treated successfully using endoscopic measures. Perforations occurred in three cases (20%); two cases were treated by clipping and the other by a laparotomy. Conclusions: ESD is a treatment option for superficial large rectosigmoid tumors. Further studies with larger cases and a longer term follow-up are needed to establish the efficacy and safety of ESD for colorectal tumors. KCI Citation Count: 0
Bibliography:G704-001629.2011.42.4.013
ISSN:2234-2400
2234-24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