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서조절 전략이 강박성향군의 심리적 불편감에 미치는 효과

본 연구는 정서조절 전략이 강박성향군의 심리적 불편감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성인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여 강박성향군으로 선별된 총 56명을 재평가, 수용, 억제 집단에 무선 할당하였다. 각 집단은 정서조절전략 실습에 참여하였고, 실습 전/후로 심리적 불편감을 측정하였다. 그결과, 집단 및 측정 시기의 주효과는 유의하지 않았으나 집단과 측정 시기의 상호작용 효과가 유의하였다. 수용 집단은 심리적 불편감이 감소하였으며, 억제 집단은 심리적 불편감이 증가하였다. 재평가 집단은 심리적 불편감에서 유의한 변화가...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Seuteureseu yeon-gu (Online) Vol. 32; no. 2; pp. 104 - 110
Main Authors 차우진(Woo-Jin Cha), 현명호(Myoung-Ho Hyun)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대한스트레스학회 01.06.2024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225-665X
2234-1668
DOI10.17547/kjsr.2024.32.2.104

Cover

Loading…
More Information
Summary:본 연구는 정서조절 전략이 강박성향군의 심리적 불편감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성인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여 강박성향군으로 선별된 총 56명을 재평가, 수용, 억제 집단에 무선 할당하였다. 각 집단은 정서조절전략 실습에 참여하였고, 실습 전/후로 심리적 불편감을 측정하였다. 그결과, 집단 및 측정 시기의 주효과는 유의하지 않았으나 집단과 측정 시기의 상호작용 효과가 유의하였다. 수용 집단은 심리적 불편감이 감소하였으며, 억제 집단은 심리적 불편감이 증가하였다. 재평가 집단은 심리적 불편감에서 유의한 변화가 없었다. 본 연구에서는 수용 전략이 심리적 불편감 감소에 적응적인 전략임을 보여주었으며, 이를 통해 정서조절 전략에 대한 이해를 확장하고, 치료적 함의를 제안하였다. Background: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on psychological distress in individuals with obsessive-compulsive tendencies. Methods: A total of 339 adults completed online and offline surveys administered to determine the level of obsessive-compulsive symptoms. Among them, 56 were categorized into the obsessive-compulsive tendency group and randomly assigned to the reappraisal, acceptance, and suppression groups, where each participated in emotion regulation strategy training. Their psychological distress was assessed before and after the training. Results: The results of the repeated-measures analysis of variance (ANOVA) showed that the main effects of neither group nor time were significant, but the interaction between group and time was significant. The acceptance group showed a significant decrease in psychological distress post-training, whereas the suppression group showed a significant increase. The reappraisal group showed no significant changes in psychological distress before and after the training. Conclusions: This study demonstrated that the acceptance strategy was especially effective and adaptive in reducing psychological distress. These findings expand our understanding of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and have therapeutic implications. Finally,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re discussed, presenting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KCI Citation Count: 0
ISSN:1225-665X
2234-1668
DOI:10.17547/kjsr.2024.32.2.1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