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명의료결정제도의 경험과 개선점: 제도 관련자들의 견해를 중심으로

연명의료결정제도가 시행된 이래로 한국 사회에서는 제도의 정착을 목표로 한 다양한 연구가 수행되어왔다. 그간 수행되었던 관련 연구와 사업을 토대로 제도가 광범위하게 적용되고 실제 돌봄을 변화시키는 것을 고려해야 하는 시점으로 사용자들의 경험을 확인하고 적절한 전략을 마련하는 작업이 요구된다. 이 과정에서 시행 3년간 제도 운영에 참여해 온 관련자의 경험은 중요한 기초자료로써 활용 가치가 있다. 본 논문은 향후 연명의료결정제도의 개선안 마련의 기초자료를 마련하기 위하여, 제도 관련자들을 대상으로 한 초점집단면접을 시행하고 그들의 경험을...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생명, 윤리와 정책 Vol. 7; no. 1; pp. 25 - 47
Main Authors 전희정(Heejung Jeon), 최지연(Jiyeon Choi), 이일학(Ilhak Lee)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국가생명윤리정책원 01.04.2023
(재) 국가생명윤리정책원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2508-8750
2508-9153
DOI10.23183/konibp.2023.7.1.002

Cover

Abstract 연명의료결정제도가 시행된 이래로 한국 사회에서는 제도의 정착을 목표로 한 다양한 연구가 수행되어왔다. 그간 수행되었던 관련 연구와 사업을 토대로 제도가 광범위하게 적용되고 실제 돌봄을 변화시키는 것을 고려해야 하는 시점으로 사용자들의 경험을 확인하고 적절한 전략을 마련하는 작업이 요구된다. 이 과정에서 시행 3년간 제도 운영에 참여해 온 관련자의 경험은 중요한 기초자료로써 활용 가치가 있다. 본 논문은 향후 연명의료결정제도의 개선안 마련의 기초자료를 마련하기 위하여, 제도 관련자들을 대상으로 한 초점집단면접을 시행하고 그들의 경험을 수집하고 이들이 제안한 개선점을 확인하는 내용으로 구성하였다. 초점집단면접은 제도 관련 기관종사자 그룹, 의료제공자 그룹, 의료사용자 그룹을 대상으로 진행했으며 죽음을 포함한 전반적인 사회환경의 변화와 임종기 문화 간의 관계, 예측 가능한 제도의 변화 및 대처 전략과 관련한 내용에 집중하였다. 자료 분석은 주제분석방법(Braun & Clarke, 2006)을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 그룹별로 제도종사자의 경우 6인, 의료인의 경우 4인, 의료사용자의 경우 5인으로 구성되었으며, 분석 결과 9개의 하위 주제와 3개의 대주제를 도출하였고, 확인된 대주제는 ‘제도에 대한 정확한 정보 제공의 부족’, ‘제도 시행에 소극적인 의료현장’, ‘제도의 결함에 의해 발생하는 격차’이다. 본 연구는 현장의 목소리를 통해 연명의료결정제도의 개선 방향을 확인하는 중요한 실천적 함의를 지닌다. 연명의료결정제도의 발전을 도모하기 위해서는 제도, 서비스, 사회문화적 측면에서 단·장기적으로 구체적인 개선 목표와 전략을 세워나가야 할 것이다. With the aim of establishing a life-sustaining treatment decision system over the past five years, various studies have been conducted to identify the possible outcome(s) of the system. An appropriate strategy for the future is required as the current system has been widely implemented and changes in actual care need to be considered. To this end, the experiences of medical providers and medical users who have been at the center for using the system are valuable data sourc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strategies to prepare for the future of the hereby discussed life-sustaining treatment decision system, which characterizes the current situation based on experiences related to end-of-life care through a focus group interview and draws conclusions from it for the future. The interviews were conducted for three respondent groups (institutional workers, medical providers, and medical consumers), focusing on changes in the overall social environment including death and dying culture, predictable system changes, and coping strategies. Results of the interviews were analyzed using the thematic analysis method (Braun & Clarke, 2006). Study respondents consisted of six institutional workers, four medical providers, and five medical consumers. Nine sub-categories and three main categories were identified based on their interviews. Main categories were “Lack of providing accurate information on the life-sustaining treatment decision system,” “A clinical environment that is passive in using the system,” and “Gaps caused by system deficiencies.” This study has important practical implications for suggesting the direction to develop a life-sustaining treatment decision system through the voice of the field. To improve the system,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specific goals and plans in terms of systems, services, and socio-cultural aspects. KCI Citation Count: 1
AbstractList 연명의료결정제도가 시행된 이래로 한국 사회에서는 제도의 정착을 목표로 한 다양한 연구가 수행되어왔다. 그간 수행되었던 관련 연구와 사업을 토대로 제도가 광범위하게 적용되고 실제 돌봄을 변화시키는 것을 고려해야 하는 시점으로 사용자들의 경험을 확인하고 적절한 전략을 마련하는 작업이 요구된다. 이 과정에서 시행 3년간 제도 운영에 참여해 온 관련자의 경험은 중요한 기초자료로써 활용 가치가 있다. 본 논문은 향후 연명의료결정제도의 개선안 마련의 기초자료를 마련하기 위하여, 제도 관련자들을 대상으로 한 초점집단면접을 시행하고 그들의 경험을 수집하고 이들이 제안한 개선점을 확인하는 내용으로 구성하였다. 초점집단면접은 제도 관련 기관종사자 그룹, 의료제공자 그룹, 의료사용자 그룹을 대상으로 진행했으며 죽음을 포함한 전반적인 사회환경의 변화와 임종기 문화 간의 관계, 예측 가능한 제도의 변화 및 대처 전략과 관련한 내용에 집중하였다. 자료 분석은 주제분석방법(Braun & Clarke, 2006)을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 그룹별로 제도종사자의 경우 6인, 의료인의 경우 4인, 의료사용자의 경우 5인으로 구성되었으며, 분석 결과 9개의 하위 주제와 3개의 대주제를 도출하였고, 확인된 대주제는 ‘제도에 대한 정확한 정보 제공의 부족’, ‘제도 시행에 소극적인 의료현장’, ‘제도의 결함에 의해 발생하는 격차’이다. 본 연구는 현장의 목소리를 통해 연명의료결정제도의 개선 방향을 확인하는 중요한 실천적 함의를 지닌다. 연명의료결정제도의 발전을 도모하기 위해서는 제도, 서비스, 사회문화적 측면에서 단·장기적으로 구체적인 개선 목표와 전략을 세워나가야 할 것이다. With the aim of establishing a life-sustaining treatment decision system over the past five years, various studies have been conducted to identify the possible outcome(s) of the system. An appropriate strategy for the future is required as the current system has been widely implemented and changes in actual care need to be considered. To this end, the experiences of medical providers and medical users who have been at the center for using the system are valuable data sourc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strategies to prepare for the future of the hereby discussed life-sustaining treatment decision system, which characterizes the current situation based on experiences related to end-of-life care through a focus group interview and draws conclusions from it for the future. The interviews were conducted for three respondent groups (institutional workers, medical providers, and medical consumers), focusing on changes in the overall social environment including death and dying culture, predictable system changes, and coping strategies. Results of the interviews were analyzed using the thematic analysis method (Braun & Clarke, 2006). Study respondents consisted of six institutional workers, four medical providers, and five medical consumers. Nine sub-categories and three main categories were identified based on their interviews. Main categories were “Lack of providing accurate information on the life-sustaining treatment decision system,” “A clinical environment that is passive in using the system,” and “Gaps caused by system deficiencies.” This study has important practical implications for suggesting the direction to develop a life-sustaining treatment decision system through the voice of the field. To improve the system,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specific goals and plans in terms of systems, services, and socio-cultural aspects. KCI Citation Count: 1
Author 전희정(Heejung Jeon)
최지연(Jiyeon Choi)
이일학(Ilhak Lee)
Author_xml – sequence: 1
  fullname: 전희정(Heejung Jeon)
– sequence: 2
  fullname: 최지연(Jiyeon Choi)
– sequence: 3
  fullname: 이일학(Ilhak Lee)
BackLink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953782$$DAccess content in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NRF)
BookMark eNotjD9Lw0AAxQ-pYK39Bg5ZXITE-5NLLm6lVi0UC9LZcE0uEqpJSXFwc6iTghUp7RAlYgWRDqV2rF8ouX4Hi-30frz3422DXBAGAoBdBDVMECMHrTDwm20NQ0w0U0MahHgD5DGFTLUQJbk1M5PCLVDsdPwm1HXTgAixPLiQg0n2fS9fh9nHYzqdyKQvkzh76i4bJZ3-LgbD9GeupJNYdhOZ9A6V1ayks7ss-ZJvvexltHLHi_4s-5wrcvQsH8Yynmfv8Q7Y9PhVRxTXWQCN40qjfKrW6ifVcqmmBgZFqiMYc0zPdUwTWthxPWo4ghPHxcwQXLdM6mHOMUNYEOw5lEMDUW5YlqtjzxWUFMD-6jaIPLvl-HbI_f-8DO1WZJfOG1UbQYwsHRlLeW8t30T-tXB9breXwKNb-6x-VEFIhzqFiPwBsNKGQg
ContentType Journal Article
DBID DBRKI
TDB
ACYCR
DOI 10.23183/konibp.2023.7.1.002
DatabaseName DBPIA - 디비피아
Nurimedia DBPIA Journals
Korean Citation Index
DatabaseTitleList
DeliveryMethod fulltext_linktorsrc
DocumentTitleAlternate Experiences with a Life-Sustaining Treatment Decision System: Focus group interview
DocumentTitle_FL Experiences with a Life-Sustaining Treatment Decision System: Focus group interview
EISSN 2508-9153
EndPage 47
ExternalDocumentID oai_kci_go_kr_ARTI_10219416
NODE11404501
GroupedDBID DBRKI
M~E
TDB
ACYCR
ID FETCH-LOGICAL-n651-ce88c7fdc77092cdf56cea3cd286ea4975f2aa2812e32fc5a0615a699d42fde53
ISSN 2508-8750
IngestDate Tue Jun 25 21:13:12 EDT 2024
Thu Feb 06 12:47:21 EST 2025
IsPeerReviewed false
IsScholarly true
Issue 1
Keywords focus group interview
life-sustaining treatment
연명의료결정제도
end-of-life
treatment withdrawal
생애말기돌봄
초점집단면접
미래전략
Language Korean
LinkModel OpenURL
MergedId FETCHMERGED-LOGICAL-n651-ce88c7fdc77092cdf56cea3cd286ea4975f2aa2812e32fc5a0615a699d42fde53
PageCount 23
ParticipantIDs nrf_kci_oai_kci_go_kr_ARTI_10219416
nurimedia_primary_NODE11404501
PublicationCentury 2000
PublicationDate 2023-04
PublicationDateYYYYMMDD 2023-04-01
PublicationDate_xml – month: 04
  year: 2023
  text: 2023-04
PublicationDecade 2020
PublicationTitle 생명, 윤리와 정책
PublicationYear 2023
Publisher 국가생명윤리정책원
(재) 국가생명윤리정책원
Publisher_xml – name: 국가생명윤리정책원
– name: (재) 국가생명윤리정책원
SSID ssib044760118
ssib028646699
Score 2.2119324
Snippet 연명의료결정제도가 시행된 이래로 한국 사회에서는 제도의 정착을 목표로 한 다양한 연구가 수행되어왔다. 그간 수행되었던 관련 연구와 사업을 토대로 제도가 광범위하게 적용되고 실제 돌봄을 변화시키는 것을 고려해야 하는 시점으로 사용자들의 경험을 확인하고 적절한 전략을 마련하는 작업이...
SourceID nrf
nurimedia
SourceType Open Website
Publisher
StartPage 25
SubjectTerms 학제간연구
Title 연명의료결정제도의 경험과 개선점: 제도 관련자들의 견해를 중심으로
URI https://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nodeId=NODE11404501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953782
Volume 7
hasFullText 1
inHoldings 1
isFullTextHit
isPrint
ispartofPNX 생명, 2023, 윤리와 정책, 7(1), , pp.25-47
link http://utb.summon.serialssolutions.com/2.0.0/link/0/eLvHCXMwnV1Pa9RAFA9tPehFFBVbtSzonMquyUwmf7wl2ZQqWC8VenLJJhMpha2U9uJBPNSTghUp7WGVFSuI9FBqj_Vj-CU26XfwvZlkN90WqV7C8PLe7817L8m8GSZvNO0eo5Ed4bQkdZiomxYX9QjGiXoat11mJJYpElntc96ae2o-WuSLY-O_K7uW1tfajfjlmf-V_E9UgQZxxb9k_yGyA1AgQBviC1eIMFzPFWMSBsS1ia-T0CeeRxwuKU3iOpLCiBOQ0CM-lTwB8XTi8rIRII8zSxxzIDVTcjdJ2ERoBAIKI36g7im5AIW8AaSO6wqnYZWEiZspsDc68RypKUQJoLiMeKd1e4HUzVESxbjSHSCva0jdvmQKUJcv1XkGtKt5tmRjCDzwDFUorgRCqlWiuNDDmRPu8Y1CwsY6VpXVkoILXdZEdIUg5aosPi_c5NnS-iJMVRYQ9kvj_dJkdYpTuQpDWWXzDr430JnCgaAXl3PQY5x4zSI0StWI3WfaPGIp8kA89OGwADmrA2OYKtfbEEOaa3BWHYp4JalRVU1Hh0uKH3R4yGEqstTG4q2UNeyGgYuMw_Sg3BIxkjWcqE--HC-1nq-0lldbMAt72MLj4l3I9Me1C9S25e6Jx6_C8jNPHcu0rOEs2DRxX5ZciR_Ypn5ylf27f0bvIBHsrEL-eLGzjodgwJe0khQuXNEuF7O5mqdezava2PLKNe1Zvr2f_XiTf9rJvr7rH-znva28183ebwCl1j_4dby90_95VOvvd_ONXt7bfFBTt2v9w9dZ73v-eTP7uKt49463DrNvR7V890P-di_vHmVfute1hdlwIZirF8eY1DsWN-qxcJzYTpPYtnWXxknKrVhELE7ADyIyXZunNIrgYaaC0TTmEU4yIvBPYtI0EZzd0CY6Kx1xU6u1I4MCEmTxgpmJSB1LF3pqAkYStY2ETWp3wS0yGn-JyqQ2PXBb64WqadOaf9IMDSy1xXVj6lwwt7RLwxfhtjaxtrou7kCCvtaeluH-A_pevJ4
linkProvider ISSN International Centre
openUrl ctx_ver=Z39.88-2004&ctx_enc=info%3Aofi%2Fenc%3AUTF-8&rfr_id=info%3Asid%2Fsummon.serialssolutions.com&rft_val_fmt=info%3Aofi%2Ffmt%3Akev%3Amtx%3Ajournal&rft.genre=article&rft.atitle=%EC%97%B0%EB%AA%85%EC%9D%98%EB%A3%8C%EA%B2%B0%EC%A0%95%EC%A0%9C%EB%8F%84%EC%9D%98+%EA%B2%BD%ED%97%98%EA%B3%BC+%EA%B0%9C%EC%84%A0%EC%A0%90%3A+%EC%A0%9C%EB%8F%84+%EA%B4%80%EB%A0%A8%EC%9E%90%EB%93%A4%EC%9D%98+%EA%B2%AC%ED%95%B4%EB%A5%BC+%EC%A4%91%EC%8B%AC%EC%9C%BC%EB%A1%9C&rft.jtitle=%EC%83%9D%EB%AA%85%2C+%EC%9C%A4%EB%A6%AC%EC%99%80+%EC%A0%95%EC%B1%85%2C+7%281%29&rft.au=%EC%A0%84%ED%9D%AC%EC%A0%95&rft.au=%EC%B5%9C%EC%A7%80%EC%97%B0&rft.au=%EC%9D%B4%EC%9D%BC%ED%95%99&rft.date=2023-04-01&rft.pub=%28%EC%9E%AC%29+%EA%B5%AD%EA%B0%80%EC%83%9D%EB%AA%85%EC%9C%A4%EB%A6%AC%EC%A0%95%EC%B1%85%EC%9B%90&rft.issn=2508-8750&rft.eissn=2508-9153&rft.spage=25&rft.epage=47&rft_id=info:doi/10.23183%2Fkonibp.2023.7.1.002&rft.externalDBID=n%2Fa&rft.externalDocID=oai_kci_go_kr_ARTI_10219416
thumbnail_l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lc.gif&issn=2508-8750&client=summon
thumbnail_m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mc.gif&issn=2508-8750&client=summon
thumbnail_s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sc.gif&issn=2508-8750&client=summ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