봉덕리 고분에서 출토된 금동장식신발 새문양의 형태·생태학적 분석을 통한 천연기념물 따오기 동정
본 논고는 5세기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되는 봉덕리 고분출토 유물 금동장식신발에 장식되어 있는 새 형태의 문양에 대하여 형태학적, 생태학적 검토를 통해 의 멸종위기종 적색목록 위급(CR, critically endangered) 단계이며, 우리나라 천연기념물 제 198호인 따오기(Nipponia nippon)로 동정하고, 그 의미를 보고하기 위해 작성되었다. 금번 검토한 출토된 신발에 조각된 새 문양은 전반적으로 가마우지류의 몸 형태를 띠고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그러나 부리의 형태적 측면에서 부리의 휘어진 곡선과 머리 크기와 비교해...
Saved in:
Published in | 한국조류학회지 Vol. 28; no. 2; pp. 137 - 143 |
---|---|
Main Authors | ,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한국조류학회
01.12.2021
한국조류학회II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1225-9179 2586-6893 |
DOI | 10.30980/kjo.2021.12.28.2.137 |
Cover
Abstract | 본 논고는 5세기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되는 봉덕리 고분출토 유물 금동장식신발에 장식되어 있는 새 형태의 문양에 대하여 형태학적, 생태학적 검토를 통해 의 멸종위기종 적색목록 위급(CR, critically endangered) 단계이며, 우리나라 천연기념물 제 198호인 따오기(Nipponia nippon)로 동정하고, 그 의미를 보고하기 위해 작성되었다. 금번 검토한 출토된 신발에 조각된 새 문양은 전반적으로 가마우지류의 몸 형태를 띠고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그러나 부리의 형태적 측면에서 부리의 휘어진 곡선과 머리 크기와 비교해 부리의 비율이 2-3배로 길고, 부리 기부가 머리 윗부분부터 시작되는 형태는 부리 기부가 머리 하단부에서 시작되는 마도요류의 곡선 부리와는 형태적으로 차이가 나 비교될 수 있다. 또한, 여러 개체를 포개어 표현한 장식은 따오기의 무리 행동의 생태적 특징이 잘 표현된 것으로 판단된다. 이러한 분석으로부터 금동장식 신발의 옆면에 있는 새 문양 부리는 따오기류로 분류할 수 있다. 이는 고(古)유물에 주로 확인되는 조류 8종류(고니, 기러기, 닭, 제비, 황새, 원앙, 두루미, 백로)와는 다른 새로운 형태적 표현으로 기록된다는 것에 큰 의미가 있다. 또한, 우리나라에서 멸종된 것으로 추정되고 있으며, 현재 야생복원사업이 이루어지고 있는 점을 감안할 때 고생태학적으로 매우 중요한 기록으로 판단된다. 지금까지 조선시대 이전에는 따오기에 대한 서식 정보가 전무했으나, 본 연구의 5세기 봉덕리 금동신발에서 따오기 문양이 확인됨에 따라 삼국시대에도 따오기가 서식했음을 추정할 수 있다. 본 연구를 계기삼아 세가지 후속 연구를 제안하였다. 첫째, 한·중·일 3국에서 따오기와 관련되는 유물을 대상으로 연대 측정을 통한 생물 및 서식지 분석에 대한 공동연구, 둘째, 본 연구의 유물뿐만 아니라 지금까지 출토되고 발견된 고 유물에 포함된 새 문양의 세밀한 검토를 통해 고생물학적 해석과 고생물학적 현황 재검토. 셋째, 본 연구에서 “쌍조”로 표현된 따오기 문양의 일부가 부리가 짧은 형태로부터 어린 새의 모습이 유추되는바, 현재까지 알려진 겨울철새의 기록 이전에는 우리나라에서 따오기가 번식했을 가능성을 암시하므로 보다 면밀한 검토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The present report describes the finding of Crested Ibis (Nipponia nippon), a natural monument, through morphological and ecological analyses of bird patterns on the fifth century gilt bronze decorative shoes excavated from the Bongdeok-ri tombs. The overall body pattern of birds carved on the excavated shoes resembles that of a cormorant. However, the beak appears to be 2–3 times longer than the head, and it starts from the top of the head, as opposed to the curved beak of curlew (Numenius sp.) that starts from the bottom of the head. In addition, the expression of several individuals is consistent with the ecological herding behavior of wild crested ibis. Therefore, based on beak patterns on the sides of the gilt bronze decorative shoes, the birds can be considered Crested Ibis. This finding is significant because it represents a new morphological expression in addition to the eight bird species (e.g. cygnus, geese, chickens, swallows, storks, mandarin ducks, cranes, and egrets) that are often depicted in ancient artifacts. Crested Ibis is extinct from Korea, and wild restoration efforts are underway. In this context, the present record is paleoecologically significant. Our findings can be used to formulate three fundamental research proposals: (1) a joint biological and ecological analysis through dating the relics related to ibis from Korea, China, and Japan; (2) reconsideration of paleontological status and interpretation through detailed review of new bird patterns on ornaments; and (3) confirmation of whether some “twin birds” with short bills in the observed pattern represent juveniles. This finding implies the possibility of the breeding of Crested Ibis in Korea; therefore, closer examination is imperative. KCI Citation Count: 0 |
---|---|
AbstractList | 본 논고는 5세기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되는 봉덕리 고분출토 유물 금동장식신발에 장식되어 있는 새 형태의 문양에 대하여 형태학적, 생태학적 검토를 통해 의 멸종위기종 적색목록 위급(CR, critically endangered) 단계이며, 우리나라 천연기념물 제 198호인 따오기(Nipponia nippon)로 동정하고, 그 의미를 보고하기 위해 작성되었다. 금번 검토한 출토된 신발에 조각된 새 문양은 전반적으로 가마우지류의 몸 형태를 띠고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그러나 부리의 형태적 측면에서 부리의 휘어진 곡선과 머리 크기와 비교해 부리의 비율이 2-3배로 길고, 부리 기부가 머리 윗부분부터 시작되는 형태는 부리 기부가 머리 하단부에서 시작되는 마도요류의 곡선 부리와는 형태적으로 차이가 나 비교될 수 있다. 또한, 여러 개체를 포개어 표현한 장식은 따오기의 무리 행동의 생태적 특징이 잘 표현된 것으로 판단된다. 이러한 분석으로부터 금동장식 신발의 옆면에 있는 새 문양 부리는 따오기류로 분류할 수 있다. 이는 고(古)유물에 주로 확인되는 조류 8종류(고니, 기러기, 닭, 제비, 황새, 원앙, 두루미, 백로)와는 다른 새로운 형태적 표현으로 기록된다는 것에 큰 의미가 있다. 또한, 우리나라에서 멸종된 것으로 추정되고 있으며, 현재 야생복원사업이 이루어지고 있는 점을 감안할 때 고생태학적으로 매우 중요한 기록으로 판단된다. 지금까지 조선시대 이전에는 따오기에 대한 서식 정보가 전무했으나, 본 연구의 5세기 봉덕리 금동신발에서 따오기 문양이 확인됨에 따라 삼국시대에도 따오기가 서식했음을 추정할 수 있다. 본 연구를 계기삼아 세가지 후속 연구를 제안하였다. 첫째, 한·중·일 3국에서 따오기와 관련되는 유물을 대상으로 연대 측정을 통한 생물 및 서식지 분석에 대한 공동연구, 둘째, 본 연구의 유물뿐만 아니라 지금까지 출토되고 발견된 고 유물에 포함된 새 문양의 세밀한 검토를 통해 고생물학적 해석과 고생물학적 현황 재검토. 셋째, 본 연구에서 “쌍조”로 표현된 따오기 문양의 일부가 부리가 짧은 형태로부터 어린 새의 모습이 유추되는바, 현재까지 알려진 겨울철새의 기록 이전에는 우리나라에서 따오기가 번식했을 가능성을 암시하므로 보다 면밀한 검토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The present report describes the finding of Crested Ibis (Nipponia nippon), a natural monument, through morphological and ecological analyses of bird patterns on the fifth century gilt bronze decorative shoes excavated from the Bongdeok-ri tombs. The overall body pattern of birds carved on the excavated shoes resembles that of a cormorant. However, the beak appears to be 2–3 times longer than the head, and it starts from the top of the head, as opposed to the curved beak of curlew (Numenius sp.) that starts from the bottom of the head. In addition, the expression of several individuals is consistent with the ecological herding behavior of wild crested ibis. Therefore, based on beak patterns on the sides of the gilt bronze decorative shoes, the birds can be considered Crested Ibis. This finding is significant because it represents a new morphological expression in addition to the eight bird species (e.g. cygnus, geese, chickens, swallows, storks, mandarin ducks, cranes, and egrets) that are often depicted in ancient artifacts. Crested Ibis is extinct from Korea, and wild restoration efforts are underway. In this context, the present record is paleoecologically significant. Our findings can be used to formulate three fundamental research proposals: (1) a joint biological and ecological analysis through dating the relics related to ibis from Korea, China, and Japan; (2) reconsideration of paleontological status and interpretation through detailed review of new bird patterns on ornaments; and (3) confirmation of whether some “twin birds” with short bills in the observed pattern represent juveniles. This finding implies the possibility of the breeding of Crested Ibis in Korea; therefore, closer examination is imperative. KCI Citation Count: 0 |
Author | 빙기창(Gi-Chang Bing) 김우열(Woo-Yuel Kim) 서지혜(Ji-Hye Seo) 백운기(Woon-Kee Paek) 이두표(Doo-Pyo Lee) |
Author_xml | – sequence: 1 fullname: 김우열(Woo-Yuel Kim) – sequence: 2 fullname: 빙기창(Gi-Chang Bing) – sequence: 3 fullname: 서지혜(Ji-Hye Seo) – sequence: 4 fullname: 백운기(Woon-Kee Paek) – sequence: 5 fullname: 이두표(Doo-Pyo Lee) |
BackLink |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799092$$DAccess content in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NRF) |
BookMark | eNotjctKw0AUhgdRsFYfQcjGhYvEuSaZpXgtFAXpPqTtRGK1lRYXLqX1RhErGK2QSBbqqovipXbhysfpTN7BVF195_D_5zszYLJaqwoA5hE0COQ2XKrs1QwMMTIQNrBtYAMRawJkMLNN3bQ5mQQZhDHTObL4NJhrNPwihKZlI2aiDDiX75fyKpAvPW30FstBS913VCvU1CBMzmLZCbXR8EJeP6jHZ9WOVDuW_TRsXsjeUN3dqKirJd0gaYbfn6oZpUyCBxWfaGNRK1JRS0vOPpIgPXkN1X1_NOzL047sfWnytq-6T-mujeVxMAumPHe_Ieb-mQWF9bXCyqae397IrSzn9apJoc4YtUQRlwQTWNjEIx5jBEEPmYR5QjBEbRdBt-RRbrrcogjalJdJmZeLiHLmkSxY_NNW655TKflOzfV_uVtzKnVneaeQcziHHCGadhf-u0d1_0CUfdc5TAe3fuxsba-upe70A4XkB2I2n1U |
ContentType | Journal Article |
DBID | DBRKI TDB ACYCR |
DOI | 10.30980/kjo.2021.12.28.2.137 |
DatabaseName | DBPIA - 디비피아 Nurimedia DBPIA Journals Korean Citation Index |
DatabaseTitleList | |
DeliveryMethod | fulltext_linktorsrc |
DocumentTitleAlternate | Identification of natural monument Crested Ibis through morphological and ecological analysis of bird pattern on gilt bronze decorative shoes excavated form Bongdeok-ri tombs |
DocumentTitle_FL | Identification of natural monument Crested Ibis thourgh morphological and ecological analysis of bird pattern on gilt bronze decorative shoes excavated form Bongdeok-ri tombs |
EISSN | 2586-6893 |
EndPage | 143 |
ExternalDocumentID | oai_kci_go_kr_ARTI_9909114 NODE10897440 |
GroupedDBID | ALMA_UNASSIGNED_HOLDINGS DBRKI M~E TDB ACYCR |
ID | FETCH-LOGICAL-n640-5547eb2ce5e2e83f3f55310f1635fee5148a10acf496a97410849d3d9db1495f3 |
ISSN | 1225-9179 |
IngestDate | Tue Nov 21 21:43:33 EST 2023 Thu Feb 06 13:26:06 EST 2025 |
IsPeerReviewed | false |
IsScholarly | false |
Issue | 2 |
Keywords | PATTER 5< 유물 CENTURY 문양 PALEOECOLOGY SUP> 5세기 ARTIFACTS CRESTED IBIS TH< 따오기 고생태 |
Language | Korean |
LinkModel | OpenURL |
MergedId | FETCHMERGED-LOGICAL-n640-5547eb2ce5e2e83f3f55310f1635fee5148a10acf496a97410849d3d9db1495f3 |
Notes | https://doi.org/10.30980/kjo.2021.12.28.2.137 |
PageCount | 7 |
ParticipantIDs | nrf_kci_oai_kci_go_kr_ARTI_9909114 nurimedia_primary_NODE10897440 |
PublicationCentury | 2000 |
PublicationDate | 2021-12 |
PublicationDateYYYYMMDD | 2021-12-01 |
PublicationDate_xml | – month: 12 year: 2021 text: 2021-12 |
PublicationDecade | 2020 |
PublicationTitle | 한국조류학회지 |
PublicationYear | 2021 |
Publisher | 한국조류학회 한국조류학회II |
Publisher_xml | – name: 한국조류학회 – name: 한국조류학회II |
SSID | ssib006781561 ssib044738268 ssib001151869 |
Score | 1.7770321 |
Snippet | 본 논고는 5세기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되는 봉덕리 고분출토 유물 금동장식신발에 장식되어 있는 새 형태의 문양에 대하여 형태학적, 생태학적 검토를 통해 의 멸종위기종 적색목록 위급(CR, critically endangered) 단계이며, 우리나라 천연기념물 제 198호인... |
SourceID | nrf nurimedia |
SourceType | Open Website Publisher |
StartPage | 137 |
SubjectTerms | 생물학 |
Title | 봉덕리 고분에서 출토된 금동장식신발 새문양의 형태·생태학적 분석을 통한 천연기념물 따오기 동정 |
URI | https://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nodeId=NODE10897440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799092 |
Volume | 28 |
hasFullText | 1 |
inHoldings | 1 |
isFullTextHit | |
isPrint | |
ispartofPNX | 한국조류학회지, 2021, 28(2), , pp.137-143 |
link | http://utb.summon.serialssolutions.com/2.0.0/link/0/eLvHCXMwnV1Lb9NAELZKOcAFgQDxrCzEniIHv717tB1XpajlUkQ5RXa8RiUoQVVzgAMSaihFFaJIhLZSgnIATj1UPEoPnPg5tfMfmF3biVtVAnpx1vbO7Dczyc7MZh-CcFPWtMgIqSL5fk2TdJ-Gko8DHzrDUNOMMIw0PuA2M2tO3dOn5435sfFGYdZSayko154dua7kOFaFZ2BXtkr2Pyw7ZAoPoAz2hStYGK7_ZGPkOciBYJCwAq4gYrCCbSLbLSHPRo6GbJlXMhHWkeciYiEiswLcElbJZe-Ii7wKwmZWG2qQjAFGGHPmk4gQzsBDtsEZQL1KVsgakXOWWMvIbJexYGTQiMILgBKXWHMEc7wVVhsAuCpyrIyYMc6fe1ystHFoByulAwIxOSoZY6yXMjkcI6fLZFQ5Ky4_wEwlczhqbHCNpFhdzpzo_J3LINr6sHbpgCIAS3puZx7aD1vkBAayOSxbydoBrQG7kTRQsBHmoGwL4eG_RpyasAkoDICdI7GYoVV8v9mUHrTo4xI_BZuMiBxGxPgORXPZ1amwYaAFiS8iKTn8AJsCVfY9GILI7eIC1fSCNPWUgjNpHm4I2Co5upF6UnQN6Q6lkJfQek6VDSmpyqHpOcfTV8GJgo8AJ5oeElSm_JlqYFMycXoaZu55VVzoYdSCG1XSjYCyiExJN_I67Ow1mfDpsfVHbBGvqrBhfRWX1fKQ-sA-6rN3K54iY8J2xDwhnFQti0_rmHnujdIHCH-xOQrvIZBTCuu-dd3SIBvnq2tzEdNFgRzKraOAQMjaWIRI91SjxY7rgD6_EL7OnRXOZHmnaKedyDlhrN48L7yKv7-O33TiL9vi_rd-vNtONtaTdldMdruDlX683hX391bjt1vJx8_JWi9Z68c78HJ5Nd7eSz68S3qb4mCzM1ju_v6ZLPfgc9DZSvovRMao3Ut6bXGw8mPQAZKv3WRjZ39vJ365Hm__EuP3O8nmJ7gXGfN-54IwN-nNuVNSdjKL1DB1WYIUxKKBWqMGVSnWIujuwZXLEeR2RkQp5GDYV2S_FunE9EHhoHadhFpIwoANyETaRWG80WzQS4IIrsIHNQemGai6r_h-FGiQVIU6pKV-pNQuCzdAf9V6baHKNsJnnw-b1fpiFdL921UIpSFY0y8LE0P1Vp-ku_RUi_a-8rcKV4XTox_CNWF8abFFr0O2sRRM8K_IHxH--68 |
linkProvider | ISSN International Centre |
openUrl | ctx_ver=Z39.88-2004&ctx_enc=info%3Aofi%2Fenc%3AUTF-8&rfr_id=info%3Asid%2Fsummon.serialssolutions.com&rft_val_fmt=info%3Aofi%2Ffmt%3Akev%3Amtx%3Ajournal&rft.genre=article&rft.atitle=%EB%B4%89%EB%8D%95%EB%A6%AC+%EA%B3%A0%EB%B6%84%EC%97%90%EC%84%9C+%EC%B6%9C%ED%86%A0%EB%90%9C+%EA%B8%88%EB%8F%99%EC%9E%A5%EC%8B%9D%EC%8B%A0%EB%B0%9C+%EC%83%88%EB%AC%B8%EC%96%91%EC%9D%98+%ED%98%95%ED%83%9C%C2%B7%EC%83%9D%ED%83%9C%ED%95%99%EC%A0%81+%EB%B6%84%EC%84%9D%EC%9D%84+%ED%86%B5%ED%95%9C+%EC%B2%9C%EC%97%B0%EA%B8%B0%EB%85%90%EB%AC%BC+%EB%94%B0%EC%98%A4%EA%B8%B0+%EB%8F%99%EC%A0%95&rft.jtitle=%ED%95%9C%EA%B5%AD%EC%A1%B0%EB%A5%98%ED%95%99%ED%9A%8C%EC%A7%80&rft.au=%EA%B9%80%EC%9A%B0%EC%97%B4%28Woo-Yuel+Kim%29&rft.au=%EB%B9%99%EA%B8%B0%EC%B0%BD%28Gi-Chang+Bing%29&rft.au=%EC%84%9C%EC%A7%80%ED%98%9C%28Ji-Hye+Seo%29&rft.au=%EB%B0%B1%EC%9A%B4%EA%B8%B0%28Woon-Kee+Paek%29&rft.date=2021-12-01&rft.pub=%ED%95%9C%EA%B5%AD%EC%A1%B0%EB%A5%98%ED%95%99%ED%9A%8C&rft.issn=1225-9179&rft.eissn=2586-6893&rft.volume=28&rft.issue=2&rft.spage=137&rft.epage=143&rft_id=info:doi/10.30980%2Fkjo.2021.12.28.2.137&rft.externalDocID=NODE10897440 |
thumbnail_l |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lc.gif&issn=1225-9179&client=summon |
thumbnail_m |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mc.gif&issn=1225-9179&client=summon |
thumbnail_s |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sc.gif&issn=1225-9179&client=summ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