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도와 울릉도의 해조상 및 감태의 개체군 특성
이 연구는 독도와 울릉도의 해조 군집 구조와 군집 내 우점하는 대형 갈조류의 개체군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서 수행되었다. 2022년 6월과 9월에 잠수조사를 실시하여, 녹조류 10종, 갈조류 30종, 홍조류 106종 등 총 146종의 해조류 서식을 확인하였다. 조사 기간 동안 평균 생물량은 2,074.78 g/m2이었고 6월에 3,256.35 g/m2, 9월에 893.21 g/m2로 나타나, 9월에 비해 6월이 출현종수 및 평균 생물량이 높게 나타났다. 해조 군집 내 우점종은 감태(Ecklonia cava), 대황(Eisenia bi...
Saved in:
Published in | 수생생물, 2(2) pp. 69 - 77 |
---|---|
Main Authors |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한국조류학회I
01.12.2022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2765-7876 2799-3000 |
DOI | 10.23135/an.2022.2.2.3 |
Cover
Summary: | 이 연구는 독도와 울릉도의 해조 군집 구조와 군집 내 우점하는 대형 갈조류의 개체군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서 수행되었다. 2022년 6월과 9월에 잠수조사를 실시하여, 녹조류 10종, 갈조류 30종, 홍조류 106종 등 총 146종의 해조류 서식을 확인하였다. 조사 기간 동안 평균 생물량은 2,074.78 g/m2이었고 6월에 3,256.35 g/m2, 9월에 893.21 g/m2로 나타나, 9월에 비해 6월이 출현종수 및 평균 생물량이 높게 나타났다. 해조 군집 내 우점종은 감태(Ecklonia cava), 대황(Eisenia bicyclis), 미역(Undaria pinnatifida)으로 전체 생물량의 77.4%를 차지하였다. 감태 개체군의 밀도는 6월에 36.93 ind./m2, 9월에 19.87 ind./m2였고, 생물량은 6월에 1,061.38 g/m2, 9월에 1,164.11 g/m2로 나타나 이 시기에 성체보다 유엽의 탈락이 많은 것을 알 수 있었다. 독도와 울릉도는 현재까지 해조류가 서식하기에 적합한 환경으로 판단되지만, 최근 해수온 상승으로 인한 해양환경 변화가 예상되어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understand the community structure and characteristics of marine algae at Dokdo and Ulleungdo. A survey was conducted in June and September 2022, and a total of 146 species including 10 green, 30 brown, and 106 red were identified. During the survey period, the average biomass was 2,074.78 g/m2, followed by 3,256.35 g/m2 in June and 893.21 g/m2 in September, showing higher number of species and average biomass in June than in September. The dominant species in the marine algal community were Ecklonia cava, Eisenia bicyclis, and Undaria pinnatifida, which account for 77.4% of the total biomass. The density of Ecklonia cava population was 36.93 ind./m2 in June and 19.87 ind./m2 in September, and the biomass was 1,061.38 g/m2 in June and 1,164.11 g/m2 in September. During this period, it was found that more young plants were lost than adults plants. Dokdo and Ulleungdo are considered to be suitable environments for marine algae to inhabit, but continuous monitoring is required as changes in the marine environment are expected due to the recent rise in seawater temperature. KCI Citation Count: 0 |
---|---|
ISSN: | 2765-7876 2799-3000 |
DOI: | 10.23135/an.2022.2.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