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령전기 다문화 가정 아동의 읽기능력 특성

다문화 가정의 증가로 인해 다문화 가정 아동의 학령 인구가 증가함에 따라 이들의 언어 능력을 알아보는 것이 필요하다. 이 연구는 학령전기 다문화 가정 아동의 읽기능력 특성을 알아보았다. 연구 대상은 광주광역시와 전남 3개 군에 거주하는 학령전기 유치부 아동 66명(남아 32명, 여아 34명)이었고 이들은 유치원 교육과정에서 문자언어 학습을 받고 있었다. 학령전기 다문화 가정 아동의 읽기능력을 알아보기 위해 KNISE-BAAT(읽기)를 사용하여 선수기능, 음독능력, 독해능력을 평가하였다. 자료처리는 SPSS(version 19.0)를...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언어치료연구 Vol. 22; no. 3; pp. 133 - 146
Main Author 유재연(Jae Yeon Yoo)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언어치료학회 01.09.2013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226-587X
2671-7158
DOI10.15724/jslhd.2013.22.3.008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다문화 가정의 증가로 인해 다문화 가정 아동의 학령 인구가 증가함에 따라 이들의 언어 능력을 알아보는 것이 필요하다. 이 연구는 학령전기 다문화 가정 아동의 읽기능력 특성을 알아보았다. 연구 대상은 광주광역시와 전남 3개 군에 거주하는 학령전기 유치부 아동 66명(남아 32명, 여아 34명)이었고 이들은 유치원 교육과정에서 문자언어 학습을 받고 있었다. 학령전기 다문화 가정 아동의 읽기능력을 알아보기 위해 KNISE-BAAT(읽기)를 사용하여 선수기능, 음독능력, 독해능력을 평가하였다. 자료처리는 SPSS(version 19.0)를 사용하여 기술통계분석, 일원배치분산분석, 피어슨상관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학령전기 다문화 가정 아동의 읽기능력은 선수기능, 음독기능, 독해기능 등이 규준집단과 비교해서 평균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령전기 다문화 가정 아동의 읽기 하위영역 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마지막으로, 학력지수와 문장완성, 어휘선택, 문장배열 간에 강한 상관이 있어 이러한 읽기 하위영역 능력이 학력수준에 많은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문화 가정 아동의 읽기능력을 보다 포괄적으로 알아보기 위해 지역, 이주부모 국적, 부모의 학력, 이주부모의 한국어 능력 등의 변인 등을 고려한 연구들이 계속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reading abilities in preschool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Sixty-six subjects (32 males and 34 females, kindergarten children) participated in this study. KNISE-BAAT ‘reading’ was used to sample and analyze the reading abilities of the subjects. To preform analysis of reading abilities and descriptive statistics, a one-way ANOVA, Scheffé Post Hoc test, and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were conducted using SPSS/Win 19.0. The results were as follows: the level of reading abilities of subjects corresponded to the average;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various reading sub-items; there was a strong correlation between academic quotient and sentence completion, vocabulary selection, and sentence, and sentence arrangement. KCI Citation Count: 7
Bibliography:G704-000939.2013.22.3.013
ISSN:1226-587X
2671-7158
DOI:10.15724/jslhd.2013.22.3.0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