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모의 A형 행동유형, 학부모역할 양육스트레스, 중학생 자녀의 내재화 및 외현화 문제행동의 구조 관계
본 연구는 부모의 A형 행동유형, 부모의 학부모역할 관련 양육스트레스, 그리고 중학생 자녀의 내재화 및 외현화 문제행동의 구조관계를 살펴보았다. 이 구조모형에서 아버지와 어머니의 A형 행동유형이 각각의 학부모역할 스트레스와 어떤 관련성이 있는지 자기효과및 상대방효과도 확인하였다. 한국아동패널의 2021년도 자료(14차)를 활용하였으며, 자녀가 중학교 1학년인 시기이다. 결측치를 제외하고 최종 구조방정식 모형에 포함된 연구참여자 수는 1,218명이었다. 기초통계 분석은 SPSS를 사용하였으며, 구조방정식 연구모형 분석은Mplus를 활...
Saved in:
Published in | 가정과삶의질연구 Vol. 42; no. 4; pp. 97 - 113 |
---|---|
Main Author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가정과삶의질학회
01.12.2024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2765-1932 2765-2432 |
DOI | 10.7466/JFBL.2024.42.4.97 |
Cover
Summary: | 본 연구는 부모의 A형 행동유형, 부모의 학부모역할 관련 양육스트레스, 그리고 중학생 자녀의 내재화 및 외현화 문제행동의 구조관계를 살펴보았다. 이 구조모형에서 아버지와 어머니의 A형 행동유형이 각각의 학부모역할 스트레스와 어떤 관련성이 있는지 자기효과및 상대방효과도 확인하였다. 한국아동패널의 2021년도 자료(14차)를 활용하였으며, 자녀가 중학교 1학년인 시기이다. 결측치를 제외하고 최종 구조방정식 모형에 포함된 연구참여자 수는 1,218명이었다. 기초통계 분석은 SPSS를 사용하였으며, 구조방정식 연구모형 분석은Mplus를 활용하였다. 분석 결과, 구조방정식 모형은 좋은 모형적합도를 보였다. 구조모형에서 유의미하게 나온 경로를 종합한 매개효과분석 결과, 아버지의 학부모역할 양육스트레스는 어머니 및 아버지의 A형 행동유형과 중학생 자녀의 내재화 문제행동 간 관계를 매개하였다. 어머니의 학부모역할 양육스트레스는 본인의 A형 행동유형과 중학생 자녀의 내재화 및 외현화 문제행동 간 관련성을 매개하였다.
부트스트랩 분석 결과, 각 매개경로의 신뢰구간에 0을 포함하지 않아 매개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검증되었다. 본 연구 결과, 부모의 학부모역할 양육스트레스는 A형 행동유형과 중학생 자녀의 내재화 및 외현화 문제행동 간 관련성에서 유의미한 매개변인이었으며, 중학생 자녀 문제행동에 미치는 아버지의 영향과 어머니의 영향이 다른 양상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향후 가족생활교육 프로그램 혹은 가족상담, 부모상담 프로그램 개발 시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parenting stress on the association between school parents’ Type A behavior pattern and their middle school children’s internalized and externalized problem behaviors in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This study also investigates the actor and partner effect of parents’ Type A behavior pattern and their parenting stress.
Data were obtained from the 14th year data of the Panel Study on Korean Children. A total of 1,218 middle school students were included in the research model. Data were analyzed with SPSS for the descriptive statistics and correlations, and with Mplus for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The results showed that the measurement model and the research model had a good model fit. The significant paths showed that paternal parenting stress mediated both Type A behavior pattern of both father and mothers and the internalized problem behavior of middle school children. Maternal parenting stress mediated mothers’ Type A behavior pattern and the externalized problem behavior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e significant mediating effect of parenting stress on the association between parents’ Type A behavior pattern and children’s problem behaviors, as well as different effect of mothers and fathers in parent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applied in developing family and/or marital education and counseling program. KCI Citation Count: 0 |
---|---|
ISSN: | 2765-1932 2765-2432 |
DOI: | 10.7466/JFBL.2024.42.4.9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