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도의 대전환과 새로운 계급 부상: 신중간계급 열망 계층의 성격 및 정치적 중요성을 중심으로

본 연구는 모디 총리가 빈곤층과 중간계급 사이의 계층을 “신중간계급”으로 명명한 것에 주목하여 이 계층이 어떤 집단인지를 경제적·계급적 성격 면에서 파악하고 BJP가 이 계층에 주목하는 정치적 이유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우선, 제 Ⅱ장에서는 모디 총리가 언급한 “신중간계급”과 엘리트 중간계급으로 상정되는 신중간계급의 차이를 분석하고자 이들의 차이를 경제적 기준으로 살펴보았다. 모디 총리의 신중간계급은 중간계급 진입을 열망하는 하위계급으로서 총 인구의 약 50%가 넘는 인도의 가장 큰 대중 집단으로 간주한다. 이들은 향후 30년 이내...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남아시아연구 Vol. 30; no. 2; pp. 63 - 86
Main Author 상연진(Sang, Yeon-Jin)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외국어대학교 인도연구소 01.08.2024
인도연구소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598-1061
2508-8114
DOI10.21587/jsas.2024.30.2.003

Cover

Abstract 본 연구는 모디 총리가 빈곤층과 중간계급 사이의 계층을 “신중간계급”으로 명명한 것에 주목하여 이 계층이 어떤 집단인지를 경제적·계급적 성격 면에서 파악하고 BJP가 이 계층에 주목하는 정치적 이유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우선, 제 Ⅱ장에서는 모디 총리가 언급한 “신중간계급”과 엘리트 중간계급으로 상정되는 신중간계급의 차이를 분석하고자 이들의 차이를 경제적 기준으로 살펴보았다. 모디 총리의 신중간계급은 중간계급 진입을 열망하는 하위계급으로서 총 인구의 약 50%가 넘는 인도의 가장 큰 대중 집단으로 간주한다. 이들은 향후 30년 이내에 많은 수가 중간계급으로 진입 가능할 것이라고 전망하고 있다. 제 Ⅲ장에서는 신중간계급 열망 계층의 공통된 계급적 성격이 중간계급 지위를 열망하는 것이라 보았다. 이 계층은 비록 하위계급에 속하지만 자신의 계급 정체성을 중간계급이라고 인식하는 경우가 많은데, 그 이유는 자신을 중간계급에 위치시킴으로써 빈곤층과 구분하며, 인도의 평범한 이상적 시민으로 간주되고, 중간계급이 주는 안정감 때문이라고 볼 수 있다. 제 Ⅳ장에서는 이러한 하위계급의 중간계급 열망을 이용하여 이들에게 “신중간계급” 타이틀을 부여한 BJP의 정치적 의도를 살펴보았다. 이 계층은 힌두뜨바 이데올로기를 지지하며, BJP의 표심 확대를 위해 필요한 집단이다. 또한, 인도의 성장을 위한 미래 발전 가능성에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기 때문이라고 분석하였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socio-economic and class characteristics of the "neo-middle class," a term coined by Prime Minister Modi to describe the stratum between the poverty line and the middle class. It also seeks to explore the political reasons why the BJP pays attention to this group. In Chapter Ⅱ, the study analyzes the differences between the "neo-middle class" mentioned by Prime Minister Modi and general “new middle class”, which means “New Rich”, based on economic criteria. It is observed that the former represents a significant portion of India's population, comprising over 50%, and is characterized as a group aspiring to ascend into the new middle class. They do not differ significantly from the impoverished in terms of occupational composition, but it is anticipated that a substantial number of them will be able to enter the middle class within the next 30 years. In Chapter Ⅲ, it is observed that the common class characteristic among the aspiring neo-middle class is their desire to attain middle-class status. Despite belonging to lower strata, many identify themselves as middle-class, aiming to distinguish themselves from the impoverished and to be perceived as ordinary, ideal citizens of India. This self-perception as middle-class provides them with a sense of stability and distinction from the lower strata. Chapter Ⅳ examines the political intentions of the BJP in conferring the "neo-middle class" title upon these aspiring lower class. This group supports Hindutva ideology and is seen as crucial for expanding BJP's electoral base. Additionally, it is analyzed that due to their potential to play a significant role in India's future development and growth, the BJP pays attention to them. KCI Citation Count: 0
AbstractList 본 연구는 모디 총리가 빈곤층과 중간계급 사이의 계층을 “신중간계급”으로 명명한 것에 주목하여 이 계층이 어떤 집단인지를 경제적·계급적 성격 면에서 파악하고 BJP가 이 계층에 주목하는 정치적 이유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우선, 제 Ⅱ장에서는 모디 총리가 언급한 “신중간계급”과 엘리트 중간계급으로 상정되는 신중간계급의 차이를 분석하고자 이들의 차이를 경제적 기준으로 살펴보았다. 모디 총리의 신중간계급은 중간계급 진입을 열망하는 하위계급으로서 총 인구의 약 50%가 넘는 인도의 가장 큰 대중 집단으로 간주한다. 이들은 향후 30년 이내에 많은 수가 중간계급으로 진입 가능할 것이라고 전망하고 있다. 제 Ⅲ장에서는 신중간계급 열망 계층의 공통된 계급적 성격이 중간계급 지위를 열망하는 것이라 보았다. 이 계층은 비록 하위계급에 속하지만 자신의 계급 정체성을 중간계급이라고 인식하는 경우가 많은데, 그 이유는 자신을 중간계급에 위치시킴으로써 빈곤층과 구분하며, 인도의 평범한 이상적 시민으로 간주되고, 중간계급이 주는 안정감 때문이라고 볼 수 있다. 제 Ⅳ장에서는 이러한 하위계급의 중간계급 열망을 이용하여 이들에게 “신중간계급” 타이틀을 부여한 BJP의 정치적 의도를 살펴보았다. 이 계층은 힌두뜨바 이데올로기를 지지하며, BJP의 표심 확대를 위해 필요한 집단이다. 또한, 인도의 성장을 위한 미래 발전 가능성에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기 때문이라고 분석하였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socio-economic and class characteristics of the "neo-middle class," a term coined by Prime Minister Modi to describe the stratum between the poverty line and the middle class. It also seeks to explore the political reasons why the BJP pays attention to this group. In Chapter Ⅱ, the study analyzes the differences between the "neo-middle class" mentioned by Prime Minister Modi and general “new middle class”, which means “New Rich”, based on economic criteria. It is observed that the former represents a significant portion of India's population, comprising over 50%, and is characterized as a group aspiring to ascend into the new middle class. They do not differ significantly from the impoverished in terms of occupational composition, but it is anticipated that a substantial number of them will be able to enter the middle class within the next 30 years. In Chapter Ⅲ, it is observed that the common class characteristic among the aspiring neo-middle class is their desire to attain middle-class status. Despite belonging to lower strata, many identify themselves as middle-class, aiming to distinguish themselves from the impoverished and to be perceived as ordinary, ideal citizens of India. This self-perception as middle-class provides them with a sense of stability and distinction from the lower strata. Chapter Ⅳ examines the political intentions of the BJP in conferring the "neo-middle class" title upon these aspiring lower class. This group supports Hindutva ideology and is seen as crucial for expanding BJP's electoral base. Additionally, it is analyzed that due to their potential to play a significant role in India's future development and growth, the BJP pays attention to them. KCI Citation Count: 0
Author 상연진(Sang, Yeon-Jin)
Author_xml – sequence: 1
  fullname: 상연진(Sang, Yeon-Jin)
BackLink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3118032$$DAccess content in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NRF)
BookMark eNotUE1Lw0AQXUTBqv0FXvbiRUjdzWY3G29F6weIgvQe1phIrKbS4MGTluagKIigWMVABEEED_WTCv1FyfgfTGtPb-a9N2-YmUCjQT1wEZqmpKRTLs253VCFJZ3oRonlVIkQNoIKOidSk5Qao6hAuSU1SgQdR8Uw9LcIFYbQTc4L6BjibnYZQdzG2cUJJNHvXTv96GFonWaPD3D_idOPKO2e4ez7BFrNeQznCTxdpZ1oyMPtZ_Yc913Q_erHQPSWvr_grHOJIbmBnzYkTZyPwP11LkEcDZrzV3jo5Rum0Jin9kK3OMRJVF2qVBdWtLWN5dWF8poWCM40U0jpCEW4xajLqOcyqYjrEKq2HWYYTn4K5SJXTcqkYSpduC7xKN_yPGFI3WCTaPY_Nmh4ds3x7bryB7hTt2sNu7xZXbX7DxImI7l5Zmg-bPj77rav7IO8UI0je31jsUKpZRJiMfYHIE-XZw
ContentType Journal Article
DBID DBRKI
TDB
ACYCR
DOI 10.21587/jsas.2024.30.2.003
DatabaseName DBPIA - 디비피아
Nurimedia DBPIA Journals
Korean Citation Index
DatabaseTitleList
DeliveryMethod fulltext_linktorsrc
DocumentTitleAlternate India’s Great Transition and New Emerging Class: Focusing on the Characteristics and Political Importance of the Aspiring Neo Middle Class
DocumentTitle_FL India’s Great Transition and New Emerging Class : Focusing on the Characteristics and Political Importance of the Aspiring Neo Middle Class
EISSN 2508-8114
EndPage 86
ExternalDocumentID oai_kci_go_kr_ARTI_10616730
NODE11970093
GroupedDBID ALMA_UNASSIGNED_HOLDINGS
DBRKI
M~E
TDB
ACYCR
ID FETCH-LOGICAL-n653-7688c6a05931e31fe38a0ec01adc344c755156593713847a26ee0f15bff648243
ISSN 1598-1061
IngestDate Fri Apr 11 03:14:23 EDT 2025
Thu Feb 06 13:23:21 EST 2025
IsDoiOpenAccess true
IsOpenAccess true
IsPeerReviewed false
IsScholarly false
Issue 2
Keywords 열망
Neo Middle Class
Narendra Modi
Middle Class
Aspiration
나렌드라 모디
중간계급
Great Transition in India
하위계급
인도의 대전환
신중간계급
Lower Class
Language Korean
LinkModel OpenURL
MergedId FETCHMERGED-LOGICAL-n653-7688c6a05931e31fe38a0ec01adc344c755156593713847a26ee0f15bff648243
OpenAccessLink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3118032
PageCount 24
ParticipantIDs nrf_kci_oai_kci_go_kr_ARTI_10616730
nurimedia_primary_NODE11970093
PublicationCentury 2000
PublicationDate 2024-08
PublicationDateYYYYMMDD 2024-08-01
PublicationDate_xml – month: 08
  year: 2024
  text: 2024-08
PublicationDecade 2020
PublicationTitle 남아시아연구
PublicationYear 2024
Publisher 한국외국어대학교 인도연구소
인도연구소
Publisher_xml – name: 한국외국어대학교 인도연구소
– name: 인도연구소
SSID ssib016462755
ssib023393662
ssib044753975
Score 1.8774016
Snippet 본 연구는 모디 총리가 빈곤층과 중간계급 사이의 계층을 “신중간계급”으로 명명한 것에 주목하여 이 계층이 어떤 집단인지를 경제적·계급적 성격 면에서 파악하고 BJP가 이 계층에 주목하는 정치적 이유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우선, 제 Ⅱ장에서는 모디 총리가 언급한 “신중간계급”과 엘리트...
SourceID nrf
nurimedia
SourceType Open Website
Publisher
StartPage 63
SubjectTerms 지역학
Title 인도의 대전환과 새로운 계급 부상: 신중간계급 열망 계층의 성격 및 정치적 중요성을 중심으로
URI https://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nodeId=NODE11970093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3118032
Volume 30
hasFullText 1
inHoldings 1
isFullTextHit
isPrint
ispartofPNX 남아시아연구, 2024, 30(2), , pp.63-86
link http://utb.summon.serialssolutions.com/2.0.0/link/0/eLvHCXMwnV3Na9RAFA9tPehFFBXrRwloTkvWJDOZzHjbpLtUofVSobclm01EC1up7cWDtnQPSoUiKNbShRUKIniotsoK_Yt2x__B9ybZ3bRWqV5C8mbm976SzJth5o2m3bTc2LbqXmKGsSdMmkSRGdbBIVHMmYiYcOoU9w5Pz7Cp-_TunDs3MrqTW7W0vFQrRk-P3VfyP14FGvgVd8n-g2cHoECAe_AvXMHDcD2Rj41yYIhJw-dG2Td4xeA0owheUKQAFzIAqWSpMigQUGaUS4ZPDD8oYBknBlcAJdsQgQKAYlrIamG7ErLgQmH6LMPEdjZOKKgHH3kgJ2oIW7Ww-k2PYgADDxgolh5Im-cUYC3fzasRYIGfYjpGKZMC0CuFTDWh6vupaqmydiEnjNJI0ByUQuf0cCXUIdUfwIKBRfLhuzIqCKH4ANtUZGiYGa5PQQUtJbGLmPAaEwtCeSc37zI04bB-gAZJz7Lrz8Q4dLAOMP12_uDzwwwRG_wU5LscgQl205T0xVjRIC7lJrdtmutasn4gC1LYcd0fhG84g1R59CTETPQOLRIgFi2LDHv7_gqHI0HAoXTj89HD6oOF6vxiFQZVd6ooHIOeYFQ75XieWgwx_azc_2tjgjrHG-5udggRhA2TUGJGSQh6XZW4OFM1Tf-lxL31u7AQ5jUWITo83VjGIy7gP5kL-WbPaWezsZpeSj-889rI_MIF7blsdXobTdna1HuvVmS7-fP9ZnfvQJdrL3oftuXWvt7da3Y7L_Xe9xW5tnpbl-ttufO6u9vM6PLdfu9jC2vJzjeEkc0v3a-f9N7uhi7bb-WPTdle1aGJ3HoDRbLVVA_rn-X2AXC4qM1WyrPBlJmdYmI2mEtMGM7ziIV4cqYdEzuJCQ-tOLLssB4RSiOwnA2DKkxLSSBSDB0Wx1Ziu7UkYZQ7lFzSxhoLjfiypls8CT3Li0mCaTpDr5ZEpO6ELGFxQgRLxrUbYDflvb94cVybGNi1-jhNaVOduTdZxgUFOMF55UQwV7Uzw2_gmja2tLgcX4f4fKk2oV6PX3D_xII
linkProvider ISSN International Centre
openUrl ctx_ver=Z39.88-2004&ctx_enc=info%3Aofi%2Fenc%3AUTF-8&rfr_id=info%3Asid%2Fsummon.serialssolutions.com&rft_val_fmt=info%3Aofi%2Ffmt%3Akev%3Amtx%3Ajournal&rft.genre=article&rft.atitle=%EC%9D%B8%EB%8F%84%EC%9D%98+%EB%8C%80%EC%A0%84%ED%99%98%EA%B3%BC+%EC%83%88%EB%A1%9C%EC%9A%B4+%EA%B3%84%EA%B8%89+%EB%B6%80%EC%83%81%3A+%EC%8B%A0%EC%A4%91%EA%B0%84%EA%B3%84%EA%B8%89+%EC%97%B4%EB%A7%9D+%EA%B3%84%EC%B8%B5%EC%9D%98+%EC%84%B1%EA%B2%A9+%EB%B0%8F+%EC%A0%95%EC%B9%98%EC%A0%81+%EC%A4%91%EC%9A%94%EC%84%B1%EC%9D%84+%EC%A4%91%EC%8B%AC%EC%9C%BC%EB%A1%9C&rft.jtitle=%EB%82%A8%EC%95%84%EC%8B%9C%EC%95%84%EC%97%B0%EA%B5%AC%2C+30%282%29&rft.au=%EC%83%81%EC%97%B0%EC%A7%84&rft.date=2024-08-01&rft.pub=%EC%9D%B8%EB%8F%84%EC%97%B0%EA%B5%AC%EC%86%8C&rft.issn=1598-1061&rft.eissn=2508-8114&rft.spage=63&rft.epage=86&rft_id=info:doi/10.21587%2Fjsas.2024.30.2.003&rft.externalDBID=n%2Fa&rft.externalDocID=oai_kci_go_kr_ARTI_10616730
thumbnail_l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lc.gif&issn=1598-1061&client=summon
thumbnail_m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mc.gif&issn=1598-1061&client=summon
thumbnail_s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sc.gif&issn=1598-1061&client=summ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