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목 염좌 후 보존적 치료에 관한 유튜브 영상 평가 및 시청자 선호도와의 상관 관계 분석

목적: 발목 염좌는 가장 흔한 근골격계 부상 중 하나로, 전체 스포츠 손상의 약 25%를 차지하는 손상으로 수상 후 재활에 관한 많은 영상들이 유튜브를 통해 환자들에게 공유되고 있다. 유튜브는 다양한 정보와 지식을 쉽게 공유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나, 영상 제작자들에 대한 검증 과정의 부재로 영상의 정확도 및 신뢰도 문제는 단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유튜브에서 시청 가능한 발목 염좌에 관한 동영상을 평가하고, 영상 평가 점수와 ‘좋아요’ 및 ‘조회’ 수를 이용하여 시청자 선호도 간의 상관 관계 분석을 시행하고자 하였...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The journal of the Korean Orthopaedic Association Vol. 57; no. 4; pp. 326 - 332
Main Authors 이준영(JunYoung Lee), 이현준(HyeonJoon Lee), 차동혁(DongHyuk Cha), 이정호(JungHo Lee), 이효준(HyoJun Lee)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대한정형외과학회 01.08.2022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226-2102
2005-8918
DOI10.4055/jkoa.2022.57.4.326

Cover

Loading…
Abstract 목적: 발목 염좌는 가장 흔한 근골격계 부상 중 하나로, 전체 스포츠 손상의 약 25%를 차지하는 손상으로 수상 후 재활에 관한 많은 영상들이 유튜브를 통해 환자들에게 공유되고 있다. 유튜브는 다양한 정보와 지식을 쉽게 공유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나, 영상 제작자들에 대한 검증 과정의 부재로 영상의 정확도 및 신뢰도 문제는 단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유튜브에서 시청 가능한 발목 염좌에 관한 동영상을 평가하고, 영상 평가 점수와 ‘좋아요’ 및 ‘조회’ 수를 이용하여 시청자 선호도 간의 상관 관계 분석을 시행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영상 분석을 위해 “발목 염좌”, “발목 운동”, “발목 재활” 단어를 유튜브에서 검색하였다. 한국어로 촬영된 영상만을대상으로 분석하였으며, 조회 수 1만 명 이하, 상업적 목적의 영상은 대상에서 제외하였다. 2명의 정형외과 전문의, 1명의 정형외과 전공의 총 3명이 발목 염좌 후 치료와 관련된 총 31개의 영상에 대하여 자체적으로 개발한 평가 도구를 사용하여 해부학 및 증상, 생역학 및 수상 기전, 영상 화질, 임상 평가 및 신체 검사, 치료, 재활, 예방 및 후유증, 영상의 전반적 평가 등 하위 항목들에 대해 총합 30점으로 평가하였다. 이후 각 평가자 간의 점수를 평균화하여 해당 영상을 평가하였다. 유튜브 영상에 대한 일반인의 관점에서 선호도를 반영하기 위해 좋아요 수 및 조회 수를 분석하였으며, 영상 평가 점수와 해당 영상의 좋아요 수 및 조회 수 간의관계를 통계학적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영상 평가 점수는 평균 9.33점이었다. 하위 항목들의 평균 점수는 해부학 및 증상 0.90점, 생역학 및 수상 기전 0.61점, 영상화질 0.95점, 임상 평가 및 신체 검사 0.6점, 치료 1.41점, 재활 2.39점, 예방 및 후유증 0.89점, 영상의 전반적 평가 1.61점이었다. 영상의 평균 조회수는 50,218.35회, 평균 좋아요 수는 893.78회이었다. 영상 평가 점수와 좋아요 수, 조회 수 간의 상관관계를분석한 결과 유의한 상관관계는 없었다. 결론: 현재 유튜브에 게재된 대부분의 영상은 발목 염좌 재활에 대해 양질의 의학 정보를 제공하지 못하고 있었으며, 영상 평가 점수와 시청자 선호도 간의 통계학적인 상관 관계는 없었다. 이는 잘못된 의학 정보가 환자에게 전달되고 있으며, 유해할 수 있음을시사한다. 이에 족부 전문의를 포함한 전문가 협의체에서 발목 염좌에 대한 최신 경향의 치료 및 재활 프로토콜을 제시하고, 다양한 경로를 통한 홍보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Purpose: Ankle sprains are among the most common musculoskeletal injuries, and many videos have been shared with patients through YouTube. YouTube allows the easy sharing of information, but there are accuracy and reliability issues due to the lack of verification processes for video producers. This study evaluated ankle sprain videos on YouTube an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video scores and viewer preferences using “the number of likes and views”. Materials and Methods: For analysis, the words “ankle sprains”, “ankle exercise”, and “ankle rehabilitation” were searched on YouTube. Only videos taken in Korean were analyzed, and videos with less than 10,000 views and for commercial purposes were excluded. For 31 videos, two orthopedic surgeons and one orthopedic resident used one evaluation tool to evaluate the video quality with up to 30 points for subcategories. The scores between each evaluator were then averaged to evaluate the video quality. To reflect the viewer preferences, “the number of likes and views” were analyzed,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video score and “the number of likes and views” of the video was analyzed statistically. Results: The average score for the video was 9.33. The average scores for subcategories were anatomy and symptoms, 0.90; biomechanics and trauma-mechanism, 0.61; imaging quality, 0.95; clinical evaluation and physical examination, 0.61; treatment, 1.41; rehabilitation, 2.39; prevention and after effects, 0.89; and overall video quality, 1.61. The average of “the number of views” was 50,218.35 times, and “the number of likes” was 893.77 times. No correlation was observed between the video scores and “the number of likes and views”. Conclusion: Most videos posted on YouTube did not provide high-quality medical information on ankle sprain, and there was no correlation between the video scores and viewer preferences. This suggests that incorrect medical information is being transmitted to patients, which can be harmful.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present the latest trend treatment and rehabilitation protocols for ankle sprains in an expert council and promote it through various channels. KCI Citation Count: 1
AbstractList 목적: 발목 염좌는 가장 흔한 근골격계 부상 중 하나로, 전체 스포츠 손상의 약 25%를 차지하는 손상으로 수상 후 재활에 관한 많은 영상들이 유튜브를 통해 환자들에게 공유되고 있다. 유튜브는 다양한 정보와 지식을 쉽게 공유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나, 영상 제작자들에 대한 검증 과정의 부재로 영상의 정확도 및 신뢰도 문제는 단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유튜브에서 시청 가능한 발목 염좌에 관한 동영상을 평가하고, 영상 평가 점수와 ‘좋아요’ 및 ‘조회’ 수를 이용하여 시청자 선호도 간의 상관 관계 분석을 시행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영상 분석을 위해 “발목 염좌”, “발목 운동”, “발목 재활” 단어를 유튜브에서 검색하였다. 한국어로 촬영된 영상만을대상으로 분석하였으며, 조회 수 1만 명 이하, 상업적 목적의 영상은 대상에서 제외하였다. 2명의 정형외과 전문의, 1명의 정형외과 전공의 총 3명이 발목 염좌 후 치료와 관련된 총 31개의 영상에 대하여 자체적으로 개발한 평가 도구를 사용하여 해부학 및 증상, 생역학 및 수상 기전, 영상 화질, 임상 평가 및 신체 검사, 치료, 재활, 예방 및 후유증, 영상의 전반적 평가 등 하위 항목들에 대해 총합 30점으로 평가하였다. 이후 각 평가자 간의 점수를 평균화하여 해당 영상을 평가하였다. 유튜브 영상에 대한 일반인의 관점에서 선호도를 반영하기 위해 좋아요 수 및 조회 수를 분석하였으며, 영상 평가 점수와 해당 영상의 좋아요 수 및 조회 수 간의관계를 통계학적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영상 평가 점수는 평균 9.33점이었다. 하위 항목들의 평균 점수는 해부학 및 증상 0.90점, 생역학 및 수상 기전 0.61점, 영상화질 0.95점, 임상 평가 및 신체 검사 0.6점, 치료 1.41점, 재활 2.39점, 예방 및 후유증 0.89점, 영상의 전반적 평가 1.61점이었다. 영상의 평균 조회수는 50,218.35회, 평균 좋아요 수는 893.78회이었다. 영상 평가 점수와 좋아요 수, 조회 수 간의 상관관계를분석한 결과 유의한 상관관계는 없었다. 결론: 현재 유튜브에 게재된 대부분의 영상은 발목 염좌 재활에 대해 양질의 의학 정보를 제공하지 못하고 있었으며, 영상 평가 점수와 시청자 선호도 간의 통계학적인 상관 관계는 없었다. 이는 잘못된 의학 정보가 환자에게 전달되고 있으며, 유해할 수 있음을시사한다. 이에 족부 전문의를 포함한 전문가 협의체에서 발목 염좌에 대한 최신 경향의 치료 및 재활 프로토콜을 제시하고, 다양한 경로를 통한 홍보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Purpose: Ankle sprains are among the most common musculoskeletal injuries, and many videos have been shared with patients through YouTube. YouTube allows the easy sharing of information, but there are accuracy and reliability issues due to the lack of verification processes for video producers. This study evaluated ankle sprain videos on YouTube an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video scores and viewer preferences using “the number of likes and views”. Materials and Methods: For analysis, the words “ankle sprains”, “ankle exercise”, and “ankle rehabilitation” were searched on YouTube. Only videos taken in Korean were analyzed, and videos with less than 10,000 views and for commercial purposes were excluded. For 31 videos, two orthopedic surgeons and one orthopedic resident used one evaluation tool to evaluate the video quality with up to 30 points for subcategories. The scores between each evaluator were then averaged to evaluate the video quality. To reflect the viewer preferences, “the number of likes and views” were analyzed,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video score and “the number of likes and views” of the video was analyzed statistically. Results: The average score for the video was 9.33. The average scores for subcategories were anatomy and symptoms, 0.90; biomechanics and trauma-mechanism, 0.61; imaging quality, 0.95; clinical evaluation and physical examination, 0.61; treatment, 1.41; rehabilitation, 2.39; prevention and after effects, 0.89; and overall video quality, 1.61. The average of “the number of views” was 50,218.35 times, and “the number of likes” was 893.77 times. No correlation was observed between the video scores and “the number of likes and views”. Conclusion: Most videos posted on YouTube did not provide high-quality medical information on ankle sprain, and there was no correlation between the video scores and viewer preferences. This suggests that incorrect medical information is being transmitted to patients, which can be harmful.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present the latest trend treatment and rehabilitation protocols for ankle sprains in an expert council and promote it through various channels. KCI Citation Count: 1
Author 차동혁(DongHyuk Cha)
이정호(JungHo Lee)
이효준(HyoJun Lee)
이준영(JunYoung Lee)
이현준(HyeonJoon Lee)
Author_xml – sequence: 1
  fullname: 이준영(JunYoung Lee)
– sequence: 2
  fullname: 이현준(HyeonJoon Lee)
– sequence: 3
  fullname: 차동혁(DongHyuk Cha)
– sequence: 4
  fullname: 이정호(JungHo Lee)
– sequence: 5
  fullname: 이효준(HyoJun Lee)
BackLink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868241$$DAccess content in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NRF)
BookMark eNotjE1LAkEcxocwyMwv0GkuXYLdZmZ39uUo9iZIQnhfZt2Z2CwNJaKb0l4qQS-h0RpWp4JAUsKgT-TOfoe28n95_vD8nt8qSNXqNQ7AOkaqjijdOq7WmUoQISo1VV3ViLEE0gQhqlg2tlIgjQkxFIIRWQHZZtN3EcJYt2xkpMFFNA6jt1co-9_yuQPjhwBGk6l8mspRG8qvQfTSkf0enE9b8V0IZTiKb8Jo1oFy0JZXbRh3r-fjFozGXShvQ_nxLh97UAajeDCLuoG8b8nhACZgsv91zCeJ_jOQwXANLAt20uTZRWZAeXennN9XiqW9Qj5XVGoGxQoxTVsYVOPE0IWwBPWYMCuWKyrcMzHnHGPKdJcigrHHuJF03HMZYYJqnu0SLQM2_7W1hnCqFd-pM_8vj-pOteHkDssFByOk6dg2EnhjAZ83_FPu-cw5Sx7WuHQOSts7ODkN6Vj7ATykkjI
ContentType Journal Article
DBID DBRKI
TDB
ACYCR
DOI 10.4055/jkoa.2022.57.4.326
DatabaseName DBPIA - 디비피아
Nurimedia DBPIA Journals
Korean Citation Index
DatabaseTitleList
DeliveryMethod fulltext_linktorsrc
DocumentTitleAlternate Qualitative Evaluation of YouTube Videos on Conservative Treatment after Ankle Sprain and Analysis of Correlation with Preference
DocumentTitle_FL Qualitative Evaluation of YouTube Videos on Conservative Treatment after Ankle Sprain and Analysis of Correlation with Preference
EISSN 2005-8918
EndPage 332
ExternalDocumentID oai_kci_go_kr_ARTI_10034196
NODE11113041
GroupedDBID 5-W
8JR
8XY
ALMA_UNASSIGNED_HOLDINGS
DBRKI
TDB
ABDBF
ACYCR
ID FETCH-LOGICAL-n651-2779f653e264ff8f5daf7c8bfced71eee115a4b50211dae67c8edba2af53d9b23
ISSN 1226-2102
IngestDate Wed Feb 26 08:57:55 EST 2025
Thu Mar 13 19:40:01 EDT 2025
IsPeerReviewed true
IsScholarly true
Issue 4
Keywords ankle rehabilitation
영상 평가
viewer preference
발목 염좌
발목 재활
유튜브
video evaluation
ankle sprain
시청자 선호도
YouTube
Language Korean
LinkModel OpenURL
MergedId FETCHMERGED-LOGICAL-n651-2779f653e264ff8f5daf7c8bfced71eee115a4b50211dae67c8edba2af53d9b23
Notes https://jkoa.org/DOIx.php?id=10.4055/jkoa.2022.57.4.326
PageCount 7
ParticipantIDs nrf_kci_oai_kci_go_kr_ARTI_10034196
nurimedia_primary_NODE11113041
PublicationCentury 2000
PublicationDate 2022-08
PublicationDateYYYYMMDD 2022-08-01
PublicationDate_xml – month: 08
  year: 2022
  text: 2022-08
PublicationDecade 2020
PublicationTitle The journal of the Korean Orthopaedic Association
PublicationYear 2022
Publisher 대한정형외과학회
Publisher_xml – name: 대한정형외과학회
SSID ssib001148906
ssj0064408
ssib051945705
Score 2.1881363
Snippet 목적: 발목 염좌는 가장 흔한 근골격계 부상 중 하나로, 전체 스포츠 손상의 약 25%를 차지하는 손상으로 수상 후 재활에 관한 많은 영상들이 유튜브를 통해 환자들에게 공유되고 있다. 유튜브는 다양한 정보와 지식을 쉽게 공유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나, 영상 제작자들에 대한 검증...
SourceID nrf
nurimedia
SourceType Open Website
Publisher
StartPage 326
SubjectTerms 정형외과학
Title 발목 염좌 후 보존적 치료에 관한 유튜브 영상 평가 및 시청자 선호도와의 상관 관계 분석
URI https://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nodeId=NODE11113041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868241
Volume 57
hasFullText 1
inHoldings 1
isFullTextHit
isPrint
ispartofPNX 대한정형외과학회지, 2022, 57(4), , pp.326-332
link http://utb.summon.serialssolutions.com/2.0.0/link/0/eLvHCXMwnV1Lb9NAELaqcoALAgGiPCpL4FOU4Kxfu0c7SRWKaC9F9BbZsV1KJLuKEqFyakUuQKX2ghpEigqcQEKqaIWKxC9qNv-BmbXjmrYSj4uz2t35Zjyz653Z2LOSdNfTiUdcmICM4W6V6zeL1GNu0dJoAA5pYJZN_Br54ZxZf6TPLhqLE5Nm7q2lbscrNZ-f-V3J_1gV6sCu-JXsP1g2A4UKKIN94QoWhutf2VipOYqjKqyCBdtWbIjwaxWFWYpTwYJNFFqBqqrCHIXqBdFfUxxdNJbHBRXcSUHoMIVRgaUBYQrFVGizsS9VBZQBDBM-ghaqqJ3K4NCEYQVxaBkLVEvQodeMQpmAAoZqIRWezoj-1BEQIANR7KpAqCWsoU1P-QCoI-RDKCE7Y0IqKGBrIWOYSZyX3cabH6vBTBHgyqp5Fx0nTi6fBjrmD-I2_mEx3-48iVdc_Gvr1LCGMZuKkSpVHwsmFEHobDcST9aCePWJnUEk7o_mqAmtrwZxNBvDDD1NBbqzx8oANaTkyKoaR0v11W4L36U4m5UwHBgy06mQb6ke5_mke0GEZG8iJrNX8KzkR8NJQCwI26C1hNZxPCadE0ltQMith-CdF3FXIHEXRJ1IXktZumymi2iSZTx9WOi5FVEjZs650pLN7JPrNkQNmOLkaSvGVGCElAyrpJcy0t_yoc_NV2u4zmsq5qs4RyA8xJNLjOLj4zAAYvzcKQYQpOiGpWZhsYmnrONGzPjmko_pUIh7p0UApzNqg696PurigRvw1M45oAuXpItp5CjbyWPgsjTRiq9Iz4Z7g-GXzzLf_sk_bsijdz15uH_APxzw3XWZ_-gPP23w7S356GBt9GYg88Hu6NVgeLgh8_46f7EujzZfHu2tycO9TZm_HvBvX_n7LZn3dkf9w-Fmj79d4zt9GToCPWIc7QP89x7v7VyVFmZqC5V6MT1LpRiZRrkIWmKhaWgBxD9hSEPDd0OrSb2wGfhWOQgCCAxd3TPA4y_7bmBCW-B7LnFDQ_OZR7Rr0mQUR8F1SYYY0bcszVU9vYlnU1AaYEpVYjHDgwCqOSXdAX01Ws3lBqaux9-luNFqNyBAv48p0jGDpDklTWf6bKwkiXUaedPe-FOHm9KF4ylwS5rstLvBbQgQOt60GA2_ACM25_k
linkProvider Korean Association of Medical Journal Editors
openUrl ctx_ver=Z39.88-2004&ctx_enc=info%3Aofi%2Fenc%3AUTF-8&rfr_id=info%3Asid%2Fsummon.serialssolutions.com&rft_val_fmt=info%3Aofi%2Ffmt%3Akev%3Amtx%3Ajournal&rft.genre=article&rft.atitle=%EB%B0%9C%EB%AA%A9+%EC%97%BC%EC%A2%8C+%ED%9B%84+%EB%B3%B4%EC%A1%B4%EC%A0%81+%EC%B9%98%EB%A3%8C%EC%97%90+%EA%B4%80%ED%95%9C+%EC%9C%A0%ED%8A%9C%EB%B8%8C+%EC%98%81%EC%83%81+%ED%8F%89%EA%B0%80+%EB%B0%8F+%EC%8B%9C%EC%B2%AD%EC%9E%90+%EC%84%A0%ED%98%B8%EB%8F%84%EC%99%80%EC%9D%98+%EC%83%81%EA%B4%80+%EA%B4%80%EA%B3%84+%EB%B6%84%EC%84%9D&rft.jtitle=The+journal+of+the+Korean+Orthopaedic+Association&rft.au=%EC%9D%B4%EC%A4%80%EC%98%81%28JunYoung+Lee%29&rft.au=%EC%9D%B4%ED%98%84%EC%A4%80%28HyeonJoon+Lee%29&rft.au=%EC%B0%A8%EB%8F%99%ED%98%81%28DongHyuk+Cha%29&rft.au=%EC%9D%B4%EC%A0%95%ED%98%B8%28JungHo+Lee%29&rft.date=2022-08-01&rft.pub=%EB%8C%80%ED%95%9C%EC%A0%95%ED%98%95%EC%99%B8%EA%B3%BC%ED%95%99%ED%9A%8C&rft.issn=1226-2102&rft.eissn=2005-8918&rft.volume=57&rft.issue=4&rft.spage=326&rft.epage=332&rft_id=info:doi/10.4055%2Fjkoa.2022.57.4.326&rft.externalDocID=NODE11113041
thumbnail_l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lc.gif&issn=1226-2102&client=summon
thumbnail_m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mc.gif&issn=1226-2102&client=summon
thumbnail_s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sc.gif&issn=1226-2102&client=summ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