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음장애아동의 모음공간면적과 말명료도 연구

목적: 본 연구는 조음장애 집단별 아동의 말명료도와 모음공간면적을 살펴보고 모음공간면적과 말명료도가 어떤 상관관계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연구대상은 일반아동 5명과 경도의 조음장애 아동 5명, 경도〜중등도 조음장애 아동 5명으로 하였다. 말명료도 평가를 위해 자발적인 발화 과제를 치료실 또는 일상생활에서 부모의 도움을 받아 녹화한 후 50개 발화를 선정하여 어절명료도를 분석하였다. 결과: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집단별 과제에 따른 모음공간면적은 일반집단, 경도집단, 경도〜중등도 집단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언어치료연구 Vol. 27; no. 1; pp. 115 - 126
Main Authors 엄선화(Sun Hwa Eom), 신혜정(Hye Jung Shin)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언어치료학회 2018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226-587X
2671-7158
DOI10.15724/jslhd.2018.27.1.009

Cover

Abstract 목적: 본 연구는 조음장애 집단별 아동의 말명료도와 모음공간면적을 살펴보고 모음공간면적과 말명료도가 어떤 상관관계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연구대상은 일반아동 5명과 경도의 조음장애 아동 5명, 경도〜중등도 조음장애 아동 5명으로 하였다. 말명료도 평가를 위해 자발적인 발화 과제를 치료실 또는 일상생활에서 부모의 도움을 받아 녹화한 후 50개 발화를 선정하여 어절명료도를 분석하였다. 결과: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집단별 과제에 따른 모음공간면적은 일반집단, 경도집단, 경도〜중등도 집단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집단별 문장내 모음에서는 일반집단에 비해 경도집단과 경도〜중등도 집단 모두에서 차이가 났으며, 특히 경도∼중등도 집단에서 모음공간면적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이는 단모음보다 발화길이가 길어진 문장내에서는 모음공간면적이 좁아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둘째, 자음정확도에 따른 조음장애 중증도별 경도집단과 경도∼중등도 집단의 어절명료도는 두 집단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이는 조음장애가 심한 경도∼중등도 집단에서는 말명료도가 낮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셋째, 경도집단과 경도〜중등도 집단의 연장모음 /아/, /이/, /우/ 모음공간면적, 문장내 모음 /아/, /이/, /우/의 모음공간면적과 어절명료도의 상관성을 살펴본 결과, 유의미한 상관관계는 나타나지 않았다. 이는 말명료도는 모음공간면적에 전적으로 의존하지 않는다는 것을 함의하며 말명료도는 모음공간면적 뿐 만 아니라 보다 복잡한 평가척도를 포함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결론: 일반아동 집단과 중증도별 조음장애아동 집단의 모음공간면적의 객관적인 정보를 수집할 수 있었으며, 향후 조음장애 아동의 모음공간면적과 말명료도 연구에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말명료도의 평가의 객관성을 보완하기 위한 음향학적 요인에 관한 후속연구를 권고한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children’s speech intelligibility and to find a correlation between vowel space area and speech intelligibility. Methods: The subjects were five normal children, five children with mild articulatory disorder, and five children with mild-moderate articulatory disorder. For the evaluation of speech intelligibility, spontaneous utterances were recorded with the help of parents in the treatment room or from everyday life; then, 50 words were analyzed for syntactic word intelligibility. Results: Firs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vowel space area according to the tasks by the general group, the mild group, or the mild to moderate group. However, in the group of sentences by each group, there was a difference between the mild group and the mild to moderate group compared to the general group. In particular,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vowel space area in the mild to moderate group. Second,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mild group in the degree of articulation disorder and the group of the mild-moderate group according to consonant accuracy. Third, the result of finding correlation between the vowel space area of the sustained vowel /a/, /i/, /u/ and the vowel space area and the verbal intelligibility of the vowel in the sentence /a/, /i/, /u/, showed no significant correlation. Conclusions: This study collected objective information about the vowel space to use in the studies related to the speech intelligibility of general children and the group of children with articulation disorder. KCI Citation Count: 4
AbstractList 목적: 본 연구는 조음장애 집단별 아동의 말명료도와 모음공간면적을 살펴보고 모음공간면적과 말명료도가 어떤 상관관계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연구대상은 일반아동 5명과 경도의 조음장애 아동 5명, 경도〜중등도 조음장애 아동 5명으로 하였다. 말명료도 평가를 위해 자발적인 발화 과제를 치료실 또는 일상생활에서 부모의 도움을 받아 녹화한 후 50개 발화를 선정하여 어절명료도를 분석하였다. 결과: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집단별 과제에 따른 모음공간면적은 일반집단, 경도집단, 경도〜중등도 집단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집단별 문장내 모음에서는 일반집단에 비해 경도집단과 경도〜중등도 집단 모두에서 차이가 났으며, 특히 경도∼중등도 집단에서 모음공간면적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이는 단모음보다 발화길이가 길어진 문장내에서는 모음공간면적이 좁아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둘째, 자음정확도에 따른 조음장애 중증도별 경도집단과 경도∼중등도 집단의 어절명료도는 두 집단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이는 조음장애가 심한 경도∼중등도 집단에서는 말명료도가 낮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셋째, 경도집단과 경도〜중등도 집단의 연장모음 /아/, /이/, /우/ 모음공간면적, 문장내 모음 /아/, /이/, /우/의 모음공간면적과 어절명료도의 상관성을 살펴본 결과, 유의미한 상관관계는 나타나지 않았다. 이는 말명료도는 모음공간면적에 전적으로 의존하지 않는다는 것을 함의하며 말명료도는 모음공간면적 뿐 만 아니라 보다 복잡한 평가척도를 포함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결론: 일반아동 집단과 중증도별 조음장애아동 집단의 모음공간면적의 객관적인 정보를 수집할 수 있었으며, 향후 조음장애 아동의 모음공간면적과 말명료도 연구에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말명료도의 평가의 객관성을 보완하기 위한 음향학적 요인에 관한 후속연구를 권고한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children’s speech intelligibility and to find a correlation between vowel space area and speech intelligibility. Methods: The subjects were five normal children, five children with mild articulatory disorder, and five children with mild-moderate articulatory disorder. For the evaluation of speech intelligibility, spontaneous utterances were recorded with the help of parents in the treatment room or from everyday life; then, 50 words were analyzed for syntactic word intelligibility. Results: Firs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vowel space area according to the tasks by the general group, the mild group, or the mild to moderate group. However, in the group of sentences by each group, there was a difference between the mild group and the mild to moderate group compared to the general group. In particular,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vowel space area in the mild to moderate group. Second,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mild group in the degree of articulation disorder and the group of the mild-moderate group according to consonant accuracy. Third, the result of finding correlation between the vowel space area of the sustained vowel /a/, /i/, /u/ and the vowel space area and the verbal intelligibility of the vowel in the sentence /a/, /i/, /u/, showed no significant correlation. Conclusions: This study collected objective information about the vowel space to use in the studies related to the speech intelligibility of general children and the group of children with articulation disorder. KCI Citation Count: 4
Author 엄선화(Sun Hwa Eom)
신혜정(Hye Jung Shin)
Author_xml – sequence: 1
  fullname: 엄선화(Sun Hwa Eom)
– sequence: 2
  fullname: 신혜정(Hye Jung Shin)
BackLink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312623$$DAccess content in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NRF)
BookMark eNotjE1LAkEAhocwyMx_0MFLhw67zffsnkLMSpCE8NBtWXdma9PW2KVDR8Fugl2kOhhGRCUdBPPWL9qZH5GUp-fh5eHdBLm4GysAthG0EROY7l2mnQtpY4gcGwsb2RC6ayCPuUCWQMzJgTzCmFvMEWcboJimUQtSKigTDOXBvnmZmfHAPL-Z0cSM-nr4ZMaPJT39WK7ZfJHN-vrz20x62fynpN_v9fROvw70sF8yD7Ns8bUF1kO_k6riigXQPKw2K8dWvXFUq5TrVswptlzZklTxkCiXQOlyRBlj2IEBJT4hocMD6LNABSrkhHMhJKeh5IoxJaUbUEUKYPf_Nk5Crx1EXteP_nje9dqJVz5t1jzMKIEuWrY7q_Ymia6UjHzveil-cuudNA6qUDCMXIjJL6H1cXI
ContentType Journal Article
DBID DBRKI
TDB
ACYCR
DOI 10.15724/jslhd.2018.27.1.009
DatabaseName DBPIA - 디비피아
Nurimedia DBPIA Journals
Korean Citation Index
DatabaseTitleList
DeliveryMethod fulltext_linktorsrc
DocumentTitleAlternate A Study on Vowel Space Area and Speech Intelligibility in Children With Articulation Disorder
DocumentTitle_FL A Study on Vowel Space Area and Speech Intelligibility in Children With Articulation Disorder
EISSN 2671-7158
EndPage 126
ExternalDocumentID oai_kci_go_kr_ARTI_2543091
NODE07521902
GroupedDBID ALMA_UNASSIGNED_HOLDINGS
DBRKI
M~E
TDB
ACYCR
ID FETCH-LOGICAL-n642-9dbd4e6f3e930d9614555280c43a33f86c0a5cecef636677d64fd6e55edd9c4e3
ISSN 1226-587X
IngestDate Tue Nov 21 21:41:03 EST 2023
Thu Feb 06 13:15:16 EST 2025
IsPeerReviewed false
IsScholarly false
Issue 1
Keywords 모음공간면적
경도 집단
경도-중등도 집단
말명료도
mild
mild-moderate
Vowel space area
speech intelligibility
Language Korean
LinkModel OpenURL
MergedId FETCHMERGED-LOGICAL-n642-9dbd4e6f3e930d9614555280c43a33f86c0a5cecef636677d64fd6e55edd9c4e3
PageCount 12
ParticipantIDs nrf_kci_oai_kci_go_kr_ARTI_2543091
nurimedia_primary_NODE07521902
PublicationCentury 2000
PublicationDate 2018
2018-01
PublicationDateYYYYMMDD 2018-01-01
PublicationDate_xml – year: 2018
  text: 2018
PublicationDecade 2010
PublicationTitle 언어치료연구
PublicationYear 2018
Publisher 한국언어치료학회
Publisher_xml – name: 한국언어치료학회
SSID ssib044745751
ssib001106864
Score 1.6421341
Snippet 목적: 본 연구는 조음장애 집단별 아동의 말명료도와 모음공간면적을 살펴보고 모음공간면적과 말명료도가 어떤 상관관계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연구대상은 일반아동 5명과 경도의 조음장애 아동 5명, 경도〜중등도 조음장애 아동 5명으로 하였다. 말명료도 평가를 위해 자발적인 발화...
SourceID nrf
nurimedia
SourceType Open Website
Publisher
StartPage 115
SubjectTerms 교육학
Title 조음장애아동의 모음공간면적과 말명료도 연구
URI https://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nodeId=NODE07521902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312623
Volume 27
hasFullText 1
inHoldings 1
isFullTextHit
isPrint
ispartofPNX 언어치료연구, 2018, 27(1), , pp.115-126
link http://utb.summon.serialssolutions.com/2.0.0/link/0/eLvHCXMwnR1NaxNBdKn1oBdRVKwfJYhzCom7mY-dAUF2ky2xYD1YobdlPyZWo4nEBNGDIMRboV6KeqhURNTiIVB78xdl90f4ZnaTrBiwepk8Xua9mTdvdt6b2XlvDeOaJZkpImyre35hhdi0Bc-cwBUcUx6DAQoZUbHDt9dY8x5Z3aAbC8duFG4tDfphNXoxN67kf7QKONCripL9B81OmQICYNAvlKBhKI-kY-TVkWMh11SAaCBe14CHHKoBihwzBzhBnov4ChIiryx4WaEcBzm8QO8gFyOXasDMyRyBXKIbA4w1qVPP6G0kzJwRpxrAmpFujZOy5m3rTjqKcZ7s8eFMBMGQyyeAbscV0L0Cr7kcYJrk_3BNBKUSt6FEFAQ857uDTrn5LCh73ceFAw9d1Z1U5UjUc8lglGq8-VyWVwcqS_mmPjIpnorkS7iawZqWatqsS42jCZJRCQ3AeNULNgE81Arl9kZmMjWuxmwLpneWdX5iSLIkB789MJlVsLKI1dzBsLIUAX_YLmrXiDJeTx9tqhS2Fq_W7KpVNU0xs9XTG5RrdxoeeHtgb1Qm1eM1GzqjLq6-9GbOsKXCf6arLSE2US_Z1AnERKI8llS1fH1Ou-BvdXrgpp3oDNS3JmDBKvhe66eNU_mmqeRkT8AZY6HdPWvcTD-O0t2t9MPndGcv3Rkm2-_T3XelZP8rYMcHh-PRMPn2I917NT74WUq-vEn2XyeftpLtYSl9Oxoffj9nrK946_VmJf8cSKUDm-SKiMOYSNbCUmAzFkxl2Kc1bkYEBxi3OIvMgEYyki2GGbPtmJFWzCSlMo5FRCQ-byx2uh15wSiZTDISBSZQBSRgscCBZckopJK2ZCDCJeMqyO23owe-yr6ufu93_XbPhz3mLV-ljwAve8lYng6L_yRLDeMX1XLxbxUuGSfVcGcHepeNxX5vIK-Ai9sPl7UmfwGzwYWU
linkProvider ISSN International Centre
openUrl ctx_ver=Z39.88-2004&ctx_enc=info%3Aofi%2Fenc%3AUTF-8&rfr_id=info%3Asid%2Fsummon.serialssolutions.com&rft_val_fmt=info%3Aofi%2Ffmt%3Akev%3Amtx%3Ajournal&rft.genre=article&rft.atitle=%EC%A1%B0%EC%9D%8C%EC%9E%A5%EC%95%A0%EC%95%84%EB%8F%99%EC%9D%98+%EB%AA%A8%EC%9D%8C%EA%B3%B5%EA%B0%84%EB%A9%B4%EC%A0%81%EA%B3%BC+%EB%A7%90%EB%AA%85%EB%A3%8C%EB%8F%84+%EC%97%B0%EA%B5%AC&rft.jtitle=%EC%96%B8%EC%96%B4%EC%B9%98%EB%A3%8C%EC%97%B0%EA%B5%AC&rft.au=%EC%97%84%EC%84%A0%ED%99%94%28Sun+Hwa+Eom%29&rft.au=%EC%8B%A0%ED%98%9C%EC%A0%95%28Hye+Jung+Shin%29&rft.date=2018&rft.pub=%ED%95%9C%EA%B5%AD%EC%96%B8%EC%96%B4%EC%B9%98%EB%A3%8C%ED%95%99%ED%9A%8C&rft.issn=1226-587X&rft.eissn=2671-7158&rft.volume=27&rft.issue=1&rft.spage=115&rft.epage=126&rft_id=info:doi/10.15724%2Fjslhd.2018.27.1.009&rft.externalDocID=NODE07521902
thumbnail_l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lc.gif&issn=1226-587X&client=summon
thumbnail_m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mc.gif&issn=1226-587X&client=summon
thumbnail_s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sc.gif&issn=1226-587X&client=summ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