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건강도시를 위한 건강 및 환경 모니터링 서비스의 지역계획 현황과 과제

본 연구에서는 스마트건강도시를 미래 도시계획모델의 하나로보고, 모든 도시민의 건강을 증진하고 질병을 예방하기 위한 필수적인 도시 서비스로서 건강 및 환경 모니터링 서비스의 국내 계획 현황을 살펴보고자 한다. 우선, 글로벌 연구에서 발견되는 건강 및 환경모니터링 기술 분야에 기반하여 국내 관련 사업계획의주요 분야를 파악 및 비교·분석하여 국내 모니터링 사업 분야의발전 방안을 제시한다. 둘째, 건강 및 환경 모니터링 서비스 현황분석을 위해, 관련 계획서에서 설명되고 있는 사업의 목적, 모니터링의 공간적 범위, 관련 기술, 성과지표 등을...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국토계획 Vol. 59; no. 5; pp. 147 - 166
Main Authors 최동아(Choi, Dong-ah), 송윤정(Song, Yun-jeong), 홍의석(Hong, Andy)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01.10.2024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226-7147
2383-9171
DOI10.17208/jkpa.2024.10.59.5.147

Cover

Loading…
More Information
Summary:본 연구에서는 스마트건강도시를 미래 도시계획모델의 하나로보고, 모든 도시민의 건강을 증진하고 질병을 예방하기 위한 필수적인 도시 서비스로서 건강 및 환경 모니터링 서비스의 국내 계획 현황을 살펴보고자 한다. 우선, 글로벌 연구에서 발견되는 건강 및 환경모니터링 기술 분야에 기반하여 국내 관련 사업계획의주요 분야를 파악 및 비교·분석하여 국내 모니터링 사업 분야의발전 방안을 제시한다. 둘째, 건강 및 환경 모니터링 서비스 현황분석을 위해, 관련 계획서에서 설명되고 있는 사업의 목적, 모니터링의 공간적 범위, 관련 기술, 성과지표 등을 파악하여 사업 목적 및 공간적 맥락에 따른 사업 구체화 특징을 살펴본다. 마지막으로, 건강 및 환경 모니터링 서비스의 분야와 내용을 도시 크기에 따라 분류하여, 도시 유형에 따라 수요가 많은 모니터링 서비스 분야와 내용을 분석하고 이를 지원하기 위한 국가 차원의 정책발전 방안을 제안한다. “Smart Healthy Cities” has been proposed as a new urban planning model that leverages technology for population health promotion. This study investigated environmental and health monitoring services crucial to developing Smart Healthy Cities, analyzing their current practices and challenges for Korean cities. Through a systematic review of 26 Smart City Plans and 71 Community Health and Medical Care Plans, we identified nine major categories of environmental and health monitoring services. The monitoring services in the Smart City Plans were more evenly distributed across the category than the services identified in the Community Health and Medical Care Plans. We found that these monitoring services require different spatial scales depending on the purpose of monitoring and the needs of the target groups. The key challenges included difficulties in standardizing monitoring technologies and performance metrics, supporting health promotion for smaller cities, and tailoring monitoring services to reflect the daily activities of diverse population groups. This study seeks to expand knowledge on the current practices and challenges while providing valuable insights for supporting the development of Smart Healthy Cities. KCI Citation Count: 0
ISSN:1226-7147
2383-9171
DOI:10.17208/jkpa.2024.10.59.5.1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