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화된 3T3-L1 세포에서 로스팅 차가버섯의 항비만 효능 평가

본 연구에서는 로스팅에 따른 차가버섯의 항비만 기능성 증진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서로 다른 조건에서 차가버섯을 로스팅하고 그 추출분말을 제작한 후 지방전구세포인 3T3-L1의 세포독성을 확인하고 분화된 지방세포에서 지방구 축적 정도와 지방세포 분화와 관련된 단백질의 발현을 조사하였다. 결과에서 보는 것처럼, 지방전구세포인 3T3-L1에서 차가버섯 원물 추출물과 3가지 조건으로 로스팅한 차가버섯 추출물을 가지고 세포독성을 확인한 결과, 로스팅 조건 3번의 차가버섯 추출물을 150, 200 ug/mL을 처리하였을 때 세포생존율이 유의...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강원 농업생명환경연구 Vol. 29; no. 3; pp. 193 - 201
Main Authors 김나은, Kim N. E, 이미옥, M. O. Lee, 장미희, M. H. Jang, 정병희, B. H. Chung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강원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31.12.2017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Cover

Loading…
More Information
Summary:본 연구에서는 로스팅에 따른 차가버섯의 항비만 기능성 증진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서로 다른 조건에서 차가버섯을 로스팅하고 그 추출분말을 제작한 후 지방전구세포인 3T3-L1의 세포독성을 확인하고 분화된 지방세포에서 지방구 축적 정도와 지방세포 분화와 관련된 단백질의 발현을 조사하였다. 결과에서 보는 것처럼, 지방전구세포인 3T3-L1에서 차가버섯 원물 추출물과 3가지 조건으로 로스팅한 차가버섯 추출물을 가지고 세포독성을 확인한 결과, 로스팅 조건 3번의 차가버섯 추출물을 150, 200 ug/mL을 처리하였을 때 세포생존율이 유의적으로 감소한 것을 제외하면 다른 모든 추출물에서는 유의적인 세포독성은 나타내지 않았다. 또한, Oil Red O 염색법을 통해 지방 축적량을 확인한 결과 차가버섯 원물 및 로스팅 차가버섯 추출물 모두에서 지방구 축적이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며, 특히 로스팅 조건 2번의 차가버섯 추출물을 200 ug/mL로 처리한 경우에는 억제효과가 더욱 크게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Western blot analysis를 이용하여 지방분화 유도 단백질인 PPAR-γ와 C/EBP-α의 발현량을 확인한 결과, 차가버섯 원물 추출물보다는 조건별로 로스팅한 차가버섯 추출물 모두에서 PPAR-γ와 C/EBP-α의 발현량이 감소하였으며, 특히 100 ug/mL보다 200 ug/mL을 처리하였을 때 발현량이 더욱 감소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차가버섯, 특히 로스팅한 차가버섯이 비만을 예방하는 잠재적 후보군으로서의 가능성 높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e anti-obesity effects of extracts of Inonotus obliquus and roasted I. obliquus were investigated through the measurement of the differentiation of 3T3-L1 pre-adipocytes to adipocytes. Cytotoxic activity was determined by MTT assays on 3T3-L1 pre-adipocyte. Adipocyte differentiation was assessed through the evaluation of lipid accumulation (by using Oil Red O staining) and the expression of adipogenic proteins (by using western blotting). Compared with the control, the treatment of differentiating adipocytes with extracts of I. obliquus , and roasted I. obliquus significantly inhibited differentiation. In the presence of an adipogenic cocktail (isobutyl-methylxanthine, dexamethasone, and insulin), I. obliquus and roasted I. obliquus extracts significantly decreased the expression of adipogenic proteins, 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γ (PPARγ), and CCAAT/enhancer binding protein alpha (C/EBP-α), relative to the expression level of N-acetyl-L-cystein (NAC, negative control).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the extracts of I. obliquus and roasted I. obliquus were potential candidates for the prevention obesity.
Bibliography: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 Kangwon National University
ISSN:2233-83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