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공 슬관절 전치환술 후 발생한 May–Thurner 증후군
장골정맥 눌림 증후군으로 알려져 있는 May–Thurner 증후군은 May와 Thurner에 의해 1957년 처음으로 기술되었다. 좌측 하지에서 침습적인 처치 없이 심부 정맥 혈전증의 증상이 나타날 때 May–Thurner 증후군을 의심할 수 있다. 저자들은 우측 인공 슬관절 전치환술 후 좌측 하지의 급작스러운 통증, 부종 및 피부색 변화를 보여 컴퓨터 단층촬영 정맥 조영술 시행 후 May–Thurner 증후군을 진단 받은 중년 여성 환자의 흥미로운 증례를 경험하였다. 본 증례를 통해서 우측 인공 슬관절 전치환술 후 간과할 수 있는...
Saved in:
Published in | The journal of the Korean Orthopaedic Association Vol. 56; no. 3; pp. 277 - 281 |
---|---|
Main Authors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대한정형외과학회
01.06.2021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1226-2102 2005-8918 |
DOI | 10.4055/jkoa.2021.56.3.277 |
Cover
Summary: | 장골정맥 눌림 증후군으로 알려져 있는 May–Thurner 증후군은 May와 Thurner에 의해 1957년 처음으로 기술되었다. 좌측 하지에서 침습적인 처치 없이 심부 정맥 혈전증의 증상이 나타날 때 May–Thurner 증후군을 의심할 수 있다. 저자들은 우측 인공 슬관절 전치환술 후 좌측 하지의 급작스러운 통증, 부종 및 피부색 변화를 보여 컴퓨터 단층촬영 정맥 조영술 시행 후 May–Thurner 증후군을 진단 받은 중년 여성 환자의 흥미로운 증례를 경험하였다. 본 증례를 통해서 우측 인공 슬관절 전치환술 후 간과할 수 있는 좌측 하지 May–Thurner 증후군을 조기에 진단하여 합병증을 예방하는 데 임상적 의의가 있다고 본다. 이에 문헌 고찰과 함께증례를 보고하고자 한다. Iliac vein compression syndrome, which results in thrombosis of the left iliac veins, was first described by May and Thurner in 1957. May– Thurner syndrome should be considered when deep vein thrombosis-like symptoms appear, especially in the left lower extremities without an invasive procedure. The authors encountered an interesting case of a middle-aged female patient, who presented with sudden pain, swelling and skin color changes to the left lower extremity after right total knee arthroplasty and was diagnosed May–Thurner syndrome by computed tomography venography. This case is of clinical significance in that the early diagnosis of May–Thurner syndrome in the left lower extremity was made, which might have been overlooked after right total knee arthroplasty. This case is reported with a review of the literature review. KCI Citation Count: 0 |
---|---|
Bibliography: | https://jkoa.org/DOIx.php?id=10.4055/jkoa.2021.56.3.277 |
ISSN: | 1226-2102 2005-8918 |
DOI: | 10.4055/jkoa.2021.56.3.27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