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소 버블한 SD500 압연강의 기계적 특성

이 논문에서는 항복강도 500MPa급 철근 규격 SD500 강을 질소 버블 농도를 다르게 제조하여, 미세조직 및 기계적 성질을 조사하였다. 또한, 질소 버블 SD500 압연강의 비커스경도는 와이블확율 분포로 해석하였으며, 아르곤 버블 Ar-SD500 압연강의 비커스경도와도 비교하였다. 잔존 질소 농도가 많아질수록 개재물과 핀 홀의 양이 많아질 뿐만 아니라 크기가 증가하였다. 페라이트의 양은 감소하고, 상대적으로 강도가 큰 펄라이트의 양이 증가하였다. 이것은 고용 질소 농도가 증가하는데 기인하여 경도, 강도 및 강도비가 증가하고, 연...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동력시스템공학회지 Vol. 25; no. 3; pp. 30 - 37
Main Authors 탁영준(Young-Joon Tak), 이기식(Ki-Sik Lee), 남기우(Ki-Woo Nam)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동력기계공학회 01.06.2021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2713-8429
2713-8437
DOI10.9726/kspse.2021.25.3.030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이 논문에서는 항복강도 500MPa급 철근 규격 SD500 강을 질소 버블 농도를 다르게 제조하여, 미세조직 및 기계적 성질을 조사하였다. 또한, 질소 버블 SD500 압연강의 비커스경도는 와이블확율 분포로 해석하였으며, 아르곤 버블 Ar-SD500 압연강의 비커스경도와도 비교하였다. 잔존 질소 농도가 많아질수록 개재물과 핀 홀의 양이 많아질 뿐만 아니라 크기가 증가하였다. 페라이트의 양은 감소하고, 상대적으로 강도가 큰 펄라이트의 양이 증가하였다. 이것은 고용 질소 농도가 증가하는데 기인하여 경도, 강도 및 강도비가 증가하고, 연신율은 감소하였다. 또한, 페라이트와 펄라이트 결정립 크기는 작아졌다. 아르곤 버블 SD500 압연강의 규격보다 약간 낮은 항복강도를 나타내어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Steel makers are bubbling with argon to improve the quality of materials. However, low-cost nitrogen bubbles are being tried in order to save manufacturing cost.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 of nitrogen bubbling on the microstructure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SD500 steel with different nitrogen concentrations. As the residual nitrogen concentration increased, not only the amount of inclusions and pin-holes increased, but also the size increased. The amount of ferrite decreased, and the amount of pearlite increased whereas but the ferrite and pearlite grain sizes were reduced. The hardness, strength and yield ratio increased, but the elongation decreased. Vickers hardness could be explained by a 2-parameter Weibull statistical analysis. KCI Citation Count: 0
ISSN:2713-8429
2713-8437
DOI:10.9726/kspse.2021.25.3.0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