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빅데이터 활용 메타버스 트렌드 분석

본 연구는 메타버스 관련 뉴스 빅데이터에 나타난 주요 키워드와 트렌드를 도출함으로써, 한국사회 메타버스 현상의 시사점을 제안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뉴스 빅데이터 13,581건을 대상으로 토픽 모델링 분석방법 중 LDA(Latent Dirichlet Allocation) 알고리즘을 활용해 분석을 수행했다. 토픽 모델링 분석 결과, 메타버스 구현을 위한 실감형 디지털 기술 개발 가속화, 메타버스 관련 가상융합경제 활성화, 메타버스를 활용한 교육 운영 및 취·창업 지원, 미래 성장동력으로서의 메타버스 활용, 메타버스 플랫폼과...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디지털콘텐츠학회논문지 Vol. 23; no. 2; pp. 203 - 216
Main Authors 김태종(Taejong Kim), 안부영(Buyoung Ahn), 이원철(Woncheol Lee), 강혜진(Hyejin Kang)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디지털콘텐츠학회 01.02.2022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598-2009
2287-738X
DOI10.9728/dcs.2022.23.2.203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본 연구는 메타버스 관련 뉴스 빅데이터에 나타난 주요 키워드와 트렌드를 도출함으로써, 한국사회 메타버스 현상의 시사점을 제안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뉴스 빅데이터 13,581건을 대상으로 토픽 모델링 분석방법 중 LDA(Latent Dirichlet Allocation) 알고리즘을 활용해 분석을 수행했다. 토픽 모델링 분석 결과, 메타버스 구현을 위한 실감형 디지털 기술 개발 가속화, 메타버스 관련 가상융합경제 활성화, 메타버스를 활용한 교육 운영 및 취·창업 지원, 미래 성장동력으로서의 메타버스 활용, 메타버스 플랫폼과 콘텐츠 비즈니스의 성장, 메타버스를 활용한 기업 채용문화 변화 등 6개의 주요 트렌드가 도출되었고, 본 도출 결과를 바탕으로 메타버스의 기술적 차원, 경제적 차원, 교육적 차원, 정책적 차원, 플랫폼·콘텐츠 차원, 기업 경영 차원에서 시사점을 제안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rive implications of the metaverse phenomenon in Korean society by analyzing major keywords and trends appearing in the metaverse-related news big data. 13,581 news big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LDA (Latent Dirichlet Allocation) algorithm among the topic modeling analysis methods. As a result of the topic modeling analysis, the main trends derived are as follows. Accelerating the development of immersive digital technology for metaverse implementation, Activation of the metaverse-related virtual convergence economy, Education operation and employment/startup support using the Metaverse, Metaverse as a future growth engine, Growth of metaverse platform and content business, Changes in corporate recruitment culture using Metaverse. Based on these results, implications were proposed in the technical, economic, educational, policy, platform/content dimension, and corporate management dimension of the Metaverse. KCI Citation Count: 25
Bibliography:http://dx.doi.org/10.9728/dcs.2022.23.2.203
ISSN:1598-2009
2287-738X
DOI:10.9728/dcs.2022.23.2.2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