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승희 시에 나타난 여성주체의 자각과 여성적 글쓰기
본고는 김승희 시에 나타난 여성주체의 자각과 여성적 글쓰기를 연구 목적으로 한다. 1980년대는 여성주체의 개념이 자리를 잡아가는 시기이면서5.18민주항쟁이나 신군부세력의 폭거 등 김승희 시인이 봉착한 시대적 상황과 맞물려 있다. 김승희가 여성으로서, 일상에서 체득한 억압적 지배구조의 부조리와 현실적 고뇌에 대해 거부 및 저항의 방식을 시를 통해 극명하고 실효성 있게 부각시키고 있다는 점이 주목된다. 따라서 김승희 시에 나타난 기존의 남성중심의 질서 속에서 타자에 불과했던 여성이 점차 주체성을 자각하고 이를 토대로 부조리한 현실과...
Saved in:
Published in | 열린정신 인문학 연구, 20(3) Vol. 20; no. 3; pp. 135 - 165 |
---|---|
Main Author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원광대학교 인문학연구소
01.12.2019
인문학연구소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1738-7701 2671-7018 |
DOI | 10.22845/wjoh.2019.20.3.005 |
Cover
Abstract | 본고는 김승희 시에 나타난 여성주체의 자각과 여성적 글쓰기를 연구 목적으로 한다. 1980년대는 여성주체의 개념이 자리를 잡아가는 시기이면서5.18민주항쟁이나 신군부세력의 폭거 등 김승희 시인이 봉착한 시대적 상황과 맞물려 있다. 김승희가 여성으로서, 일상에서 체득한 억압적 지배구조의 부조리와 현실적 고뇌에 대해 거부 및 저항의 방식을 시를 통해 극명하고 실효성 있게 부각시키고 있다는 점이 주목된다. 따라서 김승희 시에 나타난 기존의 남성중심의 질서 속에서 타자에 불과했던 여성이 점차 주체성을 자각하고 이를 토대로 부조리한 현실과 억압체계를 극복하고 승화시켜 나가는 일련의 과정을 여성적 글쓰기의 관점에서 살펴보았다. 본고의 텍스트는 김승희 시인의 전반기에 해당하는 1980년대에 출간한 3권의 시집왼손을 위한 협주곡 , 미완성을 위한 연가 와 달걀 속의 생 으로 한정하여 분석하였다.
2장에서는 인간 내면에 잠재된 광기와 폭력성에 대해 다루었는데, 부조리한 현실 속에서 소외되고 고통 받는 타자에 주목하였다. 특히 김승희는여성타자들의 목소리를 대변하여 자기 내면의 어두운 측면들을 광적이고폭력적인 언어로 거침없이 표출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김승희 시에서 자신의 주체성을 상실한 채 반복되는 일상에 함몰되어 살아가던 여성타자들이 현실을 직시하고 각성하는 모습을 드러내었다. 시를 통해서 남성중심주의 사회에서 억압받는 여성성의 저항을 이끌어내기 위한 노력의 필요성도 밀도 있게 그려내고 있음을 발견할 수 있다.
3장에서는 완전하고 완고한 틀, 즉 알은 여성성을 파괴하고 존재의 의미를 무너뜨리는 나쁜 시스템으로 작동하고 있음을 선명하게 드러내었다. 따라서 여성타자가 진정한 주체적 삶을 영위하기 위해서는 자유의지를 억압하는 알을 깨고 나오는 혹독한 시련을 감수해야 한다는 것을 역설한다. 더불어 그 여성주체가 자기실현을 성취해 나가는 일종의 절차로서 여성적 글쓰기의 필요성과 의미들을 살펴보았다. 김승희는 시에서 여성적 글쓰기를통해 어머니와의 연대감을 이끌어내고 있으며, 여성적 글쓰기가 고통 받는타자이면서 억압받고 소외된 여성주체가 스스로 경험한 몸의 기억들을 반추하며, 자기구원에 이르도록 이끄는 역할을 한다는 점을 강조한다.
이 논문은 여성 타자가 주체성을 획득함으로써 진정한 자유를 얻기까지의 과정을 여성주의적 입장에서 분석하였다. 김승희는 자신의 내면에 내재된 폭력적인 모습과 광적이고 어두운 면마저 긍정하며 극복하고자 노력한시인이다. 또한 남성중심주의의 권력과 체제 논리에 따라 여성타자에게 강요된 희생을 신랄하게 비판하며, 그러한 부조리에 어떻게 저항하고 뚫고나갈까에 대해 깊이 고민한다. 아울러 자신의 직접 체험을 토대로 여성적글쓰기에 정당성을 부여함은 물론, 주제의 선명성과 진정성을 부각시킨 시인으로 평가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aims to study the perception of female subjects and feminine writing in Kim Seung-hee's poetry. The 1980s is a time when the concept of female subjects takes over, and coincides with the period faced by poet Kim Seung-hee, such as the May 18 Democratic Uprising and the bombing of new military forces.
It is noted that Kim Seung-hee, as a woman, is highlighting the way she rejects and protests against the irrationality of her everyday repressive governance and real distress in a stark and effective manner through poetry. Therefore, in the view of feminine writing, we looked at a series of processes in which a woman who was just a batter gradually realized her identity and overcame and sublimated irrational realities and oppression based on the existing male-centered order that appeared in Kim Seung-hee's poetry. In that respect the text of the original text was analyzed only in the first half of the 1980s by poet Kim Seung-hee's a collection of three volumes of poetry. "The Concerto for Left Hand," "The Love for the Unfinished" and "The Life in the Egg".
Chapter 2 dealt with the potential madness and violence within human beings, noting the batter who was left out and suffered in the absurd reality. Kim Seung-hee, in particular, spoke on behalf of female others, demonstrating the dark side of her inner self in a frenetic and violent language. Also, Kim Seung-hee's poem shows female others who have lost their self-reliance and have been immersed in their daily lives were also shown to be aware of the reality. Poetry has also shown a dense picture of the need for efforts to elicit resistance from the oppressed femininity in a male-centered society.
Chapter 3 clearly revealed that a complete and stubborn framework, or Egg, was working as a bad system that destroyed femininity and destroyed the meaning of existence. Therefore, he stresses that a female others has to endure the harsh ordeal of breaking eggs that suppress his free will in order to lead a truly self-reliant life. It also looked at the need and implications of feminine writing as a procedure for the female subject to complete self-realization. Kim Seung-hee confirmed that the poem elicits solidarity with her mother through feminine writing, and that feminine writing plays a role in leading the female subject to self-help, reflecting on the memories of her self-experienced body as a suffering batter, oppressed and neglected woman.
This paper analyzed the process of female typing from a feminist standpoint to a real freedom by acquiring identity. Kim Seung-hee is a poet who has tried to overcome his inner self, affirming even the violent side and the frenzied and dark side. It also harshly criticizes the sacrifices imposed on female others in accordance with the logic of male-centered power and system, and deeply agonizes over how to resist and break through such absurdities. In addition, he can be judged as a poet who not only justifies female writing based on his own experience, but also emphasizes the clarity and sincerity of the subject. KCI Citation Count: 0 |
---|---|
AbstractList | 본고는 김승희 시에 나타난 여성주체의 자각과 여성적 글쓰기를 연구 목적으로 한다. 1980년대는 여성주체의 개념이 자리를 잡아가는 시기이면서5.18민주항쟁이나 신군부세력의 폭거 등 김승희 시인이 봉착한 시대적 상황과 맞물려 있다. 김승희가 여성으로서, 일상에서 체득한 억압적 지배구조의 부조리와 현실적 고뇌에 대해 거부 및 저항의 방식을 시를 통해 극명하고 실효성 있게 부각시키고 있다는 점이 주목된다. 따라서 김승희 시에 나타난 기존의 남성중심의 질서 속에서 타자에 불과했던 여성이 점차 주체성을 자각하고 이를 토대로 부조리한 현실과 억압체계를 극복하고 승화시켜 나가는 일련의 과정을 여성적 글쓰기의 관점에서 살펴보았다. 본고의 텍스트는 김승희 시인의 전반기에 해당하는 1980년대에 출간한 3권의 시집왼손을 위한 협주곡 , 미완성을 위한 연가 와 달걀 속의 생 으로 한정하여 분석하였다.
2장에서는 인간 내면에 잠재된 광기와 폭력성에 대해 다루었는데, 부조리한 현실 속에서 소외되고 고통 받는 타자에 주목하였다. 특히 김승희는여성타자들의 목소리를 대변하여 자기 내면의 어두운 측면들을 광적이고폭력적인 언어로 거침없이 표출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김승희 시에서 자신의 주체성을 상실한 채 반복되는 일상에 함몰되어 살아가던 여성타자들이 현실을 직시하고 각성하는 모습을 드러내었다. 시를 통해서 남성중심주의 사회에서 억압받는 여성성의 저항을 이끌어내기 위한 노력의 필요성도 밀도 있게 그려내고 있음을 발견할 수 있다.
3장에서는 완전하고 완고한 틀, 즉 알은 여성성을 파괴하고 존재의 의미를 무너뜨리는 나쁜 시스템으로 작동하고 있음을 선명하게 드러내었다. 따라서 여성타자가 진정한 주체적 삶을 영위하기 위해서는 자유의지를 억압하는 알을 깨고 나오는 혹독한 시련을 감수해야 한다는 것을 역설한다. 더불어 그 여성주체가 자기실현을 성취해 나가는 일종의 절차로서 여성적 글쓰기의 필요성과 의미들을 살펴보았다. 김승희는 시에서 여성적 글쓰기를통해 어머니와의 연대감을 이끌어내고 있으며, 여성적 글쓰기가 고통 받는타자이면서 억압받고 소외된 여성주체가 스스로 경험한 몸의 기억들을 반추하며, 자기구원에 이르도록 이끄는 역할을 한다는 점을 강조한다.
이 논문은 여성 타자가 주체성을 획득함으로써 진정한 자유를 얻기까지의 과정을 여성주의적 입장에서 분석하였다. 김승희는 자신의 내면에 내재된 폭력적인 모습과 광적이고 어두운 면마저 긍정하며 극복하고자 노력한시인이다. 또한 남성중심주의의 권력과 체제 논리에 따라 여성타자에게 강요된 희생을 신랄하게 비판하며, 그러한 부조리에 어떻게 저항하고 뚫고나갈까에 대해 깊이 고민한다. 아울러 자신의 직접 체험을 토대로 여성적글쓰기에 정당성을 부여함은 물론, 주제의 선명성과 진정성을 부각시킨 시인으로 평가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aims to study the perception of female subjects and feminine writing in Kim Seung-hee's poetry. The 1980s is a time when the concept of female subjects takes over, and coincides with the period faced by poet Kim Seung-hee, such as the May 18 Democratic Uprising and the bombing of new military forces.
It is noted that Kim Seung-hee, as a woman, is highlighting the way she rejects and protests against the irrationality of her everyday repressive governance and real distress in a stark and effective manner through poetry. Therefore, in the view of feminine writing, we looked at a series of processes in which a woman who was just a batter gradually realized her identity and overcame and sublimated irrational realities and oppression based on the existing male-centered order that appeared in Kim Seung-hee's poetry. In that respect the text of the original text was analyzed only in the first half of the 1980s by poet Kim Seung-hee's a collection of three volumes of poetry. "The Concerto for Left Hand," "The Love for the Unfinished" and "The Life in the Egg".
Chapter 2 dealt with the potential madness and violence within human beings, noting the batter who was left out and suffered in the absurd reality. Kim Seung-hee, in particular, spoke on behalf of female others, demonstrating the dark side of her inner self in a frenetic and violent language. Also, Kim Seung-hee's poem shows female others who have lost their self-reliance and have been immersed in their daily lives were also shown to be aware of the reality. Poetry has also shown a dense picture of the need for efforts to elicit resistance from the oppressed femininity in a male-centered society.
Chapter 3 clearly revealed that a complete and stubborn framework, or Egg, was working as a bad system that destroyed femininity and destroyed the meaning of existence. Therefore, he stresses that a female others has to endure the harsh ordeal of breaking eggs that suppress his free will in order to lead a truly self-reliant life. It also looked at the need and implications of feminine writing as a procedure for the female subject to complete self-realization. Kim Seung-hee confirmed that the poem elicits solidarity with her mother through feminine writing, and that feminine writing plays a role in leading the female subject to self-help, reflecting on the memories of her self-experienced body as a suffering batter, oppressed and neglected woman.
This paper analyzed the process of female typing from a feminist standpoint to a real freedom by acquiring identity. Kim Seung-hee is a poet who has tried to overcome his inner self, affirming even the violent side and the frenzied and dark side. It also harshly criticizes the sacrifices imposed on female others in accordance with the logic of male-centered power and system, and deeply agonizes over how to resist and break through such absurdities. In addition, he can be judged as a poet who not only justifies female writing based on his own experience, but also emphasizes the clarity and sincerity of the subject. KCI Citation Count: 0 |
Author | 김영춘(Kim, Youngchoon) |
Author_xml | – sequence: 1 fullname: 김영춘(Kim, Youngchoon) |
BackLink |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549495$$DAccess content in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NRF) |
BookMark | eNo1jL1PwkAAxS8GExH5C1y6ODi03kev1xsJopAQSQx7c0d7WtHWlBjjBuikC4kDDGBMXBnwY4CEv6gc_4ONH8v7vZf38rZBLoqjAIBdBC2MXZse3F7E5xaGiGdiEQtCugHy2GHIZBC5OZBHjLgmy8IWKHY6oYSQMRdzjvOgmi66-nGxnkwN_TTWw4Gx6o_W991Vf2zo4VQ_vOu3pf740pORoV8G6ayXfi7_m9eekc67-nmWzmc7YFOJy05Q_GMBNI8qzXLVrDeOa-VS3Ywcm5jSJoiwwCbUl46CCmMEkdMKFJMMCdliEknoQyWZSzGhDuXCR1QxLLmAXCBSAPu_t1GivHYr9GIR_vAs9tqJVzpt1jyHQoIZzrZ7f9ubJLwK_FB415kRyZ130jisQI455IiQb_ncdO4 |
ContentType | Journal Article |
DBID | DBRKI TDB ACYCR |
DOI | 10.22845/wjoh.2019.20.3.005 |
DatabaseName | DBPIA - 디비피아 Nurimedia DBPIA Journals Korean Citation Index |
DatabaseTitleList | |
DeliveryMethod | fulltext_linktorsrc |
DocumentTitleAlternate | Perception and Feminine Writing of Female Subject in Kim Seung-Hee's Poetry |
DocumentTitle_FL | Perception and Feminine Writing of Female Subject in Kim Seung-Hee’s Poetry |
EISSN | 2671-7018 |
EndPage | 165 |
ExternalDocumentID | oai_kci_go_kr_ARTI_6503272 NODE09290913 |
GroupedDBID | ALMA_UNASSIGNED_HOLDINGS DBRKI M~E TDB ACYCR |
ID | FETCH-LOGICAL-n643-b43137e435db6f0f221016cef7b71abc7b1b0d0fb785235659ad15f72b9a09a13 |
ISSN | 1738-7701 |
IngestDate | Tue Nov 21 21:24:59 EST 2023 Thu Feb 06 13:27:09 EST 2025 |
IsPeerReviewed | false |
IsScholarly | false |
Issue | 3 |
Keywords | 남성중심주의 폭력 Kim Seung-hee egg madness 아프락사스 자유 광기 female other 알 motherhood oppression male-centeredness 여성타자 freedom 김승희 feminine writing 억압 여성적 글쓰기 여성주체 violence Afraxas 모성 female subject |
Language | Korean |
LinkModel | OpenURL |
MergedId | FETCHMERGED-LOGICAL-n643-b43137e435db6f0f221016cef7b71abc7b1b0d0fb785235659ad15f72b9a09a13 |
PageCount | 31 |
ParticipantIDs | nrf_kci_oai_kci_go_kr_ARTI_6503272 nurimedia_primary_NODE09290913 |
PublicationCentury | 2000 |
PublicationDate | 2019-12 |
PublicationDateYYYYMMDD | 2019-12-01 |
PublicationDate_xml | – month: 12 year: 2019 text: 2019-12 |
PublicationDecade | 2010 |
PublicationTitle | 열린정신 인문학 연구, 20(3) |
PublicationYear | 2019 |
Publisher | 원광대학교 인문학연구소 인문학연구소 |
Publisher_xml | – name: 원광대학교 인문학연구소 – name: 인문학연구소 |
SSID | ssib007782992 ssib030194531 ssib007783032 ssib044765186 |
Score | 1.7063737 |
Snippet | 본고는 김승희 시에 나타난 여성주체의 자각과 여성적 글쓰기를 연구 목적으로 한다. 1980년대는 여성주체의 개념이 자리를 잡아가는 시기이면서5.18민주항쟁이나 신군부세력의 폭거 등 김승희 시인이 봉착한 시대적 상황과 맞물려 있다. 김승희가 여성으로서, 일상에서 체득한 억압적 지배구조의... |
SourceID | nrf nurimedia |
SourceType | Open Website Publisher |
StartPage | 135 |
SubjectTerms | 기타인문학 |
Title | 김승희 시에 나타난 여성주체의 자각과 여성적 글쓰기 |
URI | https://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nodeId=NODE09290913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549495 |
Volume | 20 |
hasFullText | 1 |
inHoldings | 1 |
isFullTextHit | |
isPrint | |
ispartofPNX | 열린정신 인문학 연구, 2019, 20(3), 36, pp.135-165 |
link | http://utb.summon.serialssolutions.com/2.0.0/link/0/eLvHCXMwnV1Lb9QwELbacoALAgGiPKoI4dMqJXYeto_JblBBarksUk9E6-wGQaVdVLVC4oDawgkulTi0hxYhce2hPA6t1F-0Tf8D40k2GwoIyiU7mf08mXgU-3Nijwm5qwPJeoEX2FJLz_aU49iadbmddnUKhJllHDftm18I5h57Dxf9xYnJJ7VZS6srejZ99dt1Jf8TVdBBXM0q2TNEtjIKCpAhvnCECMPxn2JM45BGykxWiJtUohy3qGrRsNlAVURV0whKUOWAKqKSUyUNSrpYrtAUcECFCJcejZgRQpdGqIk4jTzEgH1ZoGOwiR44QEdRMOg_WTKgBqJk6bByTdFCEzl1llyaMFeMaBggDE0ov7yt0GmU3kBhA2qi0DIIpUblC-s-HeeX_KnGoCIkOhcFRuay3FoaW0CTnbQ_ek9SvhZh6tQUE7QSjerBo4phjTbxApUz6IM6o8d4owHYqnUbAroNIcrr91DHA8FsUMl6X8Od2jPl1joOViRtKTkIK_bPON29ceASJhXIy-cD8x2NmYVWsyZDrz_uzas5lguPWrED5Nckfp0k57gQOI1h_nVctbcC6KGqfVWHc2A01Tm0_crzx1-JPU8EPsPNU6sbLhJ5oWP3fnULCFt_GXje-f6q2awCWrwaeWtfIhfLUZcVFo_QZTKxNLhC5oaHa_m7w5PdPSt_v5NvbVrHG9snb9aON3asfGsvf_sl_3yUf_2e725b-cfN4f768NvR6J9P69bwYC3_sD882L9K2vfjdnPOLjcWsftAwG0NpNkVPRgomDWoTsa5eYWV9jKhBevoVGimna6TaSF97sKIR3W6zM8E16rjqA5zr5Gp_qDfu04s7fKMA7Lrd4HIu5nMvDQLZAbtH8B5Z5rcgQpIltJnicnjbn6fDpKl5QRGqw8SGB25XPBpMlPVT_KiSDKT1MN342-Am-TC-Bm4RaZWlld7t4Esr-gZjPgPqLKUug |
linkProvider | ISSN International Centre |
openUrl | ctx_ver=Z39.88-2004&ctx_enc=info%3Aofi%2Fenc%3AUTF-8&rfr_id=info%3Asid%2Fsummon.serialssolutions.com&rft_val_fmt=info%3Aofi%2Ffmt%3Akev%3Amtx%3Ajournal&rft.genre=article&rft.atitle=%EA%B9%80%EC%8A%B9%ED%9D%AC+%EC%8B%9C%EC%97%90+%EB%82%98%ED%83%80%EB%82%9C+%EC%97%AC%EC%84%B1%EC%A3%BC%EC%B2%B4%EC%9D%98+%EC%9E%90%EA%B0%81%EA%B3%BC+%EC%97%AC%EC%84%B1%EC%A0%81+%EA%B8%80%EC%93%B0%EA%B8%B0&rft.jtitle=%EC%97%B4%EB%A6%B0%EC%A0%95%EC%8B%A0+%EC%9D%B8%EB%AC%B8%ED%95%99%EC%97%B0%EA%B5%AC&rft.au=%EA%B9%80%EC%98%81%EC%B6%98%28Kim%2C+Youngchoon%29&rft.date=2019-12-01&rft.pub=%EC%9B%90%EA%B4%91%EB%8C%80%ED%95%99%EA%B5%90+%EC%9D%B8%EB%AC%B8%ED%95%99%EC%97%B0%EA%B5%AC%EC%86%8C&rft.issn=1738-7701&rft.eissn=2671-7018&rft.volume=20&rft.issue=3&rft.spage=135&rft.epage=165&rft_id=info:doi/10.22845%2Fwjoh.2019.20.3.005&rft.externalDocID=NODE09290913 |
thumbnail_l |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lc.gif&issn=1738-7701&client=summon |
thumbnail_m |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mc.gif&issn=1738-7701&client=summon |
thumbnail_s |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sc.gif&issn=1738-7701&client=summ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