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롭게 확인된 여말선초 초간본 문집 3종의 서지적 특징과 가치

이 논문은 15세기 이전 초기문집에 대한 조사 연구를 진행하면서 새롭게 확인한 3종의 문집에 대하여 현존 상황과 서지적 특징을 중심으로 살펴본 것이다. 초기 문집 3종의 현존본을 중심으로 한 서지학적 측면에서 다루어본 것으로 문집의 형태적 특징, 서문과 발문의 기록, 간행과 관련하여 알 수 있는 몇 가지 사실과 기록을 종합적으로 검토해본 결과 이번에 확인된 3종의 책은 중간본 간행 이전에 독자적으로 간행한 초기 판본으로 판단된다. 그 시기는 1363년 「익재난고」, 「역옹패설」, 1400년 「유항선생시집」, 1411년 「둔촌잡영」이...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서지학연구, 0(96) pp. 221 - 245
Main Author 옥영정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서지학회 01.12.2023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225-5246
2671-8758
DOI10.17258/jib.2023..96.221

Cover

Abstract 이 논문은 15세기 이전 초기문집에 대한 조사 연구를 진행하면서 새롭게 확인한 3종의 문집에 대하여 현존 상황과 서지적 특징을 중심으로 살펴본 것이다. 초기 문집 3종의 현존본을 중심으로 한 서지학적 측면에서 다루어본 것으로 문집의 형태적 특징, 서문과 발문의 기록, 간행과 관련하여 알 수 있는 몇 가지 사실과 기록을 종합적으로 검토해본 결과 이번에 확인된 3종의 책은 중간본 간행 이전에 독자적으로 간행한 초기 판본으로 판단된다. 그 시기는 1363년 「익재난고」, 「역옹패설」, 1400년 「유항선생시집」, 1411년 「둔촌잡영」이 분명해 보인다. 이제현(李齊賢, 1287∼1367)의 「익재난고」와 「역옹패설」의 고려간본은 그동안 기록으로만 알려지고 실물이 제대로 확인되지 않았다. 이집(李集, 1314∼1387)의 「둔촌잡영」 또한 현재 남아있는 가장 이른 시기의 간본보다 40년 앞선 1411년 공주에서 간행한 책이다. 한수(韓脩, 1333∼1384)의 「유항선생시집」은 하버드대 도서관 소장본과 동일한 판본으로 국내에는 고려대 도서관에만 남아있다. This paper examines three new types of writings that were newly identified while conducting research on early writings before the 15th century, focusing on the existing situation and bibliographic characteristics. It was dealt with in the bibliographic aspect, focusing on the existing books of three early anthologies, and after a comprehensive review of th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anthology, the records of preface and questioning, and some facts and records related to publication, the three books identified this time are considered to be early editions published independently before the publication of the intermediate version. It seems clear that the period was 1363 Ikjenang-go(益齋亂藁), Yeokong-paeseul(櫟翁稗說). 1400 Yuhang Poetry Book(柳巷先生詩集), and 1411 Dunchon Japyeong(遁村雜詠). Lee Je-hyun’s Ikjenang-go and Yeokong-paeseul Goryeo publications have been known only from records and have not been properly confirmed. Dunchon Japyeong by Yi Jip (1314-1387) is also a book published by Gongju in 1411, 40 years before the earliest publication of the current period. Han-su’s book of poems by 脩s 1333-1384 is the same edition as the Harvard University library, and remains only in the Korea University library in Korea. KCI Citation Count: 0
AbstractList 이 논문은 15세기 이전 초기문집에 대한 조사 연구를 진행하면서 새롭게 확인한 3종의 문집에 대하여 현존 상황과 서지적 특징을 중심으로 살펴본 것이다. 초기 문집 3종의 현존본을 중심으로 한 서지학적 측면에서 다루어본 것으로 문집의 형태적 특징, 서문과 발문의 기록, 간행과 관련하여 알 수 있는 몇 가지 사실과 기록을 종합적으로 검토해본 결과 이번에 확인된 3종의 책은 중간본 간행 이전에 독자적으로 간행한 초기 판본으로 판단된다. 그 시기는 1363년 「익재난고」, 「역옹패설」, 1400년 「유항선생시집」, 1411년 「둔촌잡영」이 분명해 보인다. 이제현(李齊賢, 1287∼1367)의 「익재난고」와 「역옹패설」의 고려간본은 그동안 기록으로만 알려지고 실물이 제대로 확인되지 않았다. 이집(李集, 1314∼1387)의 「둔촌잡영」 또한 현재 남아있는 가장 이른 시기의 간본보다 40년 앞선 1411년 공주에서 간행한 책이다. 한수(韓脩, 1333∼1384)의 「유항선생시집」은 하버드대 도서관 소장본과 동일한 판본으로 국내에는 고려대 도서관에만 남아있다. This paper examines three new types of writings that were newly identified while conducting research on early writings before the 15th century, focusing on the existing situation and bibliographic characteristics. It was dealt with in the bibliographic aspect, focusing on the existing books of three early anthologies, and after a comprehensive review of th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anthology, the records of preface and questioning, and some facts and records related to publication, the three books identified this time are considered to be early editions published independently before the publication of the intermediate version. It seems clear that the period was 1363 Ikjenang-go(益齋亂藁), Yeokong-paeseul(櫟翁稗說). 1400 Yuhang Poetry Book(柳巷先生詩集), and 1411 Dunchon Japyeong(遁村雜詠). Lee Je-hyun’s Ikjenang-go and Yeokong-paeseul Goryeo publications have been known only from records and have not been properly confirmed. Dunchon Japyeong by Yi Jip (1314-1387) is also a book published by Gongju in 1411, 40 years before the earliest publication of the current period. Han-su’s book of poems by 脩s 1333-1384 is the same edition as the Harvard University library, and remains only in the Korea University library in Korea. KCI Citation Count: 0
Author 옥영정
Author_xml – sequence: 1
  fullname: 옥영정
  organization: (한국학중앙연구원)
BackLink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3031432$$DAccess content in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NRF)
BookMark eNrjYmDJy89LZWCQNDTQMzQ3MrXQz8pM0jMyMDLW07M00zMyMmRi4DQyMzfUtTA3tWBh4DQ0MjLVNTUyMeNg4C0uzkwyMDA0NLE0MbfgZAh509zxeuHaV5t6FN7OnPpm7o7XE-YovJm-5vXyCW9aFrzZ0qEAxK82tLzevEPh9Zodb5ZPVDB-s6j1zdwZCm9a5rxZ3vBmQaPC266db5ZPfbV5j8KrDQ1vds7gYWBNS8wpTuWF0twMWm6uIc4eunlFafHZyZnx-YmZYDo9Pz67KN4xKMQz3tDA2MTEyNjAmCTFAAxxZiw
ContentType Journal Article
DBID ACYCR
DOI 10.17258/jib.2023..96.221
DatabaseName Korean Citation Index
DatabaseTitleList
DeliveryMethod fulltext_linktorsrc
DocumentTitleAlternate The Bibliographic Characteristics and Values of the Three Newly Identified Collection of Writings First Published in the Late Goryeo and Early Chosun Period
EISSN 2671-8758
EndPage 245
ExternalDocumentID oai_kci_go_kr_ARTI_10344230
GroupedDBID ACYCR
ALMA_UNASSIGNED_HOLDINGS
M~E
ID FETCH-nrf_kci_oai_kci_go_kr_ARTI_103442303
ISSN 1225-5246
IngestDate Thu Jan 02 03:22:11 EST 2025
IsDoiOpenAccess true
IsOpenAccess true
IsPeerReviewed false
IsScholarly false
Language Korean
LinkModel OpenURL
MergedId FETCHMERGED-nrf_kci_oai_kci_go_kr_ARTI_103442303
Notes https://doi.org/10.17258/jib.2023..96.221
OpenAccessLink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3031432
ParticipantIDs nrf_kci_oai_kci_go_kr_ARTI_10344230
PublicationCentury 2000
PublicationDate 2023-12
PublicationDateYYYYMMDD 2023-12-01
PublicationDate_xml – month: 12
  year: 2023
  text: 2023-12
PublicationDecade 2020
PublicationTitle 서지학연구, 0(96)
PublicationYear 2023
Publisher 한국서지학회
Publisher_xml – name: 한국서지학회
SSID ssib001149478
ssib006781272
ssib022229402
ssib044760735
Score 3.7031496
Snippet 이 논문은 15세기 이전 초기문집에 대한 조사 연구를 진행하면서 새롭게 확인한 3종의 문집에 대하여 현존 상황과 서지적 특징을 중심으로 살펴본 것이다. 초기 문집 3종의 현존본을 중심으로 한 서지학적 측면에서 다루어본 것으로 문집의 형태적 특징, 서문과 발문의 기록, 간행과 관련하여...
SourceID nrf
SourceType Open Website
StartPage 221
SubjectTerms 문헌정보학
Title 새롭게 확인된 여말선초 초간본 문집 3종의 서지적 특징과 가치
URI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3031432
hasFullText 1
inHoldings 1
isFullTextHit
isPrint
ispartofPNX 서지학연구, 2023, 0(96), , pp.221-245
link http://utb.summon.serialssolutions.com/2.0.0/link/0/eLvHCXMwnV3NaxNBFB_aevEiFRW_WdA5aMianf2aOe6XVKGeIvQWsh-RGkggpBcP0mKEIh7qoVihheollwrFekjBvyg7_R98M7ubrLGU6CHLY_a933uzb5l5M5n3FqGHJIqYGZOkGtpxXDWMZgSURqs0spqM2TGEyCJ3ePWFtfLSeL5mri0sPiqdWtroh2r05ty8kv_xKrSBX0WW7D94dgIKDUCDf-EKHobrXD7GgYepjinFgYsdDTs-DhzsEky9Cg58zBhmpmBiPnYlE6thJu5Bk40dT8rZolUgGdiRhAvxJa1MKIlZE7eB29UBqSLlPInpSQCtoksSVBcKWQYBYszL2aiEByVUk_ZRAGYFhCn1ALywL9OYWQOdoOUY-jxUX8gzlncMZAWCKWyEV6gGUTSzSnseko1ix8wJquV2ZV_iLHZBiD5zoqTQ4xXw_oW2AOGAK0rjPgxrsCbPd0MT2UYsW4PJIqssX4zvWTp3HiqQrBLmX7OQTUyRWvF6PVSFrarKLHUiWa74PTMT_1Hzux2tN151G-1eA1Y2zxqaqM0I68VFdInYtjyRsPo2mEa-sNItV2aDGEQj05RoIj7bbkwrvRmGbcHgLg74Trqe_-cvjH8yazpEXp1eqxR51ZfRlXzJpDjZ-38VLbS711Cdv9tOv34f__ionH3Z5QejdGdf4Z-P0uEOHxzyn9sK_MbHg_RkpKRHIz78pOj823t-sKfwwT4fbvLDLeXswykf7o5Pfinj401-uncdPX4a1L2VKlghn8wFT0i_gZY63U5yEylNq2W2LENMXIkRm1oYhyI-hyW81orsWu0WejAH4O25uO6gy9MX8y5a6vc2knsQsPbD-9JVvwHlOnmX
linkProvider ISSN International Centre
openUrl ctx_ver=Z39.88-2004&ctx_enc=info%3Aofi%2Fenc%3AUTF-8&rfr_id=info%3Asid%2Fsummon.serialssolutions.com&rft_val_fmt=info%3Aofi%2Ffmt%3Akev%3Amtx%3Ajournal&rft.genre=article&rft.atitle=%EC%83%88%EB%A1%AD%EA%B2%8C+%ED%99%95%EC%9D%B8%EB%90%9C+%EC%97%AC%EB%A7%90%EC%84%A0%EC%B4%88+%EC%B4%88%EA%B0%84%EB%B3%B8+%EB%AC%B8%EC%A7%91+3%EC%A2%85%EC%9D%98+%EC%84%9C%EC%A7%80%EC%A0%81+%ED%8A%B9%EC%A7%95%EA%B3%BC+%EA%B0%80%EC%B9%98&rft.jtitle=%EC%84%9C%EC%A7%80%ED%95%99%EC%97%B0%EA%B5%AC%2C+0%2896%29&rft.au=%EC%98%A5%EC%98%81%EC%A0%95&rft.date=2023-12-01&rft.pub=%ED%95%9C%EA%B5%AD%EC%84%9C%EC%A7%80%ED%95%99%ED%9A%8C&rft.issn=1225-5246&rft.eissn=2671-8758&rft.spage=221&rft.epage=245&rft_id=info:doi/10.17258%2Fjib.2023..96.221&rft.externalDBID=n%2Fa&rft.externalDocID=oai_kci_go_kr_ARTI_10344230
thumbnail_l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lc.gif&issn=1225-5246&client=summon
thumbnail_m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mc.gif&issn=1225-5246&client=summon
thumbnail_s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sc.gif&issn=1225-5246&client=summ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