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어 표현의 유형에 따른 성인 청자의 이야기 이해
목적: 학생들이 청자로서 학업수행을 잘하기 위하여 듣기가 중요하다. 우리말은 연결된 문장에서 회복가능한주요 논항을 지시하기보다 생략하는 특성이 있다. 생략은 문장 간의 결속성을 높이고 청자를 담화에 결속시켜주지만, 잘못 사용하면 의미를 모호하게 하거나 내용이해 속도를 떨어뜨린다. 본 연구에서는 주어를 표현하는유형에 따라 성인 청자의 이야기 내용이해 및 이야기 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대학생48명이 실험에 참여하였다. Mayer의 개구리 이야기 4가지를 Strong(1998)의 일화에 맞춰 어휘, 구문, 일화의...
Saved in:
Published in | 언어치료연구 Vol. 25; no. 4; pp. 21 - 33 |
---|---|
Main Author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한국언어치료학회
01.10.2016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1226-587X 2671-7158 |
DOI | 10.15724/jslhd.2016.25.4.003 |
Cover
Loading…
Summary: | 목적: 학생들이 청자로서 학업수행을 잘하기 위하여 듣기가 중요하다. 우리말은 연결된 문장에서 회복가능한주요 논항을 지시하기보다 생략하는 특성이 있다. 생략은 문장 간의 결속성을 높이고 청자를 담화에 결속시켜주지만, 잘못 사용하면 의미를 모호하게 하거나 내용이해 속도를 떨어뜨린다. 본 연구에서는 주어를 표현하는유형에 따라 성인 청자의 이야기 내용이해 및 이야기 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대학생48명이 실험에 참여하였다. Mayer의 개구리 이야기 4가지를 Strong(1998)의 일화에 맞춰 어휘, 구문, 일화의수, 등장인물의 수 등을 유사하게 맞추었다. 연구자는 유형Ⅰ(문장 내에 주어가 모두 존재하는 유형), 유형Ⅱ (유형Ⅰ에서 주어 7~8개를 적절하게 생략한 유형), 유형Ⅲ(유형Ⅰ에 주어 5개를 추가한 유형), 유형Ⅳ(유형Ⅰ 에서 부적절하게 주어 4개를 생략한 유형)으로 이야기를 구성하였다. 참여자는 각 이야기를 듣고 이야기 내용이해 질문지에 답을 적고, 4가지 이야기를 듣고 이야기 인식 정도를 적었다. 결과: 참여자는 유형Ⅰ을 듣고이야기 내용을 가장 잘 이해하고 가장 높게 인식하였으나 유형Ⅲ을 가장 적게 이해하고 낮게 인식하였다. 그리고 유형Ⅳ의 이야기를 2번째로 잘 이해하고 인식하였다. 이야기 내용이해가 높거나 낮은 참여자 집단 모두는 유형Ⅰ 이야기를 가장 높게 인식하였으나 유형Ⅲ을 가장 낮게 인식하였다. 결론: 성인은 주어가 생략된 모호한 이야기를 들을 때 추론하여 이해할 수 있지만 문장 내 주어가 모두 있는 경우에 이야기를 가장 잘 이해하고 인식할 수 있다. Purpose: Listening is important to get good academic results for students. A characteristic of Korean is omission rather than direction to express subjects in reconstruction in sentences. Errors of omission cause more ambiguous meaning and slow comprehension, but omission of subjects is a cohesive device between sentences and attracts listeners. This study aims at investigating the effects of comprehension and awareness of adult listeners according to the method of subject expression in stories. Methods: Forty-eight university studen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Episodes, characters, vocabulary, and syntax of four Mayer's frog stories were matched to episodes of a Strong (1998) story. Each story consisted of the following four types, according to the method of subject expression: Type (all subjects exist in sentences), Type (7~8 subjects were omitted from sentences of Type appropriately), Type (5 subjects were added to Type ), and Type (4 subjects were omitted inappropriately). Participants completed a comprehension questionnaire card after listening to each story and then completed an awareness card after listening to all the stories. Results: Students could best understand meaning and were highly aware of Type , but understood less and ranked lowest in awareness of Type. Also, they have the second best understanding and awareness of Type . Both groups with high and low comprehension were well aware of stories of Type , but were less aware of Type . Conclusions: Adults can better understand and are well aware of stories which have complete sentences, but they can complete the subjects in sentences. KCI Citation Count: 0 |
---|---|
Bibliography: | G704-000939.2016.25.4.016 http://www.ksha1990.or.kr/ |
ISSN: | 1226-587X 2671-7158 |
DOI: | 10.15724/jslhd.2016.25.4.0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