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의 탄생, 그 진실과 거짓

AI의 공식 역사서들은 AI라는 기술과학 technoscience의 탄생 시점을 1956년 다트머스회합으로 지정하고 있다. 이 회합은 AI의 명명식이자, 새로운 학문의 출범을 알린 자리였다. 회합을 주도한 인물은 존 매카시와 마빈 민스키였다. 그리고, 여기에 허버트 사이먼과앨런 뉴웰을 더해 다트머스 4인방은 AI의 창립자이자 선구자로 칭송 받는다. 하지만 신경망 기반의 AI, 두드러지게는 딥러닝의 성공을 이끈 연구자들은 아마도 이런 공식 해석에동의하지 않을 것이다. 신경망과 로봇 공학, 그리고 인공생명으로 대변되는 새로운 AI의토대...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人文學硏究, 41(0) Vol. 41; pp. 53 - 78
Main Author 배문정(Bae, Moonjung)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인천대학교 인문학연구소 01.06.2024
인문학연구소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738-0979
2671-9584
DOI10.31323/SH.2024.06.41.03

Cover

Abstract AI의 공식 역사서들은 AI라는 기술과학 technoscience의 탄생 시점을 1956년 다트머스회합으로 지정하고 있다. 이 회합은 AI의 명명식이자, 새로운 학문의 출범을 알린 자리였다. 회합을 주도한 인물은 존 매카시와 마빈 민스키였다. 그리고, 여기에 허버트 사이먼과앨런 뉴웰을 더해 다트머스 4인방은 AI의 창립자이자 선구자로 칭송 받는다. 하지만 신경망 기반의 AI, 두드러지게는 딥러닝의 성공을 이끈 연구자들은 아마도 이런 공식 해석에동의하지 않을 것이다. 신경망과 로봇 공학, 그리고 인공생명으로 대변되는 새로운 AI의토대는 1940년대 사이버네틱스에 의해 마련되었다. 1956년에 출범한 AI는 사이버네틱스가제시한 기계 지능의 많은 전망 중에서 디지털 컴퓨터로 인간 지능을 모사 simulation하는일에 집중했다. 오늘날 GOFAI(Good Old Fashioned AI)로 불리는 초기 AI는 자신의 제도적 토대를 마련하는 과정에서 사이버네틱스 전통을 부정하고, 그 맥을 잇고 있는 신경망과 합성 두뇌 연구를 배척했다. 본 논문은 1956년 AI가 탄생한 그 시점의 역사에 주의를환기 시키고, 사이버네틱스에서 AI로 넘어가는 길목에서 무슨 일이 있었는지, AI의 선구자들은 왜 사이버네틱스와 자신을 구분하고 그 학문적 연결을 끊으려고 했는지를 조사한다. The established historical narrative of Artificial Intelligence (AI) dates from the conception of AI to the Dartmouth Conference in 1956. The meeting was the naming ceremony of AI and the launch of a new discipline. Leading the meeting were John McCarthy and Marvin Minsky. Along with Herbert Simon and Alan Newell, the Dartmouth Four have been hailed as the founders and pioneers of AI. But the researchers behind the success of neural network-based AI, and more notably deep learning, probably disagree with this interpretation. The groundwork of the new AI, represented by neural networks, robotics, and artificial life, was laid by cybernetics in the 1940s. Launched in 1956, AI focused on simulating human intelligence with digital computers, among the many prospects of machine intelligence presented by cybernetics. Early AI, now called GOFAI (Good Old-Fashioned AI), rejected the tradition of cybernetics while establishing its institutional foundations and persecuting neural networks and artificial brains. This paper draws attention to the history of the time when AI was born in 1956, examines what happened on the path from cybernetics to AI, and why the pioneers of AI tried to distinguish themselves from cybernetics and sever its academic connection. KCI Citation Count: 0
AbstractList AI의 공식 역사서들은 AI라는 기술과학 technoscience의 탄생 시점을 1956년 다트머스회합으로 지정하고 있다. 이 회합은 AI의 명명식이자, 새로운 학문의 출범을 알린 자리였다. 회합을 주도한 인물은 존 매카시와 마빈 민스키였다. 그리고, 여기에 허버트 사이먼과앨런 뉴웰을 더해 다트머스 4인방은 AI의 창립자이자 선구자로 칭송 받는다. 하지만 신경망 기반의 AI, 두드러지게는 딥러닝의 성공을 이끈 연구자들은 아마도 이런 공식 해석에동의하지 않을 것이다. 신경망과 로봇 공학, 그리고 인공생명으로 대변되는 새로운 AI의토대는 1940년대 사이버네틱스에 의해 마련되었다. 1956년에 출범한 AI는 사이버네틱스가제시한 기계 지능의 많은 전망 중에서 디지털 컴퓨터로 인간 지능을 모사 simulation하는일에 집중했다. 오늘날 GOFAI(Good Old Fashioned AI)로 불리는 초기 AI는 자신의 제도적 토대를 마련하는 과정에서 사이버네틱스 전통을 부정하고, 그 맥을 잇고 있는 신경망과 합성 두뇌 연구를 배척했다. 본 논문은 1956년 AI가 탄생한 그 시점의 역사에 주의를환기 시키고, 사이버네틱스에서 AI로 넘어가는 길목에서 무슨 일이 있었는지, AI의 선구자들은 왜 사이버네틱스와 자신을 구분하고 그 학문적 연결을 끊으려고 했는지를 조사한다. The established historical narrative of Artificial Intelligence (AI) dates from the conception of AI to the Dartmouth Conference in 1956. The meeting was the naming ceremony of AI and the launch of a new discipline. Leading the meeting were John McCarthy and Marvin Minsky. Along with Herbert Simon and Alan Newell, the Dartmouth Four have been hailed as the founders and pioneers of AI. But the researchers behind the success of neural network-based AI, and more notably deep learning, probably disagree with this interpretation. The groundwork of the new AI, represented by neural networks, robotics, and artificial life, was laid by cybernetics in the 1940s. Launched in 1956, AI focused on simulating human intelligence with digital computers, among the many prospects of machine intelligence presented by cybernetics. Early AI, now called GOFAI (Good Old-Fashioned AI), rejected the tradition of cybernetics while establishing its institutional foundations and persecuting neural networks and artificial brains. This paper draws attention to the history of the time when AI was born in 1956, examines what happened on the path from cybernetics to AI, and why the pioneers of AI tried to distinguish themselves from cybernetics and sever its academic connection. KCI Citation Count: 0
Author 배문정(Bae, Moonjung)
Author_xml – sequence: 1
  fullname: 배문정(Bae, Moonjung)
BackLink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3097946$$DAccess content in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NRF)
BookMark eNotjT1Lw1AYRi9SwVj7A9yC4CImvve-93MstdpCsaDZLzdNIqGaSIqDc7t1dHHpJnRVHHTwF4X4Hyza6TzD4Tz7pFWURUrIIYUQKTI8uxmEDBgPQYachoA7xGNS0cAIzVvEowp1AEaZPdKZzfIYGEoOqIVHjrrDZvXi_8wXzXx16tefX36zXjTL1_rj26_f35r18wHZzdzdLO1s2SbRRT_qDYLR-HLY646CQgoTuM0HZhRo7BRXiURpqHJJypyMGQrOgCaIqNzEqSxLVcYnPNGGxVorFScG2-TkP1tUmZ1Oclu6_I-3pZ1WtnsdDS0FwUEw2MjHW_mxyu_TJHf2YTNc9WSvxud9SjUzIA3-Ag0jWHE
ContentType Journal Article
DBID DBRKI
TDB
ACYCR
DOI 10.31323/SH.2024.06.41.03
DatabaseName DBPIA - 디비피아
Nurimedia DBPIA Journals
Korean Citation Index
DatabaseTitleList
DeliveryMethod fulltext_linktorsrc
DocumentTitleAlternate The Birth of AI, Its Truth and Lies
DocumentTitle_FL The Birth of AI, Its Truth and Lies
EISSN 2671-9584
EndPage 78
ExternalDocumentID oai_kci_go_kr_ARTI_10540520
NODE11829069
GroupedDBID ALMA_UNASSIGNED_HOLDINGS
DBRKI
M~E
TDB
ACYCR
ID FETCH-LOGICAL-n659-a7383f101ba747d636917ade2a6b2354201d3337aca7ffe7f4c4d892b8877bd93
ISSN 1738-0979
IngestDate Tue Jul 09 03:20:24 EDT 2024
Thu Feb 06 12:52:40 EST 2025
IsPeerReviewed false
IsScholarly false
Keywords Artificial Intelligence
AI
다트머스회합
인공지능
Dartmouth Conference
사이버네틱스
Cybernetics
Language Korean
LinkModel OpenURL
MergedId FETCHMERGED-LOGICAL-n659-a7383f101ba747d636917ade2a6b2354201d3337aca7ffe7f4c4d892b8877bd93
PageCount 26
ParticipantIDs nrf_kci_oai_kci_go_kr_ARTI_10540520
nurimedia_primary_NODE11829069
PublicationCentury 2000
PublicationDate 2024-06
PublicationDateYYYYMMDD 2024-06-01
PublicationDate_xml – month: 06
  year: 2024
  text: 2024-06
PublicationDecade 2020
PublicationTitle 人文學硏究, 41(0)
PublicationYear 2024
Publisher 인천대학교 인문학연구소
인문학연구소
Publisher_xml – name: 인천대학교 인문학연구소
– name: 인문학연구소
SSID ssib023640385
ssib044739813
Score 1.8707628
Snippet AI의 공식 역사서들은 AI라는 기술과학 technoscience의 탄생 시점을 1956년 다트머스회합으로 지정하고 있다. 이 회합은 AI의 명명식이자, 새로운 학문의 출범을 알린 자리였다. 회합을 주도한 인물은 존 매카시와 마빈 민스키였다. 그리고, 여기에 허버트 사이먼과앨런 뉴웰을...
SourceID nrf
nurimedia
SourceType Open Website
Publisher
StartPage 53
SubjectTerms 기타인문학
Title AI의 탄생, 그 진실과 거짓
URI https://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nodeId=NODE11829069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3097946
Volume 41
hasFullText 1
inHoldings 1
isFullTextHit
isPrint
ispartofPNX 人文學硏究, 2024, 41(0), , pp.53-78
link http://utb.summon.serialssolutions.com/2.0.0/link/0/eLvHCXMwnR27jtQw0FqOApoTCBDH4xQBro4sie34USbZoF2kOwoW6booTwQrJWi121xBc9dR0tBch3QtCCEo-KLV8g-MnexudEKCo0mcsT1-jDPjScYzCD3Kk5w5GdceAGhpM-LktvSUsiXLmHRAPntcn3feP-DDl-zZoXfY633rWC3NZ2k_O_rjuZL_oSrAgK76lOwFKLtGCgBIA33hChSG6z_R2B_hKMRqgJXcw9EAS4ol0yBIABRmD0c-DgQOdH6IfbHKD7DPTB7FQVvKxYHTFmqiCa72rG0bgcQRVAtNApr0sFImS5iKgMHDG0eOuiyAdc66EuB2dD0ig6T5IF7X1RvDbVT36wNhGysps146PQBMBKtQY5WhNtPYdMX0QDl7F-qvmQ0OuDrcWVBtq9FEn-kXBka4cG3lNXHmViy98aXV8uTGGXEr3Zt4QeflhvZfqR1YvBj29SC1R1fm9h26EZJr08WD54NIK2XK4eoSukyEMNYB---iFRvTLvn1_9bVM2OCKmkCda8H0PxfN80-Od8o7HKqKWyOrlRzHeEB2ERnxzO-hrZbVcXym3V3HfUm9Q30wB8tTz9av45Plsenj63F9x_W8uxk-f7T4utPa_Hl8_Lsw000fhqNw6HdxtmwK-4pO4FO0RJYc5qAbplzykGFT_KCJDwl1IP3180ppSLJElGWhSjhNc6lIinIJ5Hmit5CW1VdFbeRlVHJSzfzZJp5TJUiTaF84ZKMFjIjItlBD2Fo8SR7HWu35vr-qo4n0xiUt1HsGvWBODtodz30-G3jdCXuzvudvxW4i65uFus9tDWbzov7sHmcpbuGVL8BmEhL4g
linkProvider ISSN International Centre
openUrl ctx_ver=Z39.88-2004&ctx_enc=info%3Aofi%2Fenc%3AUTF-8&rfr_id=info%3Asid%2Fsummon.serialssolutions.com&rft_val_fmt=info%3Aofi%2Ffmt%3Akev%3Amtx%3Ajournal&rft.genre=article&rft.atitle=AI%EC%9D%98+%ED%83%84%EC%83%9D%2C+%EA%B7%B8+%EC%A7%84%EC%8B%A4%EA%B3%BC+%EA%B1%B0%EC%A7%93&rft.jtitle=%EC%9D%B8%EB%AC%B8%ED%95%99%EC%97%B0%EA%B5%AC&rft.au=%EB%B0%B0%EB%AC%B8%EC%A0%95%28Bae%2C+Moonjung%29&rft.date=2024-06-01&rft.pub=%EC%9D%B8%EC%B2%9C%EB%8C%80%ED%95%99%EA%B5%90+%EC%9D%B8%EB%AC%B8%ED%95%99%EC%97%B0%EA%B5%AC%EC%86%8C&rft.issn=1738-0979&rft.eissn=2671-9584&rft.volume=41&rft.spage=53&rft.epage=78&rft_id=info:doi/10.31323%2FSH.2024.06.41.03&rft.externalDocID=NODE11829069
thumbnail_l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lc.gif&issn=1738-0979&client=summon
thumbnail_m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mc.gif&issn=1738-0979&client=summon
thumbnail_s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sc.gif&issn=1738-0979&client=summ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