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령전 아동의 담화유형에 따른 비유창성 특성
학교 교육에서 말하기의 중요성이 강조되면서 다양한 담화유형에서의 언어 특성에 대하여 활발히 연구되고 있지만, 구어 특성에 대한 연구들은 미비하여 담화 발달과정에서 나타나는 비유창성 특성을 이해하고 중재하기 위한 기초자료가 부족한 실정이다. 그래서 본 연구는 학령전기 일반 아동의 서술담화와 설명담화에서 나타나는 비유창성 특성을 비교하여, 담화 발달과 비유창성과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자는 학령전기 6세 일반아동 30명으로, 아동들이 서술담화 및 설명담화의 동영상을 시청한 후 그 내용을 발화하도록 하여 표본을 수집하였다....
Saved in:
Published in | 언어치료연구 Vol. 21; no. 3; pp. 53 - 68 |
---|---|
Main Authors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한국언어치료학회
01.09.2012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1226-587X 2671-7158 |
DOI | 10.15724/jslhd.2012.21.3.004 |
Cover
Loading…
Summary: | 학교 교육에서 말하기의 중요성이 강조되면서 다양한 담화유형에서의 언어 특성에 대하여 활발히 연구되고 있지만, 구어 특성에 대한 연구들은 미비하여 담화 발달과정에서 나타나는 비유창성 특성을 이해하고 중재하기 위한 기초자료가 부족한 실정이다. 그래서 본 연구는 학령전기 일반 아동의 서술담화와 설명담화에서 나타나는 비유창성 특성을 비교하여, 담화 발달과 비유창성과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자는 학령전기 6세 일반아동 30명으로, 아동들이 서술담화 및 설명담화의 동영상을 시청한 후 그 내용을 발화하도록 하여 표본을 수집하였다. 발화에서 나타나는 비유창성 유형, 비유창성 빈도 및 구어속도를 비교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서술담화에서의 비유창성 빈도가 설명담화보다 높았고, 정상적인 비유창성 유형의 빈도가 높았으며, 특히 삽입의 빈도가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서술담화에서의 구어속도가 설명담화보다 빠른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미루어보아 담화 유형간 발달특성에 따라 비유창성에 차이가 있으므로, 비유창성 특성은 아동의 담화 표현능력을 평가하고 중재방법을 계획하는데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As the importance of speech is emphasized in education, there have been many studies on language characteristic of various discourse types. However, studies on speech characteristics are inadequate, so we lack basic data to understand and to intervene on characteristics of disfluency which can be found in the development of discour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in between the development of discourse and disfluency, by comparing disfluency characteristics that can be found in narrative discourse and expository discourse of preschool children. We studied 30 normal children and collected participants speech samples after they saw a video about narrative discourse and expository discourse. We conducted a comparative analysis of disfluency types, disfluency frequency, and speech rate in speech samples. The result are as follows. Disfluency frequency of narrative discourse was higher than expository discourse and it was of a higher frequency than normal disfluency types. In particular, interjection frequency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frequency of other normal disfluency types. Also, the speech rate of narrative discourse was faster than that of expository discourse. Based on these results, disfluency strongly depends on developmental characteristics between discourse types. Therefore, characteristic of disfluency should be considered to evaluate expressive skills of discourse and to plan how to intervene. KCI Citation Count: 5 |
---|---|
Bibliography: | G704-000939.2012.21.3.009 |
ISSN: | 1226-587X 2671-7158 |
DOI: | 10.15724/jslhd.2012.21.3.0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