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아귀리의 싹 길이별 항산화 활성 및 기능성분
본 연구는 국내에서 육종된 쌀귀리 품종 중 하나인 대양을 시료로 하였다. 발아시킨 후 싹 길이별로 얻은 발아귀리의 일반성분, 총 식이섬유, 색도와 총 폴리페놀 및 총 플라보노이드, 총 베타글루칸, 아베난쓰라마이드 함량을 분석하였고, 항산화 활성을 알아보기 위해 DPPH 라디칼, ABTS 라디칼 소거 활성을 측정하였다. 색도 측정 결과는 L값(71.71~ 73.42) 및 b값(14.03~15.57)이 싹 길이가 증가할수록 높아지는 경향이었다. 총 폴리페놀 및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싹 길이 1 mm 처리구가 가장 높게 나타났고, 발아...
Saved in:
Published in | Han'guk Sikp'um Yŏngyang Kwahakhoe chi Vol. 48; no. 12; pp. 1337 - 1344 |
---|---|
Main Authors | ,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한국식품영양과학회
01.12.2019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1226-3311 2288-5978 |
DOI | 10.3746/jkfn.2019.48.12.1337 |
Cover
Summary: | 본 연구는 국내에서 육종된 쌀귀리 품종 중 하나인 대양을 시료로 하였다. 발아시킨 후 싹 길이별로 얻은 발아귀리의 일반성분, 총 식이섬유, 색도와 총 폴리페놀 및 총 플라보노이드, 총 베타글루칸, 아베난쓰라마이드 함량을 분석하였고, 항산화 활성을 알아보기 위해 DPPH 라디칼, ABTS 라디칼 소거 활성을 측정하였다. 색도 측정 결과는 L값(71.71~ 73.42) 및 b값(14.03~15.57)이 싹 길이가 증가할수록 높아지는 경향이었다. 총 폴리페놀 및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싹 길이 1 mm 처리구가 가장 높게 나타났고, 발아가 진행되면서 함량이 증가하다가 싹 길이 5 mm부터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싹 길이 1 mm, 5 mm 처리구에서 DPPH 라디칼과 ABTS 라디칼 소거 활성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고, 발아가 더 진행되면서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총 베타글루칸 함량의 경우 싹 길이 1 mm(4.83%)까지는 발아가 진행되면서 베타글루칸 함량이 높게 나타났으나 싹 5 mm(4.28%)부터는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아베난쓰라마이드 중에서 아베난쓰라마이드 C는 싹 길이 1 mm가 158.63 µg/g으로 함량이 가장 높았으며, 싹 길이 10 mm 이상 처리구는 126.49 µg/g으로 가장 낮았다. 전반적으로 발아한 귀리가 발아 전 귀리보다 항산화 활성 및 항산화 성분 함량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발아 시 적당한 싹 길이를 포함한 귀리를 식품산업 소재 및 기초연구자료로 널리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After germinating oats, the antioxidant activity and functional components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length of the sprout. The samples were divided into six types: Non-germinated oats (NGO), germination for 1 hour (GO1), sprout 1 mm (GO2), sprout 5 mm (GO3), sprout 10 mm (GO4), and more than 10 mm (GO5). The color values tended to increase as the sprouts grew longer. The lightness (71.71 to 73.42) and yellowness (14.03 to 15.57) increased. The total polyphenol content ranged from 1.10 to 1.49 mg/g, and GO2 showed the highest content of 1.49 mg/g. The flavonoid content ranged from 0.99 to 1.91 mg/g, with GO2 being the highest at 1.91 mg/g. The 2,2-diphenyl-1-picrylhydrazyl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and 2,2’-azino-bis(3-ethylbenzothiazoline-6-sulfonic acid)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ranged from 0.55 to 0.2 mg AA eq/g and 0.68 to 0.86 mg AA eq/g, respectively. The total β-glucan content of the germinated oat was in the range of 3.06 to 4.83%. GO2 was significant and highest at 4.83%, and GO5 showed the lowest content of 3.06%. The content of avenanthramides was in the range of 275.79 to 309.20 µg/g, and as the germination progressed and the length of the sprout became longer, the content tended to increase except for GO5. These results provide basic research data on the appropriate sprout length of high antioxidant activity and functional components. KCI Citation Count: 7 |
---|---|
ISSN: | 1226-3311 2288-5978 |
DOI: | 10.3746/jkfn.2019.48.12.133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