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리파라타이드를 투여한 골다공증성 척추압박골절 환자에서 압박 진행에 영향을 끼치는 자기공명영상 요인 분석

목적: 테리파라타이드를 투여한 골다공증성 척추압박골절의 보존적 치료 시 척추체 압박 진행에 영향을 끼치는 초기 자기공명영상의 요인을 조사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본 연구는 2018년 1월에서 2021년 10월까지 본원에서 골다공증성 흉요추부 척추압박골절로 테리파라타이드를 투여 및 보존적 치료를 시행한 환자 중 최소 3개월간 추시했던 60명의 환자들을 대상으로 후향적 연구를 시행하였다. 골절 초기에시행한 자기공명영상에서 골절된 척추체의 저음영 구역 크기, 상부 종판 및 하부 종판의 골절 여부, 나이, 골밀도의 요인과 척추압박골...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The journal of the Korean Orthopaedic Association Vol. 58; no. 5; pp. 392 - 401
Main Authors 강태병(Taebyeong Kang), 서승표(Seung-Pyo Suh), 한정운(Jeongwoon Han), 강병준(Byungjun Kang), 박창현(Changhyun Park)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대한정형외과학회 01.10.2023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Cover

Loading…
More Information
Summary:목적: 테리파라타이드를 투여한 골다공증성 척추압박골절의 보존적 치료 시 척추체 압박 진행에 영향을 끼치는 초기 자기공명영상의 요인을 조사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본 연구는 2018년 1월에서 2021년 10월까지 본원에서 골다공증성 흉요추부 척추압박골절로 테리파라타이드를 투여 및 보존적 치료를 시행한 환자 중 최소 3개월간 추시했던 60명의 환자들을 대상으로 후향적 연구를 시행하였다. 골절 초기에시행한 자기공명영상에서 골절된 척추체의 저음영 구역 크기, 상부 종판 및 하부 종판의 골절 여부, 나이, 골밀도의 요인과 척추압박골절의 압박 진행정도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결과: 골절 이후 초기 자기공명영상에서 상, 하부 종판의 골절이 없는 경우와 비교해 상부 종판 동반된 경우 압박률 증가량이16.33%±6.83%로 유의미하게 증가하였으며(p<0.001), 상하부 종판의 골절이 동반된 경우 압박률 증가량이 15.00%±7.07%로유의미하게 증가하였다(p=0.001). 초기 자기공명영상에서 골절된 척추체의 저음영 구역 크기가 75%–100%인 집단에서 압박률증가량이 11.66%±7.33%로 유의미하게 증가하였다(p=0.001). 이외에 성별, 골밀도, 초기 압박률 등의 인자들은 압박 진행정도와상관관계가 없었다. 결론: 골다공증성 척추압박골절 환자들의 골절 이후 자기공명영상에서 관찰되는 상부종판 및 상하부 종판의 골절 또는 높은 수준의 골절된 척추체 저음영 구역의 크기가 있을 경우 압박 진행의 위험도가 증가한다. Purpose: This study examine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findings and the progression of vertebral collapse in patients with osteoporotic vertebral fracture treated with teriparatide. Materials and Methods: Sixty patients (5 male, 55 female) who were followed-up for at least three months and diagnosed with osteoporotic vertebral fracture from January 2018 to October 2021, and treated with conservative therapies, such as bed rest and thoracolumbar- sacral orthosis, were enrolled in this study. All patients underwent magnetic resonance imaging soon after the fracture. The initial magnetic resonance images of the patients were reviewed retrospectively. The size of the vertebral low-intensity zone (LIZ) and fractures on the upper and lower endplates of the injured vertebrae were measured in the initial magnetic resonance imaging. Age and bone mineral density were also investigate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factors and the degree of progression of vertebral collapse obtained from plain radiograph imaging was studied. Results: The compression rate was increased significantly to 11.66%±7.33% in the group with the initial low-intensity zone (75%–100%) (p=0.001). The increase in compression rate was 16.33%±6.83% in the upper endplate fracture group, and 15.00%±7.07% in the upper and lower endplates fracture group, which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in the absence of the endplate fracture group (p<0.001). Conclusion: In patients with osteoporotic vertebral fracture treated with teriparatide, the progression of the compression rate more likely increased when there was superior endplate fracture or superior and inferior endplate fracture and when there was a larger size of the lowintensity zone at the initial magnetic resonance imaging after fracture. KCI Citation Count: 0
Bibliography:https://jkoa.org/DOIx.php?id=10.4055/jkoa.2023.58.5.392
ISSN:1226-2102
2005-8918
DOI:10.4055/jkoa.2023.58.5.39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