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북페어의 브랜딩 전략 분석 –주요 북페어 사례 세 가지를 중심으로
오늘날 북페어는 출판물 전시 및 판매와 정보 교환의 전통적인 기능을 초월하여 독립 창작자와 독자를 둘러싼 교류와 소통의 중심점으로 기능하고 있다. 이에 따라 창작자와 기획자뿐만 아니라 공공기관과 지방자치단체에서도 지역 기반의 콘텐츠로써 북페어를 주목하고 있다. 하지만 양적 증가에도 불구하고 북페어 간 차별점이 뚜렷하지 않다는 점은 북페어의 지속 가능성 측면에서 문제로 지적된다. 이 연구의 목적은 국내에서 개최된 지역 기반 북페어의 통합 브랜딩 전략을 분석하여 북페어가 지속 가능한 문화 플랫폼으로 발전하는 방향을 모색하는 데 있다....
Saved in:
Published in | 기초조형학연구, 26(4) pp. 47 - 60 |
---|---|
Main Author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한국기초조형학회
01.08.2025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1598-8635 2713-5993 |
Cover
Summary: | 오늘날 북페어는 출판물 전시 및 판매와 정보 교환의 전통적인 기능을 초월하여 독립 창작자와 독자를 둘러싼 교류와 소통의 중심점으로 기능하고 있다. 이에 따라 창작자와 기획자뿐만 아니라 공공기관과 지방자치단체에서도 지역 기반의 콘텐츠로써 북페어를 주목하고 있다. 하지만 양적 증가에도 불구하고 북페어 간 차별점이 뚜렷하지 않다는 점은 북페어의 지속 가능성 측면에서 문제로 지적된다. 이 연구의 목적은 국내에서 개최된 지역 기반 북페어의 통합 브랜딩 전략을 분석하여 북페어가 지속 가능한 문화 플랫폼으로 발전하는 방향을 모색하는 데 있다. 연구는 북페어의 개념, 운영 주체와 방식, 사회문화적 역할과 통합 브랜딩 전략에 관한 이론적 고찰을 바탕으로 사례 분석 틀을 구성하고, 전문가 설문을 통해 선정된 세 가지 사례 ‘제 16회 언리미티드 에디션 서울아트북페어 2024’, ‘군산북페어 2024’, ‘광안리 해변도서전 2024’를 중심으로 분석을 수행했다. 사례 분석은 브랜드, 디자인, 경험의 브랜드 경험 영역을 기준으로 콘텐츠 구성, 시각 아이덴티티와 공간 디자인, 소통 방식과 상호작용 등을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분석 결과, 각 북페어는 운영 주체와 지역 맥락에 따라 서로 다른 정체성을 형성했으며 시각 아이덴티티와 공간 디자인의 연계 뿐만 아니라 SNS 중심의 소통 전략이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참가자 및 방문자의 경험 전반을 통합적으로 고려하고 있었다. 이는 북페어가 지속 가능성을 확보하려면 지역성을 반영한 차별화된 콘텐츠와 일관되고 유기적인 통합 브랜딩 전략이 필요하다는 점을 암시한다. 이 연구는 지역 기반 북페어를 통합 브랜딩 전략의 관점에서 체계적으로 살펴본 데 의의가 있다. 다만 시각 자료와 문헌 중심의 조사 및 분석으로 진행되어 운영 주체 및 기획자의 관점과 의도를 반영하지 못한 한계가 있다. 향후 동일한 사례에 대해 기획자 심층 인터뷰 등의 연구 방법을 추가한 정성적 후속 연구를 통해 연구 결과의 설득력을 보완할 필요가 있다. In recent years, book fairs have evolved beyond their traditional roles of showcasing and selling publications and exchanging information. They now function as cultural hubs for interaction between independent creators and readers. As a result, not only publishers and organizers but also public institutions and local governments have begun to recognize book fairs as valuable regional content. Despite the growing number of events, many book fairs show limited differentiation in content, raising concerns about their sustainability. This study aims to explore how regional book fairs in South Korea can develop into sustainable cultural platforms by analyzing their branding strategies. Based on a theoretical review of the book fairs as well as integrated branding strategies this study develops an analytical framework. It analyzes three cases selected through expert surveys: The 16th Unlimited Edition Seoul Art Book Fair 2024, Gunsan Book Fair 2024, and Gwangalli Beach Book Festival 2025. The analysis focuses on three dimensions examining content structure, visual identity, spatial design, communication methods, and audience interaction. The results show that each book fair has developed a distinct identity influenced by its organizing body and regional context. Their strategies consistently connect visual identity, spatial planning, and SNS based communication, offering integrated and coherent experiences. This suggests that sustainable book fairs require differentiated content that reflect local characteristics and integrated branding strategies. This study contributes by systematically examining book fairs through the lens of integrated branding strategies. However, the analysis is limited by its reliance on visual materials and secondary sources. Future research including in depth interviews and qualitative methods is needed to enhance the validity of the findings. KCI Citation Count: 0 |
---|---|
ISSN: | 1598-8635 2713-599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