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호 및 보건계열 대학 신입생의 전공만족도와 학업적응에서 정서안정성과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

본 연구는 간호 및 보건계열 대학 신입생의 전공만족도와 학업적응에서 정서안정성과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간호 및 보건계열 학과 남,녀 신입생 291명의 전공만족도, 학업적응, 정서안정성, 사회적 지지를 측정하였고, 기술통계와 t-test, ANOVA, 상관분석, 위계적 회귀분석으로 분석하였다. 대상자의 전공만족도, 정서안정성, 사회적 지지, 학업적응은 성별에 따른 차이가 없었으나, 전공만족도와 학업적응에서 전공학과에 따른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전공만족도와 학업적응에서 정서안정성과 사회적 지지가 부분적인 매개...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Seuteureseu yeon-gu (Online) Vol. 24; no. 4; pp. 269 - 276
Main Author 이지영(Jee Young Lee)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대한스트레스학회 01.12.2016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225-665X
2234-1668
DOI10.17547/kjsr.2016.24.4.269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본 연구는 간호 및 보건계열 대학 신입생의 전공만족도와 학업적응에서 정서안정성과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간호 및 보건계열 학과 남,녀 신입생 291명의 전공만족도, 학업적응, 정서안정성, 사회적 지지를 측정하였고, 기술통계와 t-test, ANOVA, 상관분석, 위계적 회귀분석으로 분석하였다. 대상자의 전공만족도, 정서안정성, 사회적 지지, 학업적응은 성별에 따른 차이가 없었으나, 전공만족도와 학업적응에서 전공학과에 따른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전공만족도와 학업적응에서 정서안정성과 사회적 지지가 부분적인 매개효과를 갖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는 대상자의 학업적응을 위해 정서안정성과 사회적 지지를 강화하는 다양한 정신건강 중재와 인적 네트워킹 전략이 필요함을 시사해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mediating effects of emotional stability and social suppor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ajor satisfaction and academic adjustment of college freshmen majoring in nursing and health science. Data were collected from 291 college freshmen majoring in nursing and health science using a self-reported questionnaire, which included a major satisfaction, emotional stability, social support, and academic adjustment. A Descriptive,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hierarchical regression, and Sobel test were used for data analysis. The result showed that major satisfaction was positively related to emotional stability, social support, and academic adjustment. Emotional stability and social support was positively related to academic adjustment.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emotional stability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major satisfaction and academic adjustment. Also, social support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major satisfaction and academic adjustment. These results suggest that emotional stability and social support can be effective variables in improving academic adjustment of freshmen majoring in nursing and health science. Overall, it is necessary to develop mental health interventions and networking system including strategies to improve emotional stability and social support in order to facilitate their academic adjustment. KCI Citation Count: 9
Bibliography:G704-002182.2016.24.4.011
ISSN:1225-665X
2234-1668
DOI:10.17547/kjsr.2016.24.4.26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