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속성 외래 복막투석 환자에서 아미노산 투석액 ( Nutrineal(R) ) 의 장기간 사용이 영양상태에 미치는 영향 - 반응군과 비반응군의 비교
배 경 : 복막투석 환자에서 아미노산 복약투식액 (IPAA)의 사용이 영양학적 지표를 단기적으로는 개선한다고 보고되고 있으나, 장기적으로 투여하였을 때 영양상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아직 보고된 바가 없다. 이에 저자들은 IPAA의 장기간 사용이 환자의 영양상태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고, IPAA의 사용으로 영양상태의 호전을 보이는 환자들의 특성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방 법 : 영양실조 소견을 보이는 지속성 외래 복막투석 환자 46명을 대상으로 하여 아미노산 복막투석액 (Nutrineal^ )을 1일 1회 12개월간 사용하면서...
Saved in:
Published in | Kidney research and clinical practice Vol. 21; no. 5; pp. 767 - 779 |
---|---|
Main Authors | , , , , , , , , , , , , , , , , , , , ,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대한신장학회
01.09.2002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Cover
Loading…
Abstract | 배 경 : 복막투석 환자에서 아미노산 복약투식액 (IPAA)의 사용이 영양학적 지표를 단기적으로는 개선한다고 보고되고 있으나, 장기적으로 투여하였을 때 영양상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아직 보고된 바가 없다. 이에 저자들은 IPAA의 장기간 사용이 환자의 영양상태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고, IPAA의 사용으로 영양상태의 호전을 보이는 환자들의 특성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방 법 : 영양실조 소견을 보이는 지속성 외래 복막투석 환자 46명을 대상으로 하여 아미노산 복막투석액 (Nutrineal^ )을 1일 1회 12개월간 사용하면서 영양학적 지표를 12개월 동안 측정하였으며, 크레아티닌 배설량으로부터 계산된 제지방무게 (LBMCr)가 2.0 ㎏ 이상 증가하거나 전체 체중에 대한 제지방무게의 비율 (%LIBMCr)이 5% 이상 증가한 환자들을 반웅군으로 정의하여, 반응군과 비반응군 두 군에서 여러 지표를 비교하였다.
결 과 : IPAA를 12개월 사용 후 혈청 요소질소, 크레아티닌, IGF-1은 기저치와 비교하여 지속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단백질과 알부민은 의미있는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혈청 총 CO_2는 IPAA 투여 후 점차 감소하여 대사성산증의 정토가 심화되는 경향을 보였다. LBMCr, 표준 단백질소 발현을, 주관적 영양상태 평가, 운동 능력은 아미노산 투석액 투여 후 지속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여, 영양 상태의 호전을 보여주었다. IPAA 사용 후 혈청 요소질소, 단백질소 발현을, 표준화 단백질소 발현을과 주관적 영양상태평가는 반응군과 비반응군 모두에서 기저치에 비해 유의하게 상승하였으나, 반응군에서의 상승이 비반옹군보다 더욱 현저하였다. 그러나 혈청 크레아티닌, LBMCr와 %LBMCr은 반웅군에서만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또한, 운동능력은 기저치에서부터 반응군이 비반응군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으며, IPAA 사용 후 반웅군에서만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IPAA 사용 이전부터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던 혈청 알부민은 비반웅군에서는 계속 감하였으나, 반응군에서는 감소하는 경향이 둔화되어 안정화되는 경향을 보였다.
결 론 : 1일 1회 1.1% TPAA의 장기간 사용은 영양실조 상태의 복막투석 환자에서 영양상태의 호전을 초래하는 것으로 생각할 수 있었다. 영양실조가 진행된 환자보다 영양실조가 경한 상태에서부터, 특히 기저치 운동능력이 보전된 환자와 IPAA 사용 후에 IGF-1, LBMCr와 운동능력이 증가하는 환자에서 IPAA을 지속적으로 사용하는 것이 영양상태의 호전을 더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Background : IPAA provide nutritional benefit, at least in the short term. However, the long-term efficacy of IPAA in PD patients remains unclear. An attempt was made to evaluate long-term efficacy of IPAA and to ascertain possible factors associated with improved nutritional status after IPAA. Methods : The 46 malnourished CAPD patients were treated with IPAA (one exchange of Nutrineal" daily) for one year. Various nutritional, boichemical variables, urea kinetic study and measurement of lean body mass based on creatinine excretion (LBMCr) were carried out at baseline, and at 3month interval thereafter. Responders was defined as those patients who had an increment of mean LBMCr more than 2.0 ㎏ and/or an increase in mean %LBMCr (LBMCr/Body weight) more than 5% during IPAA treatment. Results : After administration of IPAA, BUN, Cr, LBMCr, %LBMCr, nPNA, SGA, and exercise capacity increased significantly. But, protein and albumin level showed no significant change. Increment of GF-1 level was significant. At baseline, responders had a significantly higher hand grip and back lift strength compared to non-responders. IPAA treatment significantly increased in BUN, PNA and nPNA in both groups, but the increment of them was pronounced in responders. IPAA resulted in a significant increase in serum creatinine (10.6±2.1 vs. 11.8±2.6 ㎎/dL, p<0.05) and %LBMCr (70.8±8.9 vs. 76.4±9.2%, p<0.05), hand grip strength (23.2±7.3 vs. 24.3±7.7 ㎏, p<0.05) and back lift strength (67.0 27.4 vs. 75.3±26.6 ㎏, p<0.05) only in responders. Serum albumin level remained stable after IPAA treatment in responders. Conclusion : IPAA treatment for 12 months provided some nutritional benefits in malnourished CAPD patients. And, our data suggest that response to IPAA is more pronounced in CAPD patients with a better preserved nutritional status, `especially in those patients with higher back lift and hand grip strength at baseline. |
---|---|
AbstractList | 배 경 : 복막투석 환자에서 아미노산 복약투식액 (IPAA)의 사용이 영양학적 지표를 단기적으로는 개선한다고 보고되고 있으나, 장기적으로 투여하였을 때 영양상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아직 보고된 바가 없다. 이에 저자들은 IPAA의 장기간 사용이 환자의 영양상태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고, IPAA의 사용으로 영양상태의 호전을 보이는 환자들의 특성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방 법 : 영양실조 소견을 보이는 지속성 외래 복막투석 환자 46명을 대상으로 하여 아미노산 복막투석액 (Nutrineal^ )을 1일 1회 12개월간 사용하면서 영양학적 지표를 12개월 동안 측정하였으며, 크레아티닌 배설량으로부터 계산된 제지방무게 (LBMCr)가 2.0 ㎏ 이상 증가하거나 전체 체중에 대한 제지방무게의 비율 (%LIBMCr)이 5% 이상 증가한 환자들을 반웅군으로 정의하여, 반응군과 비반응군 두 군에서 여러 지표를 비교하였다.
결 과 : IPAA를 12개월 사용 후 혈청 요소질소, 크레아티닌, IGF-1은 기저치와 비교하여 지속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단백질과 알부민은 의미있는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혈청 총 CO_2는 IPAA 투여 후 점차 감소하여 대사성산증의 정토가 심화되는 경향을 보였다. LBMCr, 표준 단백질소 발현을, 주관적 영양상태 평가, 운동 능력은 아미노산 투석액 투여 후 지속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여, 영양 상태의 호전을 보여주었다. IPAA 사용 후 혈청 요소질소, 단백질소 발현을, 표준화 단백질소 발현을과 주관적 영양상태평가는 반응군과 비반응군 모두에서 기저치에 비해 유의하게 상승하였으나, 반응군에서의 상승이 비반옹군보다 더욱 현저하였다. 그러나 혈청 크레아티닌, LBMCr와 %LBMCr은 반웅군에서만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또한, 운동능력은 기저치에서부터 반응군이 비반응군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으며, IPAA 사용 후 반웅군에서만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IPAA 사용 이전부터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던 혈청 알부민은 비반웅군에서는 계속 감하였으나, 반응군에서는 감소하는 경향이 둔화되어 안정화되는 경향을 보였다.
결 론 : 1일 1회 1.1% TPAA의 장기간 사용은 영양실조 상태의 복막투석 환자에서 영양상태의 호전을 초래하는 것으로 생각할 수 있었다. 영양실조가 진행된 환자보다 영양실조가 경한 상태에서부터, 특히 기저치 운동능력이 보전된 환자와 IPAA 사용 후에 IGF-1, LBMCr와 운동능력이 증가하는 환자에서 IPAA을 지속적으로 사용하는 것이 영양상태의 호전을 더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Background : IPAA provide nutritional benefit, at least in the short term. However, the long-term efficacy of IPAA in PD patients remains unclear. An attempt was made to evaluate long-term efficacy of IPAA and to ascertain possible factors associated with improved nutritional status after IPAA. Methods : The 46 malnourished CAPD patients were treated with IPAA (one exchange of Nutrineal" daily) for one year. Various nutritional, boichemical variables, urea kinetic study and measurement of lean body mass based on creatinine excretion (LBMCr) were carried out at baseline, and at 3month interval thereafter. Responders was defined as those patients who had an increment of mean LBMCr more than 2.0 ㎏ and/or an increase in mean %LBMCr (LBMCr/Body weight) more than 5% during IPAA treatment. Results : After administration of IPAA, BUN, Cr, LBMCr, %LBMCr, nPNA, SGA, and exercise capacity increased significantly. But, protein and albumin level showed no significant change. Increment of GF-1 level was significant. At baseline, responders had a significantly higher hand grip and back lift strength compared to non-responders. IPAA treatment significantly increased in BUN, PNA and nPNA in both groups, but the increment of them was pronounced in responders. IPAA resulted in a significant increase in serum creatinine (10.6±2.1 vs. 11.8±2.6 ㎎/dL, p<0.05) and %LBMCr (70.8±8.9 vs. 76.4±9.2%, p<0.05), hand grip strength (23.2±7.3 vs. 24.3±7.7 ㎏, p<0.05) and back lift strength (67.0 27.4 vs. 75.3±26.6 ㎏, p<0.05) only in responders. Serum albumin level remained stable after IPAA treatment in responders. Conclusion : IPAA treatment for 12 months provided some nutritional benefits in malnourished CAPD patients. And, our data suggest that response to IPAA is more pronounced in CAPD patients with a better preserved nutritional status, `especially in those patients with higher back lift and hand grip strength at baseline. |
Author | 박형천 이종호 So Rae Choi 안수현 Do Sik Yun Soo Hyun Ahn Hyung Cheon Park 윤수영 한대석 Yong Soo Song Ho Yung Lee Jong Ho Lee Seong Kyu Ha Shin Wook Kang 최소래 최규헌 송영수 강신욱 Soo Young Yoon 이호영 하성규 Dae Suk Han 윤도식 Kyu Hun Choi |
Author_xml | – sequence: 1 fullname: 최소래 – sequence: 2 fullname: So Rae Choi – sequence: 3 fullname: 송영수 – sequence: 4 fullname: Yong Soo Song – sequence: 5 fullname: 윤수영 – sequence: 6 fullname: Soo Young Yoon – sequence: 7 fullname: 윤도식 – sequence: 8 fullname: Do Sik Yun – sequence: 9 fullname: 안수현 – sequence: 10 fullname: Soo Hyun Ahn – sequence: 11 fullname: 박형천 – sequence: 12 fullname: Hyung Cheon Park – sequence: 13 fullname: 이종호 – sequence: 14 fullname: Jong Ho Lee – sequence: 15 fullname: 강신욱 – sequence: 16 fullname: Shin Wook Kang – sequence: 17 fullname: 최규헌 – sequence: 18 fullname: Kyu Hun Choi – sequence: 19 fullname: 하성규 – sequence: 20 fullname: Seong Kyu Ha – sequence: 21 fullname: 이호영 – sequence: 22 fullname: Ho Yung Lee – sequence: 23 fullname: 한대석 – sequence: 24 fullname: Dae Suk Han |
BookMark | eNp9jEFLwmAch9-DQVZ-gi7_ox4GbtN05yg6dYjusmDByFZsdeiW-hYVBAqpr-EGHUQCoYkNJvSJ9v72HZoUHTv9eHh-PBss51w4Vo7lNU1VFUPVtXVW8Dz7pFwt1_TKTr2eZ3NMb3H_DD4njGIZCJKLSE4f04cZuE_pSCDoYtgFHxP6XH7E8i5GO6SfA_pvVKTD6yvXdiyzWTwqUYngC0IwSeIwCTmhPcPrO_xPgmhh0EOnlXbGWZKyGJZCPr2sTDqYkEIyFPB7SRQmiy-SS_7Hq2bGSdTdYmunZtOzCr-7ybb39453D5Qz2_Mal659bro3DdWoVtSaof9vvwEYf4vH |
ContentType | Journal Article |
DBID | HZB Q5X |
DatabaseName | KISS Korean Studies Information Service System (KISS) B-Type |
DatabaseTitleList | |
DeliveryMethod | fulltext_linktorsrc |
Discipline | Medicine |
DocumentTitleAlternate | 지속성 외래 복막투석 환자에서 아미노산 투석액 ( Nutrineal(R) ) 의 장기간 사용이 영양상태에 미치는 영향 - 반응군과 비반응군의 비교 |
ExternalDocumentID | 1954179 |
GroupedDBID | AACTN ACGFS ADBBV ALMA_UNASSIGNED_HOLDINGS BCNDV FDB GROUPED_DOAJ HZB HZ~ O-L PC. Q5X RPM |
ID | FETCH-kiss_primary_19541793 |
ISSN | 2211-9132 |
IngestDate | Fri Sep 08 04:48:31 EDT 2023 |
IsPeerReviewed | true |
IsScholarly | true |
Issue | 5 |
Language | Korean |
LinkModel | OpenURL |
MergedId | FETCHMERGED-kiss_primary_19541793 |
Notes | The Korean Society of Nephrology |
PageCount | 13 |
ParticipantIDs | kiss_primary_1954179 |
PublicationCentury | 2000 |
PublicationDate | 20020901 |
PublicationDateYYYYMMDD | 2002-09-01 |
PublicationDate_xml | – month: 09 year: 2002 text: 20020901 day: 01 |
PublicationDecade | 2000 |
PublicationTitle | Kidney research and clinical practice |
PublicationTitleAlternate | Kidney Research and Clinical Practice(구 대한신장학회지) |
PublicationYear | 2002 |
Publisher | 대한신장학회 |
Publisher_xml | – name: 대한신장학회 |
SSID | ssib050734688 ssj0000684936 |
Score | 3.0539358 |
Snippet | 배 경 : 복막투석 환자에서 아미노산 복약투식액 (IPAA)의 사용이 영양학적 지표를 단기적으로는 개선한다고 보고되고 있으나, 장기적으로 투여하였을 때 영양상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아직 보고된 바가 없다. 이에 저자들은 IPAA의 장기간 사용이 환자의 영양상태에 미치는 영향을... |
SourceID | kiss |
SourceType | Publisher |
StartPage | 767 |
Title | 지속성 외래 복막투석 환자에서 아미노산 투석액 ( Nutrineal(R) ) 의 장기간 사용이 영양상태에 미치는 영향 - 반응군과 비반응군의 비교 |
URI | https://kiss.kstudy.com/ExternalLink/Ar?key=1954179 |
Volume | 21 |
hasFullText | 1 |
inHoldings | 1 |
isFullTextHit | |
isPrint | |
link | http://utb.summon.serialssolutions.com/2.0.0/link/0/eLvHCXMwnV3NaxNBFF_aHsSLqFXUqszBgZYlkk12sjPH_UgpSnuoFepJsslWi5CIthdPto2igtCCrak0BQ-lCAVTaiEF_6LsBP8F33xks9EK6mGXtzPv_WbeezM7H8yHYdwqESe0aJlkLKcUZWxxCCatkEomLJWpHUKTFMl9a9Mzhan79p15Mj80_CO1aml5KbxdfnHqvpL_8SqEgV_FLtl_8GwCCgFAg3_hDR6G91_5GBd97DpisQIQtIBpIAkbe5YpKMawR3HRw6yIGTUF5eWxRwQh5BguBphS7PpajgWmCAI5RiUAyElw5mhCMPkKnIgPgTSpU6FEEsCUw17W_B1ci7mW6NeaM-IigGokbhygs3J2QjyCJVC5lem7kFtX4HpZSWQBytSJKGjmYpdpOU_FQe6pJYkCZpKgeRkSCIL5iUpmSgEfe0pv0MTFbAApEEguMTPKiNmefQIJ7wqb6vyBfX3FxLR9_sjd1zThlnHqZtPekOHuYqUKP259KpPeiNjbz9rb5NarN1ILojUUJcJP3J_MpdXM2VJk-o9ri2kpYHatAduB7_pSD8SdVPdqNbG26tHAVFEuWQunKre0ny8LZSC8rfMCZs6mXKqiZAEE_1G_3yDlcpYlVmoMtJ5qf7v-S5BUU-ioa1Z-Oc1cHDAIbcCwMZy3SGoGBH7_MDLJ2wV9ep7qSFGbyUs-k5Sh4wTjquepLuDceeOcHrshV1XEC8bQk9pF48y0Xp0yahzy_Zf89XteP0R8ux3vNlB8dBzvv-2-OeD1JupuN_juOv-4zus7iG_W46_t-FWbr7aQYuCbn9E4SmrF-OwEmkC82UB8d6_TbnVadcRXD_inL7z5DfHGCt_a4Gsr3bUdgEQAxk8a8bsPIqa7tYcyKG41eHOjc9zqHH1H8Uk9-RaY8N05Xr9kjE0W5_ypjFD34VN18sxDbb38ZWOkWqtGVwyUJ6HjVMrRQsQcO1dyQkIXiM2yC2E5pKTsXDVGT0O4dnrwmHG2X26uGyNLz5ajG9DpXgpvSlf9BG71x4k |
link.rule.ids | 315,783,787 |
linkProvider | Directory of Open Access Journals |
openUrl | ctx_ver=Z39.88-2004&ctx_enc=info%3Aofi%2Fenc%3AUTF-8&rfr_id=info%3Asid%2Fsummon.serialssolutions.com&rft_val_fmt=info%3Aofi%2Ffmt%3Akev%3Amtx%3Ajournal&rft.genre=article&rft.atitle=%EC%A7%80%EC%86%8D%EC%84%B1+%EC%99%B8%EB%9E%98+%EB%B3%B5%EB%A7%89%ED%88%AC%EC%84%9D+%ED%99%98%EC%9E%90%EC%97%90%EC%84%9C+%EC%95%84%EB%AF%B8%EB%85%B8%EC%82%B0+%ED%88%AC%EC%84%9D%EC%95%A1+%28+Nutrineal%28R%29+%29+%EC%9D%98+%EC%9E%A5%EA%B8%B0%EA%B0%84+%EC%82%AC%EC%9A%A9%EC%9D%B4+%EC%98%81%EC%96%91%EC%83%81%ED%83%9C%EC%97%90+%EB%AF%B8%EC%B9%98%EB%8A%94+%EC%98%81%ED%96%A5+-+%EB%B0%98%EC%9D%91%EA%B5%B0%EA%B3%BC+%EB%B9%84%EB%B0%98%EC%9D%91%EA%B5%B0%EC%9D%98+%EB%B9%84%EA%B5%90&rft.jtitle=Kidney+research+and+clinical+practice&rft.au=%EC%B5%9C%EC%86%8C%EB%9E%98&rft.au=So+Rae+Choi&rft.au=%EC%86%A1%EC%98%81%EC%88%98&rft.au=Yong+Soo+Song&rft.date=2002-09-01&rft.pub=%EB%8C%80%ED%95%9C%EC%8B%A0%EC%9E%A5%ED%95%99%ED%9A%8C&rft.issn=2211-9132&rft.volume=21&rft.issue=5&rft.spage=767&rft.externalDocID=1954179 |
thumbnail_l |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lc.gif&issn=2211-9132&client=summon |
thumbnail_m |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mc.gif&issn=2211-9132&client=summon |
thumbnail_s |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sc.gif&issn=2211-9132&client=summ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