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위 대퇴골 거대세포종의 소파술 치료 결과

목적: 근위 대퇴골에 발생하는 거대세포종은 발생 빈도가 낮으며 이에 대한 연구도 드문 편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근위 대퇴골에발생한 거대세포종의 소파술 치료 결과를 분석하여 질환의 특징 및 치료 시 고려할 점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2007년부터 2020년까지 본원에서 근위 대퇴골에 발생한 거대세포종으로 소파술을 시행 받은 15예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남자 10예, 여자 5예로 중간 나이는 26세(17–71)였고, 중간 추시 기간은 46개월(25–150)이었다. 소파술 후 결손 부위는 동종골(7예) 또는 골...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The journal of the Korean Orthopaedic Association Vol. 59; no. 3; pp. 201 - 207
Main Authors 조상현(Sang Hyun Cho), 공창배(Chang-Bae Kong), 조완형(Wan-Hyeong Cho), 전대근(Dae-Geun Jeon), 오효동(Hyo Dong Oh), 송원석(Won Seok Song)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대한정형외과학회 01.06.2024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Cover

Loading…
More Information
Summary:목적: 근위 대퇴골에 발생하는 거대세포종은 발생 빈도가 낮으며 이에 대한 연구도 드문 편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근위 대퇴골에발생한 거대세포종의 소파술 치료 결과를 분석하여 질환의 특징 및 치료 시 고려할 점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2007년부터 2020년까지 본원에서 근위 대퇴골에 발생한 거대세포종으로 소파술을 시행 받은 15예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남자 10예, 여자 5예로 중간 나이는 26세(17–71)였고, 중간 추시 기간은 46개월(25–150)이었다. 소파술 후 결손 부위는 동종골(7예) 또는 골 시멘트(8예)로 채웠다. 결과: 국소 재발은 3예(20.0%)에서 발생하였고, 이 중 1예에서 악성화가 발생하였다. 다른 합병증으로 1예(6.7%)의 환자에서 소파술 및 지주 동종골 이식 후 대퇴 경부 골절이 발생하였다. 13예(86.7%)의 환자가 최종 추시 시 관절을 유지할 수 있었으며, 퇴행성관절염이나 괴사의 변화는 관찰되지 않았다. 결론: 근위 대퇴골에 발생한 거대세포종에 대한 소파술은 3예(20.0%)의 국소 재발 및 1예의 골절 환자가 있었지만 만족할 만하였다. 병변의 범위에 따른 적절한 접근 및 재건 방법이 성공적인 치료를 위해 필요하다. Purpose: Giant cell tumor (GCT) of the proximal femur is relatively rare, with only a few case series reported thus far. This study aimed to evaluate the clinical outcomes of GCT of the proximal femur treated with intralesional curettage and expand the understanding of their characteristics and treatment considerations. Materials and Methods: Fifteen cases treated with curettage for GCT of the proximal femur between 2007 and 2020 were reviewed. The median follow-up was 46 months (25–150 months). There were 10 males and 5 females with a median age of 26 years (17–71 years). After curettage, the bone defect was filled with either an allograft (7 cases) or bone cement (8 cases). Results: The postoperative complications were local recurrences in three cases (20.0%), including malignant transformation in one case and a femur neck fracture in one case (6.7%) following curettage and strut allograft. Among the 15 cases, 13 (86.7%) retained their native joint at the last follow-up. No patients developed degenerative changes or osteonecrosis. Conclusion: The results of proximal femoral GCT with curettage were acceptable despite local recurrences in three cases (20.0%), and femur neck fracture in one case. An appropriate surgical approach and reconstruction according to the extent of the lesion are necessary for successful treatment. KCI Citation Count: 0
Bibliography:https://jkoa.org/DOIx.php?id=10.4055/jkoa.2024.59.3.201
ISSN:1226-2102
2005-8918
DOI:10.4055/jkoa.2024.59.3.2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