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지의 종적 Bracket 골단에 대한 수술적 치료

목적: 종적 bracket 골단으로 인한 측만지 변형에서 교정절골술, 골단판 유리술의 수술적 치료를 시행한 환자에서 임상적 및 방사선적 결과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9년 3월부터 2017년 4월까지 측만지를 주소로 내원하여 종적 bracket 골단을 확인하고 교정절골술 및 골단판유리술의 수술을 시행한 환아 11명(27예)을 대상으로 의무기록 및 방사선 사진을 통해 수술 전후의 근위 및 원위 지간 관절의 관절 운동 범위와 환자의 외관적, 기능적 만족도, 이환된 수지의 편위된 정도를 평가하여 환자군을 교정절골술을 시...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The journal of the Korean Orthopaedic Association Vol. 55; no. 2; pp. 154 - 161
Main Authors 김성수(Sung Soo Kim), 김기웅(Ki Woong Kim), 김정호(Jung Ho Kim), 이찬수(Chan Soo Lee)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대한정형외과학회 01.04.2020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226-2102
2005-8918
DOI10.4055/jkoa.2020.55.2.154

Cover

Abstract 목적: 종적 bracket 골단으로 인한 측만지 변형에서 교정절골술, 골단판 유리술의 수술적 치료를 시행한 환자에서 임상적 및 방사선적 결과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9년 3월부터 2017년 4월까지 측만지를 주소로 내원하여 종적 bracket 골단을 확인하고 교정절골술 및 골단판유리술의 수술을 시행한 환아 11명(27예)을 대상으로 의무기록 및 방사선 사진을 통해 수술 전후의 근위 및 원위 지간 관절의 관절 운동 범위와 환자의 외관적, 기능적 만족도, 이환된 수지의 편위된 정도를 평가하여 환자군을 교정절골술을 시행한 군과 골단판 유리술을 시행한 군으로 나누어 임상적 및 방사선적 결과를 후향적으로 검토하여 수술 방법에 따른 차이를 비교하였다. 결과: 수술 방법에 따라 교정절골술을 시행한 환자군의 수술을 시행한 평균연령은 10.3세였으며 수술 전 이환된 수지의 편위각은평균 25.7도에서 수술 후 13.5도로 평균 교정률은 47.4%였다. 골단판 유리술을 시행한 환자군의 수술을 시행한 평균 연령은 6.0 세였으며 수술 전 평균 24.5도, 수술 후 10.7도의 평균 편위각을 보였다. 평균 교정률은 59.4%였다. 교정절골술을 시행한 군과 골단판 유리술을 시행한 군 간의 수술 전후 및 교정 각도에 대해 비교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각각의 환자군에서 교정 정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호전 정도를 보였다. 근위 및 원위 지간 관절의 술 후 최종 추시 시 관절 운동 범위는 수술 전 관절 운동 범위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기능적, 외관적 만족도에서도 만족하는 경향을 보였다. 결론: 종적 bracket 골단으로 인한 측만지 변형을 보이는 환자에서 절대연령 및 골연령, 방사선적 진행 단계에 따라 교정절골술이나 골단판 유리술을 선택적으로 시행할 수 있으며 두 수술 방법 모두 양호한 임상적 결과와 변형 교정을 보였다. Purpose: To describe the clinical and radiology results of a surgical treatment for clinodactyly due to a longitudinal epiphyseal bracket. Materials and Methods: This study analyzed the records of 11 patients (27 case) with clinodactyly due to a longitudinal epiphyseal bracket who underwent an osteotomy or physiolysis between March 1999 and April 2017. The preoperative range of motion of the proximal and distal interphalangeal joints, the subjective satisfaction of the patient, and the degree of angulation to the ulnar side were examined. The patients were classified into two groups: osteotomy and physiolysis. The results were reviewed retrospectively and compared according to the surgical method. Results: The mean age of the patients who underwent osteotomy was 10.3 years. The average preoperative angle was 25.7° and the average postoperative angle was 13.5° the mean correction rate was 47.4%. The mean age of the patients who underwent physiolysis was 6.0 years the mean preoperative angle was 24.5° and the postoperative angle was 10.7°. The average correction rate was 59.4%.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correction angles was observed between the group who underwent the correction osteotomy and the group who underwent the osteotomy. In each group, the postoperative correction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range of motion at the last follow-up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e preoperative range of motion. Conclusion: In patients with clinodactyly due to longitudinal epiphyseal bracket, osteotomy or physiolysis may be performed selectively according to age, bone age, and radiological progression. Both surgical methods showed good clinical results and deformity correction. KCI Citation Count: 0
AbstractList 목적: 종적 bracket 골단으로 인한 측만지 변형에서 교정절골술, 골단판 유리술의 수술적 치료를 시행한 환자에서 임상적 및 방사선적 결과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9년 3월부터 2017년 4월까지 측만지를 주소로 내원하여 종적 bracket 골단을 확인하고 교정절골술 및 골단판유리술의 수술을 시행한 환아 11명(27예)을 대상으로 의무기록 및 방사선 사진을 통해 수술 전후의 근위 및 원위 지간 관절의 관절 운동 범위와 환자의 외관적, 기능적 만족도, 이환된 수지의 편위된 정도를 평가하여 환자군을 교정절골술을 시행한 군과 골단판 유리술을 시행한 군으로 나누어 임상적 및 방사선적 결과를 후향적으로 검토하여 수술 방법에 따른 차이를 비교하였다. 결과: 수술 방법에 따라 교정절골술을 시행한 환자군의 수술을 시행한 평균연령은 10.3세였으며 수술 전 이환된 수지의 편위각은평균 25.7도에서 수술 후 13.5도로 평균 교정률은 47.4%였다. 골단판 유리술을 시행한 환자군의 수술을 시행한 평균 연령은 6.0 세였으며 수술 전 평균 24.5도, 수술 후 10.7도의 평균 편위각을 보였다. 평균 교정률은 59.4%였다. 교정절골술을 시행한 군과 골단판 유리술을 시행한 군 간의 수술 전후 및 교정 각도에 대해 비교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각각의 환자군에서 교정 정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호전 정도를 보였다. 근위 및 원위 지간 관절의 술 후 최종 추시 시 관절 운동 범위는 수술 전 관절 운동 범위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기능적, 외관적 만족도에서도 만족하는 경향을 보였다. 결론: 종적 bracket 골단으로 인한 측만지 변형을 보이는 환자에서 절대연령 및 골연령, 방사선적 진행 단계에 따라 교정절골술이나 골단판 유리술을 선택적으로 시행할 수 있으며 두 수술 방법 모두 양호한 임상적 결과와 변형 교정을 보였다. Purpose: To describe the clinical and radiology results of a surgical treatment for clinodactyly due to a longitudinal epiphyseal bracket. Materials and Methods: This study analyzed the records of 11 patients (27 case) with clinodactyly due to a longitudinal epiphyseal bracket who underwent an osteotomy or physiolysis between March 1999 and April 2017. The preoperative range of motion of the proximal and distal interphalangeal joints, the subjective satisfaction of the patient, and the degree of angulation to the ulnar side were examined. The patients were classified into two groups: osteotomy and physiolysis. The results were reviewed retrospectively and compared according to the surgical method. Results: The mean age of the patients who underwent osteotomy was 10.3 years. The average preoperative angle was 25.7° and the average postoperative angle was 13.5° the mean correction rate was 47.4%. The mean age of the patients who underwent physiolysis was 6.0 years the mean preoperative angle was 24.5° and the postoperative angle was 10.7°. The average correction rate was 59.4%.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correction angles was observed between the group who underwent the correction osteotomy and the group who underwent the osteotomy. In each group, the postoperative correction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range of motion at the last follow-up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e preoperative range of motion. Conclusion: In patients with clinodactyly due to longitudinal epiphyseal bracket, osteotomy or physiolysis may be performed selectively according to age, bone age, and radiological progression. Both surgical methods showed good clinical results and deformity correction. KCI Citation Count: 0
Author 김정호(Jung Ho Kim)
김기웅(Ki Woong Kim)
이찬수(Chan Soo Lee)
김성수(Sung Soo Kim)
Author_xml – sequence: 1
  fullname: 김성수(Sung Soo Kim)
– sequence: 2
  fullname: 김기웅(Ki Woong Kim)
– sequence: 3
  fullname: 김정호(Jung Ho Kim)
– sequence: 4
  fullname: 이찬수(Chan Soo Lee)
BackLink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580477$$DAccess content in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NRF)
BookMark eNotzL1OAkEYheGJ0UREbsBqGwuLXWe--bdDRCUhkhj6ybA_Zl3dNYsWdliYkEhhY6TQhGghvZW3JOM9CEr1nuLJ2UCreZHHCG0RHDDM-e55VtgAMOCA8wACwtkKqgDG3FeaqFVUIQDCB4JhHdX6_bSHMSFMaSwqaM8Nx-5j4F7Hnnu7d5M7b7-0YRZfe9-f09nD1D0_erPR4OfpxVvI4WRB3Nd49j7aRGuJvejHtWWrqHvY7DaO_XbnqNWot_1cMOHTnu5JQUFFERApCdc8kQokSJGICJSILeVEJKHWCVjKIohxGCmsNKMCpKVVtPN_m5eJycLUFDb961lhstLUT7stoxgFhtncbi_tTZlexlFqzdV82PLWnHQOmlhTkFII-gvB62aD
ContentType Journal Article
DBID DBRKI
TDB
ACYCR
DOI 10.4055/jkoa.2020.55.2.154
DatabaseName DBPIA - 디비피아
Nurimedia DBPIA Journals
Korean Citation Index
DatabaseTitleList
DeliveryMethod fulltext_linktorsrc
DocumentTitleAlternate Surgical Treatment for Longitudinal Epiphyseal Bracket of the Finger
DocumentTitle_FL Surgical Treatment for Longitudinal Epiphyseal Bracket of the Finger
EISSN 2005-8918
EndPage 161
ExternalDocumentID oai_kci_go_kr_ARTI_8432404
NODE09327766
GroupedDBID 5-W
8JR
8XY
ALMA_UNASSIGNED_HOLDINGS
DBRKI
TDB
ABDBF
ACYCR
ID FETCH-LOGICAL-n646-3b9b76328dd21771595f7827276f6d286ea3516fc99f2a34d2e0cd808943627a3
ISSN 1226-2102
IngestDate Wed Feb 26 08:57:58 EST 2025
Thu Mar 13 19:39:15 EDT 2025
IsPeerReviewed true
IsScholarly true
Issue 2
Keywords clinodactyly
osteotomy
측만지
교정절골술
Bracket 골단
bracket epiphysis
physiolysis
골단판 유리술
Language Korean
LinkModel OpenURL
MergedId FETCHMERGED-LOGICAL-n646-3b9b76328dd21771595f7827276f6d286ea3516fc99f2a34d2e0cd808943627a3
PageCount 8
ParticipantIDs nrf_kci_oai_kci_go_kr_ARTI_8432404
nurimedia_primary_NODE09327766
PublicationCentury 2000
PublicationDate 2020-04
PublicationDateYYYYMMDD 2020-04-01
PublicationDate_xml – month: 04
  year: 2020
  text: 2020-04
PublicationDecade 2020
PublicationTitle The journal of the Korean Orthopaedic Association
PublicationYear 2020
Publisher 대한정형외과학회
Publisher_xml – name: 대한정형외과학회
SSID ssib001148906
ssj0064408
ssib051945705
Score 2.0982344
Snippet 목적: 종적 bracket 골단으로 인한 측만지 변형에서 교정절골술, 골단판 유리술의 수술적 치료를 시행한 환자에서 임상적 및 방사선적 결과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9년 3월부터 2017년 4월까지 측만지를 주소로 내원하여 종적 bracket 골단을 확인하고...
SourceID nrf
nurimedia
SourceType Open Website
Publisher
StartPage 154
SubjectTerms 정형외과학
Title 수지의 종적 Bracket 골단에 대한 수술적 치료
URI https://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nodeId=NODE09327766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580477
Volume 55
hasFullText 1
inHoldings 1
isFullTextHit
isPrint
ispartofPNX 대한정형외과학회지, 2020, 55(2), , pp.154-161
link http://utb.summon.serialssolutions.com/2.0.0/link/0/eLvHCXMwnV27b9NAGD-1ZYAFgQBRHpWFuClycOyz747NdoMKiHYJolvkV3hESlCULExlQKpEBxZEBpAqGOjOxL9EzP_A785O6jyQCov16R6fv8fZ9_vsu-8IuctSzpIsYerXYGQyJmNT8iwzZcKFZLEjO3oRzZNdb-cpe7Tv7q-tNyurlkbDuJ68Wbmv5H-8ijL4Ve2S_QfPzpiiADT8iys8jOuZfEybIRWCSqEIn6tVCyDkNkpqusimwtWEBcQIP0Z4Zoeo8mngUB_dAioCTaAbp9Kq6aJQcwIbl8qwNncXEL51ylJRgdR14OOgaxXtqjFYSU2hMO7j_kB9-98bDF8gXFd_iZZGCNyvJZSlPoLRoDETYkUTEIIGhe6Q3l3JBfJCHaUU2la4aHsFTCtiUT-cv1H5PcS2Ksto1AheNtPiPaQ2vJRKtsLeQThtLDXhT61VzAlAqKaKjIspU5fpBK5CllNH8e5vFNmwSxjRKHLML85QwMcqmcerbl8lvbKtuuvW7fqsazUd-MI0PZcQvJu8bD_vt7uDNsKeh22h8yqydXLO5lyvVnDNZ6eoGCFvJak_MDtzuTWLEj116Lj6LjHVs9hbpiS9tywnMFhvAOh2vjdS50_gJVbBY61L5GIZSBl-8VRcJmvd_hVyPz8c598P8i9jI__6Lj9-a5Rj3vj142Ty_iT_9MGYHB38_vjZUC0Pj1WT_Od48u3oKmk9aLbCHbM8HcTsecwznVjGmBttkaaIqjlQudsB2gUc9zpeagsvixy34XUSKTt25LDUzqwkFZY6b8CzeeRcIxu9fi-7Tgyeojpz0oQngsUxl2lsRXjD2q5MUwT0m-QOVNY2_7vtN8nWzCLt10WmmPbu3nbTQoTEuefdOAuXm-SCHlp6EeMtsjEcjLLbQL3DeEv79A-EFIpm
linkProvider Korean Association of Medical Journal Editors
openUrl ctx_ver=Z39.88-2004&ctx_enc=info%3Aofi%2Fenc%3AUTF-8&rfr_id=info%3Asid%2Fsummon.serialssolutions.com&rft_val_fmt=info%3Aofi%2Ffmt%3Akev%3Amtx%3Ajournal&rft.genre=article&rft.atitle=%EC%88%98%EC%A7%80%EC%9D%98+%EC%A2%85%EC%A0%81+Bracket+%EA%B3%A8%EB%8B%A8%EC%97%90+%EB%8C%80%ED%95%9C+%EC%88%98%EC%88%A0%EC%A0%81+%EC%B9%98%EB%A3%8C&rft.jtitle=The+journal+of+the+Korean+Orthopaedic+Association&rft.au=%EA%B9%80%EC%84%B1%EC%88%98&rft.au=%EA%B9%80%EA%B8%B0%EC%9B%85&rft.au=%EA%B9%80%EC%A0%95%ED%98%B8&rft.au=%EC%9D%B4%EC%B0%AC%EC%88%98&rft.date=2020-04-01&rft.pub=%EB%8C%80%ED%95%9C%EC%A0%95%ED%98%95%EC%99%B8%EA%B3%BC%ED%95%99%ED%9A%8C&rft.issn=1226-2102&rft.eissn=2005-8918&rft.spage=154&rft.epage=161&rft_id=info:doi/10.4055%2Fjkoa.2020.55.2.154&rft.externalDBID=n%2Fa&rft.externalDocID=oai_kci_go_kr_ARTI_8432404
thumbnail_l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lc.gif&issn=1226-2102&client=summon
thumbnail_m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mc.gif&issn=1226-2102&client=summon
thumbnail_s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sc.gif&issn=1226-2102&client=summ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