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보호센터 시설 이용 인지장애 노인의 노쇠와 영양상태와의 관련성
본 연구는 주간보호센터의 인지장애 노인을 대상으로 노쇠 예방 및 관리를 위해 노쇠와 관련된 요인을 도출하고 영양상태와의 관련성을 분석하였다. 노쇠에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도출하기 위해 관련 요인을 성별, 연령, 일상생활능력, 욕창위험도(Braden scale), 낙상위험도(Huhn scale), 식욕부진(SNAQ), 영양상태(MNA)로 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노쇠에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연령(β= 0.273, P=0.007), MNA(β=-0.244, P=0.047)로 나타났다. 영양상태에 따른 노쇠와의...
Saved in:
Published in | Han'guk Sikp'um Yŏngyang Kwahakhoe chi Vol. 50; no. 1; pp. 88 - 94 |
---|---|
Main Authors | , ,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21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1226-3311 2288-5978 |
Cover
Summary: | 본 연구는 주간보호센터의 인지장애 노인을 대상으로 노쇠 예방 및 관리를 위해 노쇠와 관련된 요인을 도출하고 영양상태와의 관련성을 분석하였다. 노쇠에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도출하기 위해 관련 요인을 성별, 연령, 일상생활능력, 욕창위험도(Braden scale), 낙상위험도(Huhn scale), 식욕부진(SNAQ), 영양상태(MNA)로 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노쇠에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연령(β= 0.273, P=0.007), MNA(β=-0.244, P=0.047)로 나타났다. 영양상태에 따른 노쇠와의 관련성을 분석하기 위해 MNA 점수에 따라 성별, 연령, 만성질환 개수를 보정하여 전노쇠의 교차비를 분석한 결과 0.788배(95% confidence interval(CI): 0.643-0.965, P=0.021)로 나타났으며, 노쇠의 교차비는 0.654배(95% CI: 0.477-0.879, P=0.008)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노쇠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한 요인이 영양상태임을 보였고, 이는 노쇠 정도에도 관련을 보였다. 따라서 상대적으로 낮은 수준의 돌봄 수준을 가진 주간보호센터의 인지장애 노인의 영양상태 개선을 위한 적극적인 영양관리 방안이 마련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The cognitive disorder in elderly can cause various malfunctions, so it requires steady caring. Daycare centers for elderly are proper as a facility to take care of the elderly with cognitive disorders that are able to lead a normal life and that need relatively low level of caring. This study analyzed the relation with the frail of the elderly who have cognitive disorders among those who use adult daycare centers in order to provide basic resources of nutrition management to manage and improve their frail. The participants of the study were 88 persons whose Korean version of Mini-Mental State Examination (MMSE-K) is less than 19 among the elderly at three adult daycare centers in Jeollabuk-do. The questionnaire items were gender, age, number of chronic diseases, BMI, hand grip, nutritional status (mini nutritional assessment, MNA) and health status (activity of daily living (K-ADL), pressure ulcer (Braden scale), fall (Huhn scale), appetite assessment (simplified nutritional appetite questionnaire, SNAQ), and K-FRAIL is used for frail assessment. For statistical analysis, the logistic regression was used for the analysis of relation between frail and nutritional condition. The result of analyzing the odds ratio of pre-frail by revising gender, age and the number of chronic diseases according to MNA scores for analysis of frail by nutritional condition was 0.788 (95% confidence interval (CI): 0.643∼0.965, P=0.021), and the odds ratio of frail was 0.654 (95% CI: 0.477∼0.879, P=0.008). This indicates that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n active nutrition management plan to improve health condition of the elderly with cognitive disorders in elderly care facilities. KCI Citation Count: 3 |
---|---|
ISSN: | 1226-3311 2288-597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