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개열로 인한 구어 및 언어 장애의 국내·외 연구동향

본 연구는 구개열로 인한 구어 및 언어 장애의 연구동향을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향후 국내 언어치료 분야에서 이루어져야 할 연구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2001년부터 2011년까지 6개의 국내 학술지 23편과 5개의 국외 학술지 98편에 게재된 총 121편의 논문을 연도별로 정리하여 그 변화추이를 살펴보았다. 또한 각 논문을 연구대상자, 연구영역, 그리고 연구방법으로 세분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연구대상자는 국내․외 모두 3~12세의 아동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가장 많이 이루어진 것으로 나타났으며, 국외 연구에 비...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언어치료연구 Vol. 21; no. 3; pp. 427 - 444
Main Authors 안진영(Jin Yeong Ahn), 권도하(Do Ha Kwon), 김정완(Jung Wan Kim)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언어치료학회 01.09.2012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226-587X
2671-7158
DOI10.15724/jslhd.2012.21.3.024

Cover

Loading…
More Information
Summary:본 연구는 구개열로 인한 구어 및 언어 장애의 연구동향을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향후 국내 언어치료 분야에서 이루어져야 할 연구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2001년부터 2011년까지 6개의 국내 학술지 23편과 5개의 국외 학술지 98편에 게재된 총 121편의 논문을 연도별로 정리하여 그 변화추이를 살펴보았다. 또한 각 논문을 연구대상자, 연구영역, 그리고 연구방법으로 세분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연구대상자는 국내․외 모두 3~12세의 아동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가장 많이 이루어진 것으로 나타났으며, 국외 연구에 비해 국내에서는 청소년과 성인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제한적으로 이루어져 있었다. 연구영역은 국내․외 모두 주로 공명과 조음에 초점을 두고 이루어졌으며, 언어 영역에 대한 연구는 제한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구개열 환자들의 만성적인 중이염 문제로 인해 경험할 수 있는 청각 문제에 대해서는 아직 국내 연구에서 다루어지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방법은 국내․외 모두 평가연구와 실험연구가 가장 많이 이루어져 있었다. 이러한 분석내용을 토대로 향후 국내 구개열 중재에서 이루어져야 할 연구방향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view recent research into speech and language disorders caused by cleft palate and to provide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in the field of speech and language therapy. To do so, we analyzed a total of 121 articles published from 2001 to 2011 in international and domestic journals. These articles were analyzed in terms of research subjects, research areas, and research methods. Of the total 121 articles, 23 were domestic and 98 were international. Compared to international research, domestic research showed a lack of quantitative research. Both domestic and international focused mainly on children between the ages of 3 and 12. Domestic research on adolescents and adults was limited. Both domestic and international research focused mainly on the areas of resonance and articulation, but the language area was limited. Also, auditory areas were not covered in domestic research. Both domestic and international research focused mainly on assessment and experimental study. Based on this analysis, we discussed a direction for future research in the field of speech and language therapy. KCI Citation Count: 0
Bibliography:G704-000939.2012.21.3.021
ISSN:1226-587X
2671-7158
DOI:10.15724/jslhd.2012.21.3.0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