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궁궐들’과 ‘집들’ ‐ 아모스 3장 9-15절 공시적 읽기
아모스 3장 9-15절은 북 왕국 이스라엘의 주요 두 도시인 사마리아와 벧엘에 대한 하나님의 심판을 내용으로 한다. 여기서 두 가지 특징이 나타나는데 하나는 이방나라의 “궁궐들”이 증인으로 불려오고, 다른 하나는 사마리아의 궁궐들과 벧엘의 집들이 심판의 대상이 된다는 점이다. 즉 “궁궐들”은 약탈되며, “겨울 집”과 “여름 집,” “상아 집들,” “큰 집들”은 파괴된다. 또 3장 12절에서는 건물이 아닌 가구가 나타난다. 이 구절은 각 번역성경에서 미묘한 의미 차이를 드러낸다. 따라서 이 글은 이 구절의 의미에 따른 번역을 제시하는...
Saved in:
Published in | Changsin nondan Vol. 56; no. 4; pp. 9 - 30 |
---|---|
Main Author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장로회신학대학교 기독교사상과 문화연구원
01.12.2024
기독교사상과문화연구원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1229-1390 2713-7554 |
DOI | 10.15757/kpjt.2024.56.4.001 |
Cover
Abstract | 아모스 3장 9-15절은 북 왕국 이스라엘의 주요 두 도시인 사마리아와 벧엘에 대한 하나님의 심판을 내용으로 한다. 여기서 두 가지 특징이 나타나는데 하나는 이방나라의 “궁궐들”이 증인으로 불려오고, 다른 하나는 사마리아의 궁궐들과 벧엘의 집들이 심판의 대상이 된다는 점이다. 즉 “궁궐들”은 약탈되며, “겨울 집”과 “여름 집,” “상아 집들,” “큰 집들”은 파괴된다. 또 3장 12절에서는 건물이 아닌 가구가 나타난다. 이 구절은 각 번역성경에서 미묘한 의미 차이를 드러낸다. 따라서 이 글은 이 구절의 의미에 따른 번역을 제시하는 동시에 9-15절에 나타난 궁궐들과 집들의 의미를 탐구한다. 일반적으로 건물과 집은 일상의 안전을 담보하는 장치이며, 호화 주택과 고급 가구는 경제적 부를 전제한다. 부는 하나님의 축복이요, 하나님의 집은 하나님과 이스라엘의 관계에 대한 보증이다. 이러한 사회적 종교적 안전 장치가 아모스 3장 9-15절에서는 모두 하나님의 심판의 타겟이 된다. 이는 이스라엘의 경제적 부요가 하나님으로부터 나온 것이 아님을 시사해준다. 본문은 무엇보다도 크고 호화로운 건물과 가구를 하나님 심판의 대상이자 심판 결과로 부각함으로써 부유층의 생활양식이 약자 약탈과 불법적 소유에 기반한 것임을 고발한다. 한마디로 아모스 3장 9-15절은 이스라엘의 총체적 심판의 원인을 부자들의 사회윤리적 악행으로 제시하고 있다. 사마리아와 벧엘의 건축물과 가구는 이스라엘 멸망의 당위성을 증언해주는 말없는 증인이다. 이방 나라의 ‘궁궐들’을 하나님의 법정의 증인으로 세움으로써 사마리아와 벧엘의 죄가 하나님과의 특별한 언약관계 파기에 있는 것이 아니라 인류보편적인 죄에 있음을 드러낸다. 이 점에서 아모스 3장 9-15절은 1-2장의 열방말씀과 같은 선상에 서 있다 하겠다. Amos 3:9-15 depicts God’s judgment upon both Samaria, the administrative capital of Israel’s northern kingdom, and Bethel, its religious center. Two key features emerge: First, God calls upon the “palaces” of Ashdod and Egypt as witnesses in YHWH’s lawsuit. Second, the divine judgment focuses on destroying numerous buildings and furnishings. Buildings typically provide safety, while luxurious homes and furniture represent wealth—traditionally seen as divine blessings. Most importantly, the House of God (Beth-el) symbolizes God’s covenant with Israel. The divine punishment of these social and religious institutions reveals that their prosperity is not God-given. The extensive architectural structures and lavish furnishings of the wealthy stand as proof that they built their lifestyle by exploiting the vulnerable. By calling foreign nations as witnesses, the text suggests that international—not Israelite—law will judge the case. The Israelites’ transgression transcends their special covenant with God, becoming a universal offense. Their palaces filled with luxurious beds and couches, their summer and winter houses, their grand buildings, and ivory-adorned homes all testify silently to Israel’s sinful conduct. KCI Citation Count: 0 |
---|---|
AbstractList | 아모스 3장 9-15절은 북 왕국 이스라엘의 주요 두 도시인 사마리아와 벧엘에 대한 하나님의 심판을 내용으로 한다. 여기서 두 가지 특징이 나타나는데 하나는 이방나라의 “궁궐들”이 증인으로 불려오고, 다른 하나는 사마리아의 궁궐들과 벧엘의 집들이 심판의 대상이 된다는 점이다. 즉 “궁궐들”은 약탈되며, “겨울 집”과 “여름 집,” “상아 집들,” “큰 집들”은 파괴된다. 또 3장 12절에서는 건물이 아닌 가구가 나타난다. 이 구절은 각 번역성경에서 미묘한 의미 차이를 드러낸다. 따라서 이 글은 이 구절의 의미에 따른 번역을 제시하는 동시에 9-15절에 나타난 궁궐들과 집들의 의미를 탐구한다. 일반적으로 건물과 집은 일상의 안전을 담보하는 장치이며, 호화 주택과 고급 가구는 경제적 부를 전제한다. 부는 하나님의 축복이요, 하나님의 집은 하나님과 이스라엘의 관계에 대한 보증이다. 이러한 사회적 종교적 안전 장치가 아모스 3장 9-15절에서는 모두 하나님의 심판의 타겟이 된다. 이는 이스라엘의 경제적 부요가 하나님으로부터 나온 것이 아님을 시사해준다. 본문은 무엇보다도 크고 호화로운 건물과 가구를 하나님 심판의 대상이자 심판 결과로 부각함으로써 부유층의 생활양식이 약자 약탈과 불법적 소유에 기반한 것임을 고발한다. 한마디로 아모스 3장 9-15절은 이스라엘의 총체적 심판의 원인을 부자들의 사회윤리적 악행으로 제시하고 있다. 사마리아와 벧엘의 건축물과 가구는 이스라엘 멸망의 당위성을 증언해주는 말없는 증인이다. 이방 나라의 ‘궁궐들’을 하나님의 법정의 증인으로 세움으로써 사마리아와 벧엘의 죄가 하나님과의 특별한 언약관계 파기에 있는 것이 아니라 인류보편적인 죄에 있음을 드러낸다. 이 점에서 아모스 3장 9-15절은 1-2장의 열방말씀과 같은 선상에 서 있다 하겠다. Amos 3:9-15 depicts God’s judgment upon both Samaria, the administrative capital of Israel’s northern kingdom, and Bethel, its religious center. Two key features emerge: First, God calls upon the “palaces” of Ashdod and Egypt as witnesses in YHWH’s lawsuit. Second, the divine judgment focuses on destroying numerous buildings and furnishings. Buildings typically provide safety, while luxurious homes and furniture represent wealth—traditionally seen as divine blessings. Most importantly, the House of God (Beth-el) symbolizes God’s covenant with Israel. The divine punishment of these social and religious institutions reveals that their prosperity is not God-given. The extensive architectural structures and lavish furnishings of the wealthy stand as proof that they built their lifestyle by exploiting the vulnerable. By calling foreign nations as witnesses, the text suggests that international—not Israelite—law will judge the case. The Israelites’ transgression transcends their special covenant with God, becoming a universal offense. Their palaces filled with luxurious beds and couches, their summer and winter houses, their grand buildings, and ivory-adorned homes all testify silently to Israel’s sinful conduct. KCI Citation Count: 0 |
Author | 배희숙(BAE Hee-Sook) |
Author_xml | – sequence: 1 fullname: 배희숙(BAE Hee-Sook) |
BackLink |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3149614$$DAccess content in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NRF) |
BookMark | eNotkD9Lw0AAxQ-pYK39BC5ZXITE-5O75MZSqxaLBel-3CVXidW0pDq4teAgulREUFDpUFGchGJx0C_TMb0PYbCdfu89Hm94qyAXt2MNwDqCDqIe9bZaneMzB0PsOpQ5rgMhWgJ57CFie5S6OZBHGHMbEQ5XQLHbjRSEPvN9Rnke7E97D-mkn04Gs7vRtPeYjn-sLDJvt3OfmYFl7i9nH-_memQR8_JqZVvUDK-sdPxlbp7MsG-Z59_0-3MNLDflSVcXFyyAxk6lUd6za_XdarlUs2NGoa2kpznhRHKmdIixRlIxLH2XIA414RqHfqBhAHXIUIBCRZlSIaGhclnT9VxSAJvz2ThpilYQibaM_nnUFq1ElA4bVYEgy65hflbeWJTPk-hUh5EUnUzI5EIc1LcrKLuN-R4kfysXdG0 |
ContentType | Journal Article |
DBID | DBRKI TDB ACYCR |
DOI | 10.15757/kpjt.2024.56.4.001 |
DatabaseName | DBPIA - 디비피아 누리미디어 DBpia Korean Citation Index |
DatabaseTitleList | |
DeliveryMethod | fulltext_linktorsrc |
Discipline | Religion |
DocumentTitleAlternate | ‘Palaces’ and ‘Houses’: A synchronic Reading of Amos 3:9-15 |
DocumentTitle_FL | ‘Palaces’ and ‘Houses’: A synchronic Reading of Amos 3:9-15 |
EISSN | 2713-7554 |
EndPage | 30 |
ExternalDocumentID | oai_kci_go_kr_ARTI_10657568 NODE12026870 |
GroupedDBID | ALMA_UNASSIGNED_HOLDINGS DBRKI FRS TDB ACYCR |
ID | FETCH-LOGICAL-n650-ba7e9393a96bed22e1ab62a843190e39e2d8ce0c0ed61c1db56bbd35db46f4743 |
ISSN | 1229-1390 |
IngestDate | Wed Jan 01 03:26:59 EST 2025 Thu Feb 06 13:25:59 EST 2025 |
IsPeerReviewed | false |
IsScholarly | false |
Issue | 4 |
Keywords | 증인 Houses 아모스 3:9-15 Buildings 벧엘 집들 증거 Amos 3:9-15 Furniture 아모스 3:12 사마리아 궁궐들 Amos 3:12 Divine Judgment |
Language | Korean |
LinkModel | OpenURL |
MergedId | FETCHMERGED-LOGICAL-n650-ba7e9393a96bed22e1ab62a843190e39e2d8ce0c0ed61c1db56bbd35db46f4743 |
PageCount | 22 |
ParticipantIDs | nrf_kci_oai_kci_go_kr_ARTI_10657568 nurimedia_primary_NODE12026870 |
PublicationCentury | 2000 |
PublicationDate | 2024-12 |
PublicationDateYYYYMMDD | 2024-12-01 |
PublicationDate_xml | – month: 12 year: 2024 text: 2024-12 |
PublicationDecade | 2020 |
PublicationTitle | Changsin nondan |
PublicationYear | 2024 |
Publisher | 장로회신학대학교 기독교사상과 문화연구원 기독교사상과문화연구원 |
Publisher_xml | – name: 장로회신학대학교 기독교사상과 문화연구원 – name: 기독교사상과문화연구원 |
SSID | ssib008688659 ssib044742634 ssib022235094 ssib012597227 ssj0002117716 |
Score | 1.891889 |
Snippet | 아모스 3장 9-15절은 북 왕국 이스라엘의 주요 두 도시인 사마리아와 벧엘에 대한 하나님의 심판을 내용으로 한다. 여기서 두 가지 특징이 나타나는데 하나는 이방나라의 “궁궐들”이 증인으로 불려오고, 다른 하나는 사마리아의 궁궐들과 벧엘의 집들이 심판의 대상이 된다는 점이다. 즉... |
SourceID | nrf nurimedia |
SourceType | Open Website Publisher |
StartPage | 9 |
SubjectTerms | 기독교신학 |
Title | ‘궁궐들’과 ‘집들’ ‐ 아모스 3장 9-15절 공시적 읽기 |
URI | https://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nodeId=NODE12026870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3149614 |
Volume | 56 |
hasFullText | 1 |
inHoldings | 1 |
isFullTextHit | |
isPrint | |
ispartofPNX | 장신논단, 2024, 56(4), , pp.9-30 |
link | http://utb.summon.serialssolutions.com/2.0.0/link/0/eLvHCXMwnR1Na9VAcKkV1Iv4ifWjBHRPj9Rkv7J7TN5LqUrrwQr19Min1AevpbYXD9KCB9FLRQQFlR4qiiehWDzon-nxNT_C2c1HgxX8gEdeMjs7mZ3ZzcxmJ7MIXcujnMQZpXZOE88GeyttGUvHjrhIoMukSZrqFd3ZOTFzl91c4AtjR-61opbWVuOp5NFvvyv5H60CDPSqv5L9B802RAEA56BfOIKG4fhXOq4jFSQOfRwI8AqrE-XgMMCKYp_VOMoUURx0O61qXex7WLmHsRskp6OxFMeSaSzfx76pJ-GEdagpDLHPO8p2uSHoYCk79d0MSAL1bl3mlgR7OOgZJIkDp-0im-8dHi4OO8OlYXrQd_XNA0f_wp6u7RuCUuqWERn4IVjQzL4Dc4b65Ub1LoOwX-JCGpZNe1zDGpD0sexWzPrlTbiRWqDhsg3xdbOMYCr2DdI0lrwpM4RIzSStNVOJP9AFUFOTVFgxw5FnCJn6ZTUFUnNaRoMQEDGtQJmBEZj82x4vE2TXlqZMoV6NKNYyG6rlf5TLVIcsG7jVenF9sPxARwATNsXFlE787h4Y8ia8cu52L3QBScDD-Ag6SjzPRDDMPg6bR60UUrY2CgA3V3mENJ6o9hp5a-bPmKcz-7Pm9SXRi_1mY-Gm9VVOL83o9cNsgu82XAGX7_hwTe9bAQ-_lh83fwqdrCZgll-OptNobLB0Bh2rI_PPolt7669Huxuj3c39l9t7629GO98tABUfX5TXcLFpFa-e7H_-VDzbtmjx_oOlu36x9dQa7Xwtnr8ttjas4t2P0bcv59D8dDjfnbGrHUfsIcxU7DjyMkUVjZSIs5SQzI1iQSIJTrZyMqoyksokcxInS4WbuGnMRRynlKcxEzlIiJ5H4zA2sgvIEtxjUc4jwPGYoG4EEpSArPI0Bw86mkBXQRz9QbLY1wne9f_9pf5gpQ_T2Bt919HroUJOoMlGXP3lMv1Mv63di39CuIROHAy0y2h8dWUtuwJu9Go8aTrET0kCm1Q |
linkProvider | ISSN International Centre |
openUrl | ctx_ver=Z39.88-2004&ctx_enc=info%3Aofi%2Fenc%3AUTF-8&rfr_id=info%3Asid%2Fsummon.serialssolutions.com&rft_val_fmt=info%3Aofi%2Ffmt%3Akev%3Amtx%3Ajournal&rft.genre=article&rft.atitle=%E2%80%98%EA%B6%81%EA%B6%90%EB%93%A4%E2%80%99%EA%B3%BC+%E2%80%98%EC%A7%91%EB%93%A4%E2%80%99+%E2%80%90+%EC%95%84%EB%AA%A8%EC%8A%A4+3%EC%9E%A5+9-15%EC%A0%88+%EA%B3%B5%EC%8B%9C%EC%A0%81+%EC%9D%BD%EA%B8%B0&rft.jtitle=Changsin+nondan&rft.au=%EB%B0%B0%ED%9D%AC%EC%88%99%28BAE+Hee-Sook%29&rft.date=2024-12-01&rft.pub=%EC%9E%A5%EB%A1%9C%ED%9A%8C%EC%8B%A0%ED%95%99%EB%8C%80%ED%95%99%EA%B5%90+%EA%B8%B0%EB%8F%85%EA%B5%90%EC%82%AC%EC%83%81%EA%B3%BC+%EB%AC%B8%ED%99%94%EC%97%B0%EA%B5%AC%EC%9B%90&rft.issn=1229-1390&rft.eissn=2713-7554&rft.volume=56&rft.issue=4&rft.spage=9&rft.epage=30&rft_id=info:doi/10.15757%2Fkpjt.2024.56.4.001&rft.externalDocID=NODE12026870 |
thumbnail_l |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lc.gif&issn=1229-1390&client=summon |
thumbnail_m |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mc.gif&issn=1229-1390&client=summon |
thumbnail_s |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sc.gif&issn=1229-1390&client=summ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