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 주택 유형별 매매가격과 거래량 간의 동학적 관계
본 연구는 주택 유형별 매매가격과 거래량 간의 동학적 상관관계를 벡터자기회귀모형을 이용해 실증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공간적 범위는 수도권인 서울, 경기, 인천으로 하였고 내용적 범위는 아파트, 연립주택, 단독주택으로 하였으며 시간적 범위는 2013년 1월부터 2023년 7월까지로 정하였다. 충격반응 분석결과, 서울은 아파트, 연립주택, 단독주택 모두에서 매매가격 변화율의 충격에 거래량의 변화율의 충격은 양(+)의 반응을 보였고 거래량 변화율의 충격에 매매가격 변화율도 양(+)의 반응을 보였다. 경기도는 아파트의 경우 거래량의 변화율...
Saved in:
Published in | 한국콘텐츠학회 논문지, 24(1) Vol. 24; no. 1; pp. 621 - 629 |
---|---|
Main Author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한국콘텐츠학회
2024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1598-4877 2508-6723 |
DOI | 10.5392/JKCA.2024.24.01.621 |
Cover
Summary: | 본 연구는 주택 유형별 매매가격과 거래량 간의 동학적 상관관계를 벡터자기회귀모형을 이용해 실증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공간적 범위는 수도권인 서울, 경기, 인천으로 하였고 내용적 범위는 아파트, 연립주택, 단독주택으로 하였으며 시간적 범위는 2013년 1월부터 2023년 7월까지로 정하였다. 충격반응 분석결과, 서울은 아파트, 연립주택, 단독주택 모두에서 매매가격 변화율의 충격에 거래량의 변화율의 충격은 양(+)의 반응을 보였고 거래량 변화율의 충격에 매매가격 변화율도 양(+)의 반응을 보였다. 경기도는 아파트의 경우 거래량의 변화율의 충격에 매매가격 변화율은 양(+)의 반응을 보였고 매매가격 변화율의 충격에 거래량 변화율은 음(-)의 반응을 나타냈으며 단독주택과 연립주택은 거래량 변화율의 충격에 매매가격 변화율은 양(+)의 반응을 보이다 이후 음(-)의 반응을 보였고 매매가격 변화율의 충격에 거래량 변화율은 양(+)의 반응을 나타냈다. 인천은 아파트와 연립주택의 경우 거래량 변화율의 충격에 매매가격 변화율은 양(+)의 반응을 보인 반면 매매가격 변화율의 충격에 거래량 변화율은 음(-)의 반응을 보였고 단독주택은 거래량 변화율의 충격에 매매가격 변화율은 음(-)의 반응을 보였고 매매가격 변화율의 충격에 거래량 변화율은 양(+)의 반응을 나타냈다. This study empirically analyzed the dynamic correlation between housing sales price and transaction volume by housing type using vector autoregressive model. The spatial scope of this study was Seoul, Gyeonggi, and Incheon, the content scope was apartments, townhouses, and single-family homes, and the temporal scope was set from January 2013 to July 2023. As a result of the shock response analysis, in Seoul, the shock of the change rate of transaction volume responded positively to the shock of the rate of change in housing sales price for all apartments, townhouses, and single-family homes, and the rate of change in sales price also showed a positive (+) response to the shock of the rate of change in transaction volume. In Gyeonggi-do, in the case of apartments, the housing sales price change rate showed a positive (+) response to the shock of the transaction volume change rate, and the transaction volume change rate responded negatively (-) to the housing sales price change rate shock. For single-family homes and townhouses, the transaction volume change rate showed a positive response. The rate of change in housing sales price showed a positive (+) response, but then showed a negative (-) response, and the rate of change in transaction volume showed a positive (+) response to the shock of the rate of change in housing sales price. In Incheon, in the case of apartments and townhouses, the housing sales price change rate showed a positive (+) response to the shock of the transaction volume change rate, while the transaction volume change rate showed a negative (-) response to the housing sales price change rate shock, and for single-family homes, the transaction volume change rate showed a positive (+) response. The rate of change in housing sales price showed a negative (-) response, and the rate of change in transaction volume showed a positive (+) response to the shock of the rate of change in housing sales price. KCI Citation Count: 0 |
---|---|
ISSN: | 1598-4877 2508-6723 |
DOI: | 10.5392/JKCA.2024.24.01.6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