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도시 원도심 노후 밀집주거지 빈집 발생, 고착화 및 재사용에 관한 연구 : 부산 아미동·초장동을 사례로

본 연구는 대도시임에도 원도심의 쇠퇴와 빈집문제가 심각한 부산광역시의 사례지역을 대상으로 개별 건축물 단위와 근린환경의 특성을 함께 살펴보는 미시적인 접근을 기반으로, 두시점 간 빈집과 근린의 변화를 살펴보는 시계열적인 분석을 시도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부산광역시의 대표적인 원도심 지역인 서구 아미동과 초장동에 대한 전체 현장조사(2020년11월 실시)를 통해 빈집여부 및 주택·근린 특성에 대한 전수데이터를 수집하고, 2017년 1~2월 같은 지역을 대상으로 이루어진 현장조사 결과(정인아·우신구, 2019)와 비교하여...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국토계획 Vol. 56; no. 7; pp. 73 - 86
Main Authors 카마타 요코(Kamata, Yoko), 강정은(Kang, Jung Eun)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01.12.2021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226-7147
2383-9171
DOI10.17208/jkpa.2021.12.56.7.73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본 연구는 대도시임에도 원도심의 쇠퇴와 빈집문제가 심각한 부산광역시의 사례지역을 대상으로 개별 건축물 단위와 근린환경의 특성을 함께 살펴보는 미시적인 접근을 기반으로, 두시점 간 빈집과 근린의 변화를 살펴보는 시계열적인 분석을 시도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부산광역시의 대표적인 원도심 지역인 서구 아미동과 초장동에 대한 전체 현장조사(2020년11월 실시)를 통해 빈집여부 및 주택·근린 특성에 대한 전수데이터를 수집하고, 2017년 1~2월 같은 지역을 대상으로 이루어진 현장조사 결과(정인아·우신구, 2019)와 비교하여 빈집의 시간적, 공간적 변화를 공간분석과 통계분석을 활용하여 살펴보았다. 특히, 두 시점의 비교를 통해 2017년에 빈집이었다가 2020년에도빈집으로 남아 있는 고착빈집과 2017년에는 빈집이 아니었다가2020년에 새롭게 빈집이 된 신규빈집, 2017년 빈집이었다가 입주민이 재입주한 재사용빈집으로 구분하여 각각에 대한 영향요인을 상세히 분석하였다. 이러한 분석결과는 인구감소를 겪고 있는 대도시의 빈집문제가 어떠한 양상으로 변화하고 있는지에 대한 실증적 분석 결과를제공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중소도시 또는 농어촌 지역과는 다른 대도시 지역에서의 빈집문제의 현황을 이해하고, 적절한 대책마련을 위한 기반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his study aims to compare the data of vacant houses in 2017 and 2020 to investigate the temporal and spatial changes in vacant houses in Ami-dong and Chojang-dong in Seo-gu, Busan, which are the areas suffering from a severe decline of the old downtown. In particular, the current situation and factors influencing all vacant houses, new vacant houses, persistent vacant houses, and reused vacant houses, were investigated by comparing the data from two different points in time. A complete site survey on detached houses, including unauthorized houses, was conducted to collect the data used in the analysis. Kernel density analysis was used for the spatial distribution of vacant house, and the binary logit model was used to analyze the factors influencing the vacancy status of houses.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s, the number of vacant houses in the surveyed area increased by 1.46 times from 340 in 2017 to 498 in 2020, and the range of the region where vacant houses were located also expanded widely. Statistical analysis showed that the proportion of persistent vacant houses in the neighborhood had a significant impact on the prevalence of persistent vacant houses. Unlicensed houses tended to be newly vacant, and the new vacant houses were found even in areas considered to be in relatively advantageous locations with a low proportion of persistent vacant houses in their vicinity, indicating that the regions with the prevalent occurrence of vacant houses were expanding. Factors such as the accessibility to the city center, value of the house, and presence of residential environment improvement zones affect the reuse of vacant houses. KCI Citation Count: 3
ISSN:1226-7147
2383-9171
DOI:10.17208/jkpa.2021.12.56.7.7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