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reaplasma Urealyticum의 산모의 질 내 집락 및 미숙아 호흡기 집락이 임상 양상에 미치는 영향

목적: Ureaplasma urealyticum (UU)은 여성 하부 생식기에 집락하여 조기분만, 자연유산, 사산 및 융모양막염 등을 일으킬 수 있고, 미숙아의 경우 주산기 사망, 패혈증, 기관지폐 형성이상 등의 다양한 임상증상을 일으키는 것으로알려져 왔다. 본 연구는 산모의 UU 질 내 집락 및 미숙아 호흡기 집락이 미숙아 임상양상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연구하고자 하였다방법: 2010년 10월부터 2012년 6월까지 본원 산부인과 고위험실과 신생아중환자실에 입원한 35주 미만 미숙아를 대상으로 하였다. UU 검사는 산과적 이유로 질...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Neonatal medicine (Seoul, Korea) pp. 447 - 453
Main Authors 신재영, 안상욱, 성태정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대한신생아학회 01.12.2013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2287-9412
2287-9803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목적: Ureaplasma urealyticum (UU)은 여성 하부 생식기에 집락하여 조기분만, 자연유산, 사산 및 융모양막염 등을 일으킬 수 있고, 미숙아의 경우 주산기 사망, 패혈증, 기관지폐 형성이상 등의 다양한 임상증상을 일으키는 것으로알려져 왔다. 본 연구는 산모의 UU 질 내 집락 및 미숙아 호흡기 집락이 미숙아 임상양상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연구하고자 하였다방법: 2010년 10월부터 2012년 6월까지 본원 산부인과 고위험실과 신생아중환자실에 입원한 35주 미만 미숙아를 대상으로 하였다. UU 검사는 산과적 이유로 질내 swab을 한 산모와 미숙아는 초기 1-3일, 7-10일째 기관내 흡인액과 비강분비물을 대상으로 검사를 시행하였고, 산모 및 미숙아의 검체가 모두 있는 경우만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결과: 총 170명의 연구대상자중 산모의 집락률은 51% (86/170) 이었고 이중 신생아집락률은 39% (66/170)였다. 대상자를 산모UU(+) 및 미숙아UU(+)군(UUA), 산모UU(+) 및 미숙아UU(-)군 (UUB) 산모UU(-) 및 미숙아UU(+)군(UUC) 산모UU(-) 및 미숙아UU(-)군(UUD)의 네 군으로 나누어 재태기간, 출생체중, 조산통, 조기양막파열, 임상적 융모양막염, 조직학적 융모양막염, 신생아호흡곤란증, 기관지폐형성이상, 동맥관개존증, 조기 패혈증, 사망 등에 대한 분석을 한 결과, 조직학적 융모양막염과 기관지폐 형성이상이 통계학적으로 유의하였다(P<0.05). 결론: 산모의 질 내 UU 집락이 있는 경우 조직학적 융모양막염 발생이 증가하였고, UU 질 내 집락 및 미숙아 호흡기 집락은 기관지폐 형성이상과 연관성이 있는 것으로 나왔다. Purpose: Ureaplasma urealyticum (UU) colonization in maternal low genitourinary tract can cause preterm labor, spontaneous abortion, and chorioamnionitis. Also preterm babies suffer from perinatal mortality and morbid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clinical effect of UU colonization in maternal vaginal fluids and premature respiratory secretions on neonatal adverse outcomes. Methods: Retrospective review were performed on preterm baby less than 35 weeks and their mother who were admitted at Kangnam Sacred Heart Hospital, Hallym University from October, 2010 to June, 2012. Maternal vaginal specimen, preterm baby’s tracheal fluid and nasopharynx secretion were collected and PCR and/or culture tests were done. The subjects were divided into 4 groups; both maternal and preterm colonization positive were ‘UUA’ group, only maternal colonization positive as ‘UUB’, only preterm colonization positive as ‘UUC’, and both maternal and preterm colonization negative as ‘UUD’. Variable clinical outcome were investigated. Results: A total of 170 data were collected from the preterm delivery mother and their babies. The overall prevalence of maternal UU was 51% (86/170) and the prevalence of neonatal colonization was 39% (66/170). Of those 4 groups, gestational age (28.5±3.0 week, P=0.000) and birth weight (1,208.8±451 g, P=0.000)were the smallest in UUA. Also, prevalence of histological chorioamnionitis (P=0.040) and bronchopulmonary dysplasia (P=0.000) were statistical higher in UUA. Conclusion: Maternal colonization of UU was associated with histological chorioamnionitis. Maternal UU colonization and preterm respiratory secretion was associated with bronchopulmonary dysplasia. KCI Citation Count: 1
Bibliography:G704-SER000001526.2013.20.4.002
ISSN:2287-9412
2287-98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