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위의 관점에서 바라본 예(禮)의 의미

일반적으로 중국 고대 철학자 순자(荀子)가 주장하는 예(禮)는 국가 제도적, 사회적 차원에서 논의되어 왔으며 외재적, 강제적 측면이 강조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예와 법의 유사점과 차이점을 인간 행위의 관점에서 분석함으로써 예의 규정적 성격뿐만 아니라 유추적, 창조적 측면을 살펴보고자 한다. 우선 예와 법은 ‘수(數)’라는 개념의 측면에서 유사하다. ‘수’는 일반적으로 법의 중요한 속성을 대변하는 용어로 사용되었으며, 공공성, 객관성, 규칙성을 띤 규정을 함의한다. 순자는 예의 기원을 ‘천수(天數)’라고 표현함으로써 예의 규정적 성격...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Yulgok sasang yŏn'gu pp. 279 - 304
Main Author 양순자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사)율곡학회 01.06.2025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738-8236
2713-7236
DOI10.35436/yulgok.2025.60..279

Cover

Abstract 일반적으로 중국 고대 철학자 순자(荀子)가 주장하는 예(禮)는 국가 제도적, 사회적 차원에서 논의되어 왔으며 외재적, 강제적 측면이 강조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예와 법의 유사점과 차이점을 인간 행위의 관점에서 분석함으로써 예의 규정적 성격뿐만 아니라 유추적, 창조적 측면을 살펴보고자 한다. 우선 예와 법은 ‘수(數)’라는 개념의 측면에서 유사하다. ‘수’는 일반적으로 법의 중요한 속성을 대변하는 용어로 사용되었으며, 공공성, 객관성, 규칙성을 띤 규정을 함의한다. 순자는 예의 기원을 ‘천수(天數)’라고 표현함으로써 예의 규정적 성격을 드러내고자 하였는데, 이런 측면에서 예와 법은 비슷하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예’는 단순히 규정성을 넘어선 또 다른 특징을 가지고 있는데, ‘류(類)라는 개념을 통해 잘 드러난다. ‘류’는 기존의 모범적인 행위를 새로운 상황에서 유추 적용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따라서 ‘예’는 단순히 규정적인 규범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인간의 주체성이 허용되는 비규정적 성격을 띤다. 마지막으로 순자는 예를 인간의 감정을 변형, 승화하는 형식[文]으로 설명한다. ‘문’은 인간이 자신의 자연적 감정을 인간다운 감정으로 승화하도록 도와주는 형식이면서 동시에 그것을 자신의 내면에 걸맞게 체화하여 몸의 틀로 만든 결과물이다. 인간다운 감정을 적절한 형식에 맞게 표현하는 것은 인간됨의 길, 즉 인도(人道)이다. 심지어 순자는 인간이 자신의 감정을 완벽한 형식으로 자연스럽게 구현해내는 모습을 춤에 비유하면서 ‘천도(天道)’를 실현하는 것과 유사하다고 말한다. 결론적으로 ‘예’는 천수(天數)와 천도(天道)를 아우르는 인도(人道)라고 할 수 있다. 예를 지키는 것은 규정적 행위를 넘어 유추적, 창조적 행위로 나아가는 것이다. 이런 측면에서 순자의 예는 도덕을 넘어 예술의 차원으로까지 이해되기도 한다. In general, rituals (li 禮) advocated by the ancient Chinese philosopher Xunzi(荀子) have been discussed in terms of political and social dimensions, and their external and compulsory aspects have been emphasized. In this paper, I will analyz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ritual and law from the perspective of human behavior, and therefore aim to examine not only a regulatory aspect of the rituals but also analogical and creative ones. First of all, rituals and laws are similar in terms of the concept of ‘regulation (shu 數). ‘Shu’ is generally used as a term representing important attributes of law, and implies regulations with publicness, objectivity, and regularity. Xunzi expressed the origin of rituals ‘Heavenly regulation (tianshu 天數)’, thereby revealing the regulatory nature of rituals. In this respect, the two norms, rituals and laws, can be said to be similar. However, ‘the rituals’ have another characteristic that goes beyond mere regulation, which is well expressed through the concept of ‘classify (lei 類).’ ‘Lei’ refers to our ability to infer and apply existing norms in situations where those norms do not work any more. Therefore, ‘the rituals’ are not simply a regulatory norm, but has a non-regulatory nature that allows us to exercise our subjectivity. Finally, Xunzi explained the transformation and sublimation of human emotions as a form (wen 文). ‘Wen’ is a form that helps us to sublimate our natural emotions into ones that we should feel as humans, and at the same time, is the result of us embodying them in our inner self and making them into our body frame. Expressing human emotions in an appropriate form is the way of humanity (rendao 人道). Xunzi even mentioned that the way in which humans naturally embody their emotions in a perfect form is similar to dance, and that it is similar to realizing the Heavenly Way (tiandao 天道)’. In conclusion, ‘the rituals’ can be said to be a human way that encompasses the Heavenly regulation and the Heavenly Way. Following the rituals goes beyond the normative behavior and moves toward analogical and creative behavior. In this respect, Xunzi’s rituals can be understood as going beyond morality and even reaching the level of art. KCI Citation Count: 0
AbstractList 일반적으로 중국 고대 철학자 순자(荀子)가 주장하는 예(禮)는 국가 제도적, 사회적 차원에서 논의되어 왔으며 외재적, 강제적 측면이 강조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예와 법의 유사점과 차이점을 인간 행위의 관점에서 분석함으로써 예의 규정적 성격뿐만 아니라 유추적, 창조적 측면을 살펴보고자 한다. 우선 예와 법은 ‘수(數)’라는 개념의 측면에서 유사하다. ‘수’는 일반적으로 법의 중요한 속성을 대변하는 용어로 사용되었으며, 공공성, 객관성, 규칙성을 띤 규정을 함의한다. 순자는 예의 기원을 ‘천수(天數)’라고 표현함으로써 예의 규정적 성격을 드러내고자 하였는데, 이런 측면에서 예와 법은 비슷하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예’는 단순히 규정성을 넘어선 또 다른 특징을 가지고 있는데, ‘류(類)라는 개념을 통해 잘 드러난다. ‘류’는 기존의 모범적인 행위를 새로운 상황에서 유추 적용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따라서 ‘예’는 단순히 규정적인 규범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인간의 주체성이 허용되는 비규정적 성격을 띤다. 마지막으로 순자는 예를 인간의 감정을 변형, 승화하는 형식[文]으로 설명한다. ‘문’은 인간이 자신의 자연적 감정을 인간다운 감정으로 승화하도록 도와주는 형식이면서 동시에 그것을 자신의 내면에 걸맞게 체화하여 몸의 틀로 만든 결과물이다. 인간다운 감정을 적절한 형식에 맞게 표현하는 것은 인간됨의 길, 즉 인도(人道)이다. 심지어 순자는 인간이 자신의 감정을 완벽한 형식으로 자연스럽게 구현해내는 모습을 춤에 비유하면서 ‘천도(天道)’를 실현하는 것과 유사하다고 말한다. 결론적으로 ‘예’는 천수(天數)와 천도(天道)를 아우르는 인도(人道)라고 할 수 있다. 예를 지키는 것은 규정적 행위를 넘어 유추적, 창조적 행위로 나아가는 것이다. 이런 측면에서 순자의 예는 도덕을 넘어 예술의 차원으로까지 이해되기도 한다. In general, rituals (li 禮) advocated by the ancient Chinese philosopher Xunzi(荀子) have been discussed in terms of political and social dimensions, and their external and compulsory aspects have been emphasized. In this paper, I will analyz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ritual and law from the perspective of human behavior, and therefore aim to examine not only a regulatory aspect of the rituals but also analogical and creative ones. First of all, rituals and laws are similar in terms of the concept of ‘regulation (shu 數). ‘Shu’ is generally used as a term representing important attributes of law, and implies regulations with publicness, objectivity, and regularity. Xunzi expressed the origin of rituals ‘Heavenly regulation (tianshu 天數)’, thereby revealing the regulatory nature of rituals. In this respect, the two norms, rituals and laws, can be said to be similar. However, ‘the rituals’ have another characteristic that goes beyond mere regulation, which is well expressed through the concept of ‘classify (lei 類).’ ‘Lei’ refers to our ability to infer and apply existing norms in situations where those norms do not work any more. Therefore, ‘the rituals’ are not simply a regulatory norm, but has a non-regulatory nature that allows us to exercise our subjectivity. Finally, Xunzi explained the transformation and sublimation of human emotions as a form (wen 文). ‘Wen’ is a form that helps us to sublimate our natural emotions into ones that we should feel as humans, and at the same time, is the result of us embodying them in our inner self and making them into our body frame. Expressing human emotions in an appropriate form is the way of humanity (rendao 人道). Xunzi even mentioned that the way in which humans naturally embody their emotions in a perfect form is similar to dance, and that it is similar to realizing the Heavenly Way (tiandao 天道)’. In conclusion, ‘the rituals’ can be said to be a human way that encompasses the Heavenly regulation and the Heavenly Way. Following the rituals goes beyond the normative behavior and moves toward analogical and creative behavior. In this respect, Xunzi’s rituals can be understood as going beyond morality and even reaching the level of art. KCI Citation Count: 0
Author 양순자
Author_xml – sequence: 1
  fullname: 양순자
  organization: (전남대학교)
BackLink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3230689$$DAccess content in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NRF)
BookMark eNrjYmDJy89LZWCQMTTQMzY1MTbTryzNSc_P1jMyMDLVMzPQ0zMyt2Ri4DQyNzTWNTcyNmNh4DQ0N7bQtQCyORh4i4szkwwMDA1NDQwMTDgZjN9O63wzp-XN3BkKr7Y0vFkw4c30CW9a5ii83jDl9dw9rzfvUHgzo0Pj-bJ1miAlQPx6_Q4eBta0xJziVF4ozc2g5eYa4uyhm1eUFp-dnBmfn5gJptPz47OL4h2DQjzjDQ3MTQwtzQyNSVIMAFgrUYA
ContentType Journal Article
DBID ACYCR
DOI 10.35436/yulgok.2025.60..279
DatabaseName Korean Citation Index
DatabaseTitleList
DeliveryMethod fulltext_linktorsrc
Discipline Philosophy
DocumentTitleAlternate The Meanings of Rituals from the Perspective of Action
EISSN 2713-7236
EndPage 304
ExternalDocumentID oai_kci_go_kr_ARTI_10741961
GroupedDBID ACYCR
ID FETCH-nrf_kci_oai_kci_go_kr_ARTI_107419613
ISSN 1738-8236
IngestDate Thu Aug 07 06:59:02 EDT 2025
IsDoiOpenAccess true
IsOpenAccess true
IsPeerReviewed false
IsScholarly false
Language Korean
LinkModel OpenURL
MergedId FETCHMERGED-nrf_kci_oai_kci_go_kr_ARTI_107419613
OpenAccessLink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3230689
ParticipantIDs nrf_kci_oai_kci_go_kr_ARTI_10741961
PublicationCentury 2000
PublicationDate 2025-06
PublicationDateYYYYMMDD 2025-06-01
PublicationDate_xml – month: 06
  year: 2025
  text: 2025-06
PublicationDecade 2020
PublicationTitle Yulgok sasang yŏn'gu
PublicationYear 2025
Publisher (사)율곡학회
Publisher_xml – name: (사)율곡학회
SSID ssib001150004
ssj0000740385
ssib022001623
ssib044765234
Score 3.8185928
Snippet 일반적으로 중국 고대 철학자 순자(荀子)가 주장하는 예(禮)는 국가 제도적, 사회적 차원에서 논의되어 왔으며 외재적, 강제적 측면이 강조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예와 법의 유사점과 차이점을 인간 행위의 관점에서 분석함으로써 예의 규정적 성격뿐만 아니라 유추적, 창조적 측면을 살펴보고자...
SourceID nrf
SourceType Open Website
StartPage 279
SubjectTerms 기타인문학
Title 행위의 관점에서 바라본 예(禮)의 의미
URI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3230689
hasFullText 1
inHoldings 1
isFullTextHit
isPrint
ispartofPNX 율곡학연구, 2025, 60(0), 60, pp.279-304
link http://utb.summon.serialssolutions.com/2.0.0/link/0/eLvHCXMwnR27jtNAcBUdzTWIp3gdsgQjAZFNbK-9u-XaODqQDlEc0lFFtnEiFJRIuaQIxYniCuiuQHDFnURFyUNQXMH_IBHzD8yu7cScTihQxBqNd8czO5vZGXt2h5CbDJ10RuOWmdhPWybN0sRM0BE244xmLOWthMcqUNx46K8_pg-2vK1G40sta2kyTqz0xYn7Sv5Hq4hDvapdsv-g2TlRRCCM-sUrahivS-kYonsgfOACohBECJxqAJG8CZGEgKpEBkRJlc6g77ESwKYixEYBBHiPKgD7BaHGuBAoAticA-fog0LEQPogI3BE_RElpDrJNnaqu7pPJs97w35zO96OB73mFEIPeFsVcOlNKi1rAj4IW3PElQgKE0FR27N6G-F4i6wpPX80R9jDARlWHKGQXMvsgrT1wHgghAYk8LBmfBkaX1WAvVibNM7BINpkFa40skX5mXK9dovyxceXAtejuljNVAtrKV4tv2VZ8871k7ePrYh_nL3dT591esNOf9TBCON-RyWwotXCgPuUw5jODNjYiRYeqK0qTMxNnKNS1moeJv4xfAz96fw1IFJT32b1tt1S-mKDp-b_7gncoxM0GHVrTtDmGXK6jF4MWUzFs6TRH54jq4-qchjT88T99fZ1frCbH-4bP7-9zN_v5e_28t0DY_b5zezw--zrkZHvv7r148PH26oJ_mafji6QO-1oM1w38Yl6IP4yIO5FsjIYDrJLxBBMnSzndG0ufJryLEa33rNjT2TdrnDT9DK5sQTBK0u1ukpWF_PwGlkZjybZGvqJ4-S61sxvMXVUyA
linkProvider ISSN International Centre
openUrl ctx_ver=Z39.88-2004&ctx_enc=info%3Aofi%2Fenc%3AUTF-8&rfr_id=info%3Asid%2Fsummon.serialssolutions.com&rft_val_fmt=info%3Aofi%2Ffmt%3Akev%3Amtx%3Ajournal&rft.genre=article&rft.atitle=%ED%96%89%EC%9C%84%EC%9D%98+%EA%B4%80%EC%A0%90%EC%97%90%EC%84%9C+%EB%B0%94%EB%9D%BC%EB%B3%B8+%EC%98%88%28%E7%A6%AE%29%EC%9D%98+%EC%9D%98%EB%AF%B8&rft.jtitle=Yulgok+sasang+y%C5%8Fn%27gu&rft.au=%EC%96%91%EC%88%9C%EC%9E%90&rft.date=2025-06-01&rft.pub=%28%EC%82%AC%29%EC%9C%A8%EA%B3%A1%ED%95%99%ED%9A%8C&rft.issn=1738-8236&rft.eissn=2713-7236&rft.spage=279&rft.epage=304&rft_id=info:doi/10.35436%2Fyulgok.2025.60..279&rft.externalDBID=n%2Fa&rft.externalDocID=oai_kci_go_kr_ARTI_10741961
thumbnail_l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lc.gif&issn=1738-8236&client=summon
thumbnail_m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mc.gif&issn=1738-8236&client=summon
thumbnail_s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sc.gif&issn=1738-8236&client=summ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