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시형태가 통행행태에 미치는 영향 메타분석
본 연구는 우리나라에서 2000년도부터2021년 5월까지 발표된 논문들을 대상으로 공간구조가 통행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정량 분석 논문들을 통합적으로 분석하는 메타분석을 실시하여 영향의 크기 및 방향을 규명하고자 한다. 메타분석은 다수의 독립적인 연구결과를 일반화, 종합하여 제시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사회과학분야(서미옥, 2011), 의학분야(강현, 2015), 도시계획 분야(Ewing and Cervero, 2010; Salon et al., 2012) 등 다양한 학문 분야에서 널리 활용되고 있는 방법론이다. 본 연구에서는...
Saved in:
Published in | 국토계획 Vol. 56; no. 7; pp. 103 - 114 |
---|---|
Main Author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01.12.2021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1226-7147 2383-9171 |
DOI | 10.17208/jkpa.2021.12.56.7.103 |
Cover
Summary: | 본 연구는 우리나라에서 2000년도부터2021년 5월까지 발표된 논문들을 대상으로 공간구조가 통행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정량 분석 논문들을 통합적으로 분석하는 메타분석을 실시하여 영향의 크기 및 방향을 규명하고자 한다. 메타분석은 다수의 독립적인 연구결과를 일반화, 종합하여 제시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사회과학분야(서미옥, 2011), 의학분야(강현, 2015), 도시계획 분야(Ewing and Cervero, 2010; Salon et al., 2012) 등 다양한 학문 분야에서 널리 활용되고 있는 방법론이다. 본 연구에서는 Ewing and Cervero(2010)의 연구방법론을 차용하여 도시형태 특성이 통행에 미치는 영향 크기 비교를 위해 탄력성을 공통지표로 사용하였으며, 탄력성 도출이 가능한 연구 방법및 데이터가 제시된 논문들을 수집하고 분석하여 도시형태가 통행에 미치는 영향을 종합적으로 검토하였다. Spatial planning is a powerful policy tool for reducing greenhouse gas emissions since the urban form affects travel behaviors. However, despite large numbers of previous studies on the effects of urban form characteristics on travel in Korea, the directions and magnitudes of the effects have been inconsistent. Against this backdrop, this study presents a meta-analysis to comprehensively synthesize results from previous research published in Korea from 2000 to May 2021 and determines the magnitude and direction of impact. Academic papers were collected for the analyses by combining the keywords “city,” “form,” “pass,” “density,” and “traffic energy” using the Research Information Sharing Services website (www.riss.kr). Following a three-step screening process, twenty-four papers were finally selected and analyzed. The analysis results indicate that the impact direction of urban form characteristics, such as density, diversity, public transport accessibility, and intersection density, generally agree with the observations in previous literature. However, in terms of the impact size, population density has the most significant effects on private cars, public transportation, and non-motorized travel in Korea. These results necessitate an urgent preemptive response in spatial planning to induce compact growth, especially in non-capital regions where the population is declining rapidly. KCI Citation Count: 1 |
---|---|
ISSN: | 1226-7147 2383-9171 |
DOI: | 10.17208/jkpa.2021.12.56.7.1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