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화 이후 한국 정당경쟁의 이념적 차원 연구 선거공약에 나타난 정책강조의 요인분석을 중심으로

이 글의 목적은 공약분석에 기초해 민주화 이후 정당 간 이념갈등의 성격을 규명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1992년부터 2017년까지 주요정당의 총선과 대선공약에 대한 내용분석과 요 인분석이 수행되었다. 분석의 결과는 한국 정당의 이념갈등이 정치 영역의 ‘평화·민주’와 ‘국 가안보’, 그리고 경제영역의 ‘좌-우’ 차원에서 나타나고 있음을 보여준다. 이러한 발견은 국회 의원 이념연구에서 나타난 ‘반공주의’와 ‘좌-우’ 갈등을 공약분석을 통해 확인하는 것이고, 여 기에 더해 ‘민주주의’ 갈등이 지속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탈물질주의 갈등은...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현대정치연구 Vol. 13; no. 1; pp. 5 - 39
Main Author 이지호(Lee, Ji-Ho)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서강대학교 현대정치연구소 01.04.2020
현대정치연구소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976-9466
2635-6015
DOI10.52594/jcp.2020.04.13.1.5

Cover

Loading…
Abstract 이 글의 목적은 공약분석에 기초해 민주화 이후 정당 간 이념갈등의 성격을 규명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1992년부터 2017년까지 주요정당의 총선과 대선공약에 대한 내용분석과 요 인분석이 수행되었다. 분석의 결과는 한국 정당의 이념갈등이 정치 영역의 ‘평화·민주’와 ‘국 가안보’, 그리고 경제영역의 ‘좌-우’ 차원에서 나타나고 있음을 보여준다. 이러한 발견은 국회 의원 이념연구에서 나타난 ‘반공주의’와 ‘좌-우’ 갈등을 공약분석을 통해 확인하는 것이고, 여 기에 더해 ‘민주주의’ 갈등이 지속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탈물질주의 갈등은 정당 간 정책경쟁 에서 드러나지 않고, 사회문화적 수준의 ‘권위주의 대 자유주의’ 갈등도 정당수준의 이념갈등 에서는 보이지 않는다. 대신에 권위주의와 자유주의 가치는 안보와 민주주의의 정치 이슈와 연관되고, 자유와 인권의 가치는 진보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분석 결과들이 전체 적으로 주는 함의는 민주화 이후 한국 정당정치가 경제적 ‘좌-우’ 갈등을 안착시킴과 동시에, 권위주의적 경험에 대한 경로의존성으로 인해 다양한 사회적 갈등의 동원에 결핍을 보이고 있다는 것이다. Using the methodology of manifesto estimate, this paper investigates the nature of ideological conflicts reflected on policy preferences of Korean parties since democratization. The main finding is that ideological conflicts among political parties are introduced into the three dimensions of ‘peace-democracy’, ‘national security’ and ‘economic left-right’. The analyses also show that the oppositions of post-materialist vs. materialist values and authoritarianism vs. libertarianism are not appeared on the policy competitions among parties. This result of the study suggests that the left-right dimension has been settled in policy competition since democratization, while the other societal conflicts have been little mobilized. It is also implicated that the post-democratization politics in Korea reveals a progress and a deficiency simultaneously in terms of political representation. KCI Citation Count: 1
AbstractList 이 글의 목적은 공약분석에 기초해 민주화 이후 정당 간 이념갈등의 성격을 규명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1992년부터 2017년까지 주요정당의 총선과 대선공약에 대한 내용분석과 요 인분석이 수행되었다. 분석의 결과는 한국 정당의 이념갈등이 정치 영역의 ‘평화·민주’와 ‘국 가안보’, 그리고 경제영역의 ‘좌-우’ 차원에서 나타나고 있음을 보여준다. 이러한 발견은 국회 의원 이념연구에서 나타난 ‘반공주의’와 ‘좌-우’ 갈등을 공약분석을 통해 확인하는 것이고, 여 기에 더해 ‘민주주의’ 갈등이 지속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탈물질주의 갈등은 정당 간 정책경쟁 에서 드러나지 않고, 사회문화적 수준의 ‘권위주의 대 자유주의’ 갈등도 정당수준의 이념갈등 에서는 보이지 않는다. 대신에 권위주의와 자유주의 가치는 안보와 민주주의의 정치 이슈와 연관되고, 자유와 인권의 가치는 진보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분석 결과들이 전체 적으로 주는 함의는 민주화 이후 한국 정당정치가 경제적 ‘좌-우’ 갈등을 안착시킴과 동시에, 권위주의적 경험에 대한 경로의존성으로 인해 다양한 사회적 갈등의 동원에 결핍을 보이고 있다는 것이다. Using the methodology of manifesto estimate, this paper investigates the nature of ideological conflicts reflected on policy preferences of Korean parties since democratization. The main finding is that ideological conflicts among political parties are introduced into the three dimensions of ‘peace-democracy’, ‘national security’ and ‘economic left-right’. The analyses also show that the oppositions of post-materialist vs. materialist values and authoritarianism vs. libertarianism are not appeared on the policy competitions among parties. This result of the study suggests that the left-right dimension has been settled in policy competition since democratization, while the other societal conflicts have been little mobilized. It is also implicated that the post-democratization politics in Korea reveals a progress and a deficiency simultaneously in terms of political representation. KCI Citation Count: 1
Author 이지호(Lee, Ji-Ho)
Author_xml – sequence: 1
  fullname: 이지호(Lee, Ji-Ho)
BackLink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582154$$DAccess content in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NRF)
BookMark eNotjMlKw1AYRi-iYB2ewE02Llwk3vnmLsUZREG6D0maSBxaaXHhziG6cVPB4tRgRRcuFONQUagvlPx9B8fV-eA7nAHUW66UA4RGCLYEFZqPr_qbFsUUW5hbhFnEEj2oQCUTpsRE9KIC0UqamkvZj4ZrtcjDmNoUK8YL6DB_7MBNp3t-YkDy2r2MjW6jmbUfDGg18qOP7PkTrnYhOft584M6tHYNSO_gsm7AaZq17w2IW9lTmr20ofEJp3Uj3zvr7u_ke82fAjwdZGkDrtPfwsUJJO_5WwxxAklswO0xHN1Ds5NfN4dQX-iu14Lhfw6i4sx0cXLOXFianZ-cWDDLkitTEY_igGqCVSgJCV0htV2ysQyU71HBNGWe73PGXUK4xCzESpe04EzQwPaIZINo7C9brobOmh85FTf65UrFWas6E8vFecfmmmJMvt3Rf3erGm0Epch1Nr-HW912FpemprFmjCiq2Bd9ap10
ContentType Journal Article
DBID DBRKI
TDB
ACYCR
DOI 10.52594/jcp.2020.04.13.1.5
DatabaseName DBPIA - 디비피아
Nurimedia DBPIA Journals
Korean Citation Index
DatabaseTitleList
DeliveryMethod fulltext_linktorsrc
DocumentTitleAlternate Ideological Dimensions of Party Competition in Korea, 1992~2017
DocumentTitle_FL Ideological Dimensions of Party Competition in Korea, 1992~2017
EISSN 2635-6015
EndPage 39
ExternalDocumentID oai_kci_go_kr_ARTI_8492001
NODE09331727
GroupedDBID ALMA_UNASSIGNED_HOLDINGS
DBRKI
M~E
TDB
ACYCR
ID FETCH-LOGICAL-n647-71b20e29107f611fa5698d806e7cb253923bcc434a114603f079d954352e8b163
ISSN 1976-9466
IngestDate Tue Nov 21 21:47:42 EST 2023
Thu Feb 06 13:22:58 EST 2025
IsPeerReviewed false
IsScholarly false
Issue 1
Keywords Manifesto Estimate
공약측정
Ideological Conflict
경로의존성
Ideological Dimension
요인분석
Factor Analysis
Party Competition
이념차원
내용분석
이념갈등
Language Korean
LinkModel OpenURL
MergedId FETCHMERGED-LOGICAL-n647-71b20e29107f611fa5698d806e7cb253923bcc434a114603f079d954352e8b163
PageCount 35
ParticipantIDs nrf_kci_oai_kci_go_kr_ARTI_8492001
nurimedia_primary_NODE09331727
PublicationCentury 2000
PublicationDate 2020-04
PublicationDateYYYYMMDD 2020-04-01
PublicationDate_xml – month: 04
  year: 2020
  text: 2020-04
PublicationDecade 2020
PublicationTitle 현대정치연구
PublicationYear 2020
Publisher 서강대학교 현대정치연구소
현대정치연구소
Publisher_xml – name: 서강대학교 현대정치연구소
– name: 현대정치연구소
SSID ssib002820734
ssib044738831
ssib006781154
Score 1.717791
Snippet 이 글의 목적은 공약분석에 기초해 민주화 이후 정당 간 이념갈등의 성격을 규명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1992년부터 2017년까지 주요정당의 총선과 대선공약에 대한 내용분석과 요 인분석이 수행되었다. 분석의 결과는 한국 정당의 이념갈등이 정치 영역의 ‘평화·민주’와 ‘국 가안보’,...
SourceID nrf
nurimedia
SourceType Open Website
Publisher
StartPage 5
SubjectTerms 정치외교학
Title 민주화 이후 한국 정당경쟁의 이념적 차원 연구 선거공약에 나타난 정책강조의 요인분석을 중심으로
URI https://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nodeId=NODE09331727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582154
Volume 13
hasFullText 1
inHoldings 1
isFullTextHit
isPrint
ispartofPNX 현대정치연구, 2020, 13(1), 28, pp.5-39
link http://utb.summon.serialssolutions.com/2.0.0/link/0/eLvHCXMwnV1Lb9NAELbacoALAgGiPCoLsSfk4vi5e7SdVAWJcilSb5YfCaoqJahqLxwQLSmXXorUqIUmohUcOBSRAkUgtX8o2Zz4A8ys7cR9SEAviTW7--3sjNczs9qdlaS7oV2JNM0uK6oJb7ARxJoS6CFVgjiACLcSq0YsdltMWZNPjIcz5szQ8O_crqXFhXA8en7quZKzaBVooFc8Jfsfmu2DAgGeQb_wCxqG33_SMSm5xJkgrkdKHnF08VAkjBFm3EMSKxLXECSXUCTBk0kY1HKIaxKnKGo5KlIBirrEZaJMI25RAEyAp5kiMZrHhNqApKbtaUGUuSpxqKjkQllS3UZq2p8nSNTAJkgqZGU6FmNtM-vYTgCgGw16Rs6pjrsyUoqX59xDJGAHkTKKk2Af4dwBuWRDoIjkWshMwhIrpkU0kZ0DJDF0kIojBAxyQwG7iM28vFcvBEsFFrDnCT7z3DExhOPCyN71nFShkS1aCzxgUqPZTqlZZbKWLdukqzSamtvcg_MqG4qXE0WfoUT3LO1eSPcsXIs-QG5ezpyBs6ngDQKJtRc0zD6kQBhuHrGB-om5nhg0M-cZJVmnjttcEwJoA41uhOlfNRUzBxf08cK4OXAx-hs_px4XS7iGhm7zsHROg9gO71t59KKUXwMAszMwEhaehR74vIZh65SKe0b7o0uyiQlG7p9kA7zG6jw4m-eri3hjBnx2cx7k9CXpYhr6yU4yjy9LQ3O1K9Lr7pcD_uGg93Zd5q3vva263Gs0O_ufZb7d6K7-6nw95O-XeGsTS7sra3x7SebtT3xrTeYb7c7-rszr2529dufbPm8c8o01ubu82Xv1srvcRAS-t9JpN_hOWyC8W-etn90fdV5v8VZd5h_f8NVd3jzo7jSvStMTpWlvUknvRlGqlmErdiHU1LIGvr5dsQqFSmBajMZUtcp2FGomBD16GEWGbgSYdUDVK6rNYmZCbKSVaQgx2DVppFqrlq9LclCJ8RQ1tbTQNiKqBwy-2FZZjyDWiCG6G5XugPj8uWjWx1T0-P-05s_N-xBwP_CpwXBX5qg01peu_yzJk-PnlX3jbxVuShcG8-aWNLIwv1i-Df7-Qjgm3o8_wVfXfA
linkProvider ISSN International Centre
openUrl ctx_ver=Z39.88-2004&ctx_enc=info%3Aofi%2Fenc%3AUTF-8&rfr_id=info%3Asid%2Fsummon.serialssolutions.com&rft_val_fmt=info%3Aofi%2Ffmt%3Akev%3Amtx%3Ajournal&rft.genre=article&rft.atitle=%EB%AF%BC%EC%A3%BC%ED%99%94+%EC%9D%B4%ED%9B%84+%ED%95%9C%EA%B5%AD+%EC%A0%95%EB%8B%B9%EA%B2%BD%EC%9F%81%EC%9D%98+%EC%9D%B4%EB%85%90%EC%A0%81+%EC%B0%A8%EC%9B%90+%EC%97%B0%EA%B5%AC+%EC%84%A0%EA%B1%B0%EA%B3%B5%EC%95%BD%EC%97%90+%EB%82%98%ED%83%80%EB%82%9C+%EC%A0%95%EC%B1%85%EA%B0%95%EC%A1%B0%EC%9D%98+%EC%9A%94%EC%9D%B8%EB%B6%84%EC%84%9D%EC%9D%84+%EC%A4%91%EC%8B%AC%EC%9C%BC%EB%A1%9C&rft.jtitle=%ED%98%84%EB%8C%80%EC%A0%95%EC%B9%98%EC%97%B0%EA%B5%AC&rft.au=%EC%9D%B4%EC%A7%80%ED%98%B8%28Lee%2C+Ji-Ho%29&rft.date=2020-04-01&rft.pub=%EC%84%9C%EA%B0%95%EB%8C%80%ED%95%99%EA%B5%90+%ED%98%84%EB%8C%80%EC%A0%95%EC%B9%98%EC%97%B0%EA%B5%AC%EC%86%8C&rft.issn=1976-9466&rft.eissn=2635-6015&rft.volume=13&rft.issue=1&rft.spage=5&rft.epage=39&rft_id=info:doi/10.52594%2Fjcp.2020.04.13.1.5&rft.externalDocID=NODE09331727
thumbnail_l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lc.gif&issn=1976-9466&client=summon
thumbnail_m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mc.gif&issn=1976-9466&client=summon
thumbnail_s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sc.gif&issn=1976-9466&client=summ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