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 화자 수를 중심으로 본 학령전기 아동의 고빈도 용언

배경 및 목적: 이 연구는 사용 화자 수를 중심으로 학령전기 아동이 자발화에서 산출하는 고빈도 용언 목록을 제시하고, 그 특성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사용 빈도 중심의 어휘 빈도 자료는 단어의 총 사용량을 보여줄 수는 있지만, 얼마나 많은 화자가 그 단어를 사용하고 있는지에 대한 정보는 보여주지 못한다. 어휘 빈도는 대화자나 대화 주제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기 때문에 사용 빈도 외에 사용 화자 수의 관점에서도 어휘 빈도를 살펴볼 필요가 있다. 방법: 일반 발달 과정에 있는 2-5세 아동 각각 20명씩 총 80명의 27,...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언어치료연구 Vol. 23; no. 4; pp. 73 - 88
Main Authors 윤미선(Mi Sun Yoon), 차재은(Jae Eun Cha), 오재혁(Jea Hyuk Oh)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언어치료학회 01.12.2014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226-587X
2671-7158
DOI10.15724/jslhd.2014.23.4.007

Cover

Abstract 배경 및 목적: 이 연구는 사용 화자 수를 중심으로 학령전기 아동이 자발화에서 산출하는 고빈도 용언 목록을 제시하고, 그 특성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사용 빈도 중심의 어휘 빈도 자료는 단어의 총 사용량을 보여줄 수는 있지만, 얼마나 많은 화자가 그 단어를 사용하고 있는지에 대한 정보는 보여주지 못한다. 어휘 빈도는 대화자나 대화 주제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기 때문에 사용 빈도 외에 사용 화자 수의 관점에서도 어휘 빈도를 살펴볼 필요가 있다. 방법: 일반 발달 과정에 있는 2-5세 아동 각각 20명씩 총 80명의 27,485 발화, 65,783 어절에 대해 사용 화자 수를 기준으로 동사, 형용사, 보조 동사, 보조 형용사 어휘를 선정하여 용언 발달 양상을 고찰하고 구체적 목록을 제시한 후, 이를 빈도순 용언 목록과 비교하였다. 결과: (1) 2-5세의 각 연령대에서 50% 이상의 아동이 사용하는 동사와 형용사의 유형 수는 구간 별로 완만하게 증가하였으나. 50% 미만의 아동이 사용하는 용언의 유형 수는 급격히 증가하였다. 또한 사용 화자 비율 구간 모두에서 2-3세 사이에 유형 수의 증가가 두드러졌다. (2) 2-5세의 모든 연령대에서 사용 화자 수 90-100% 구간에 속하는 고빈도 동사는 ‘하다, 되다, 가다, 주다, 보다’, 고빈도 형용사는 ‘있다, 없다, 이렇다’, 보조 동사는 ‘보다, 주다’이다. 그러나 보조 형용사는 이 구간에 속하는 어휘가 없었으며, ‘싶다’가 3세-5세에 걸쳐 75~89%의 아동이 사용하여 사용 화자 수 비율이 가장 높았다. (3) 사용 화자 수 기준 고빈도 용언 목록과 출현 빈도 기준 고빈도 용언 목록은 대체로 유사하였으나, 차이가 있는 어휘들이 있었다. 논의 및 결론: 본 연구는 학령전기 아동이 사용하는 고빈도 용언의 양상을 사용 화자 수 기준으로 분석하고, 특정 용언의 연령별 이동 양상을 제시하여 용언 사용 능력 평가의 지표로 사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시사하였다. 또한 사용 화자 수 기준과 출현 빈도 기준의 용언 목록을 비교하여 기초 어휘 선정에서 두 가지 기준을 모두 고려할 것을 제안했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고빈도 용언 목록은 의사소통 장애 아동의 중재에서 목표 어휘 선정, 보완대체 의사소통의 어휘 선정에 유용한 기초 자료로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esent and analyse a list of high frequency predicates based on the frequency of use by speakers between 2 and 5 years of age. Existing lists of high frequency words show the total usage of words but it is difficult to say how many people use them. Lexical frequency needs to be looked at from the viewpoint of the number of speakers because lexical frequency can be affected by the interlocutor or the subject of conversation. Methods: (1) A total of 27,485 utterances (65,783 words) from 80 children (2-5 years old) were recorded and transcribed. High frequency verbs, adjectives, auxiliary verbs, and auxiliary adjectives were analysed based on the number of speakers who used those words. Results: The number of types of verbs and adjectives used by over 50% of all children increased slowly. Meanwhile those used by less than 50% increased rapidly. The predicates which 90-100% of the children used in all age groups were very limited: five verbs (hada, doeda, gada, juda, and boda), 3 adjectives (iss, eops, ireoh), and 2 auxiliary verbs (bo, ju). There were no auxiliary adjectives in this category. The list of high frequency predicates based on the frequency of speakers and based on the frequency of usage showed a generally similar result, although several words were different. Conclus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specific predicates could be used as the evaluation index for vocabulary development of preschoolers. The list of high frequency predicates presented in this study could be used for selection of vocabulary items in speech therapy and AAC intervention. KCI Citation Count: 3
AbstractList 배경 및 목적: 이 연구는 사용 화자 수를 중심으로 학령전기 아동이 자발화에서 산출하는 고빈도 용언 목록을 제시하고, 그 특성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사용 빈도 중심의 어휘 빈도 자료는 단어의 총 사용량을 보여줄 수는 있지만, 얼마나 많은 화자가 그 단어를 사용하고 있는지에 대한 정보는 보여주지 못한다. 어휘 빈도는 대화자나 대화 주제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기 때문에 사용 빈도 외에 사용 화자 수의 관점에서도 어휘 빈도를 살펴볼 필요가 있다. 방법: 일반 발달 과정에 있는 2-5세 아동 각각 20명씩 총 80명의 27,485 발화, 65,783 어절에 대해 사용 화자 수를 기준으로 동사, 형용사, 보조 동사, 보조 형용사 어휘를 선정하여 용언 발달 양상을 고찰하고 구체적 목록을 제시한 후, 이를 빈도순 용언 목록과 비교하였다. 결과: (1) 2-5세의 각 연령대에서 50% 이상의 아동이 사용하는 동사와 형용사의 유형 수는 구간 별로 완만하게 증가하였으나. 50% 미만의 아동이 사용하는 용언의 유형 수는 급격히 증가하였다. 또한 사용 화자 비율 구간 모두에서 2-3세 사이에 유형 수의 증가가 두드러졌다. (2) 2-5세의 모든 연령대에서 사용 화자 수 90-100% 구간에 속하는 고빈도 동사는 ‘하다, 되다, 가다, 주다, 보다’, 고빈도 형용사는 ‘있다, 없다, 이렇다’, 보조 동사는 ‘보다, 주다’이다. 그러나 보조 형용사는 이 구간에 속하는 어휘가 없었으며, ‘싶다’가 3세-5세에 걸쳐 75~89%의 아동이 사용하여 사용 화자 수 비율이 가장 높았다. (3) 사용 화자 수 기준 고빈도 용언 목록과 출현 빈도 기준 고빈도 용언 목록은 대체로 유사하였으나, 차이가 있는 어휘들이 있었다. 논의 및 결론: 본 연구는 학령전기 아동이 사용하는 고빈도 용언의 양상을 사용 화자 수 기준으로 분석하고, 특정 용언의 연령별 이동 양상을 제시하여 용언 사용 능력 평가의 지표로 사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시사하였다. 또한 사용 화자 수 기준과 출현 빈도 기준의 용언 목록을 비교하여 기초 어휘 선정에서 두 가지 기준을 모두 고려할 것을 제안했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고빈도 용언 목록은 의사소통 장애 아동의 중재에서 목표 어휘 선정, 보완대체 의사소통의 어휘 선정에 유용한 기초 자료로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esent and analyse a list of high frequency predicates based on the frequency of use by speakers between 2 and 5 years of age. Existing lists of high frequency words show the total usage of words but it is difficult to say how many people use them. Lexical frequency needs to be looked at from the viewpoint of the number of speakers because lexical frequency can be affected by the interlocutor or the subject of conversation. Methods: (1) A total of 27,485 utterances (65,783 words) from 80 children (2-5 years old) were recorded and transcribed. High frequency verbs, adjectives, auxiliary verbs, and auxiliary adjectives were analysed based on the number of speakers who used those words. Results: The number of types of verbs and adjectives used by over 50% of all children increased slowly. Meanwhile those used by less than 50% increased rapidly. The predicates which 90-100% of the children used in all age groups were very limited: five verbs (hada, doeda, gada, juda, and boda), 3 adjectives (iss, eops, ireoh), and 2 auxiliary verbs (bo, ju). There were no auxiliary adjectives in this category. The list of high frequency predicates based on the frequency of speakers and based on the frequency of usage showed a generally similar result, although several words were different. Conclus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specific predicates could be used as the evaluation index for vocabulary development of preschoolers. The list of high frequency predicates presented in this study could be used for selection of vocabulary items in speech therapy and AAC intervention. KCI Citation Count: 3
Author 차재은(Jae Eun Cha)
윤미선(Mi Sun Yoon)
오재혁(Jea Hyuk Oh)
Author_xml – sequence: 1
  fullname: 윤미선(Mi Sun Yoon)
– sequence: 2
  fullname: 차재은(Jae Eun Cha)
– sequence: 3
  fullname: 오재혁(Jea Hyuk Oh)
BackLink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1944732$$DAccess content in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NRF)
BookMark eNotjL9LAlEAgB9hkJn_QcNbGhruej_v3Y1iVoIllEPbcT_e1aWdcUdDazgIDRZkaFgY1BA4BC4K_kXe839Iyun7ho9vE2SiZiQB2MZIx1wQtneVNC59nSDMdEJ1piMk1kCWGAJrAnMzA7KYEEPjpjjfAPkkCV3EmGBccJwFx-p-pF6_4aL_rN4foWr30q8ZVJ9P6mGkBrP0YwDT8QQuuv10OFXD1nzyA1W3lXb66q0H5-NhOm2nnRZcPtTLZAusB04jkfkVc-DsoFQrHmmV6mG5WKhokcGQxqnwPN81PS-wXIwDKjkRhsWIxX0RWNJD1MXCNZFJOJWu6TtcSiQENZBE2KQ5sPt_jeLArnuh3XTCP1407XpsF05rZRsTSiyTL9udVXsbh9fSDx37ZilOfGefVPdLSHCCBUb0F1wnd8w
ContentType Journal Article
DBID DBRKI
TDB
ACYCR
DOI 10.15724/jslhd.2014.23.4.007
DatabaseName DBPIA - 디비피아
Nurimedia DBPIA Journals
Korean Citation Index
DatabaseTitleList
DeliveryMethod fulltext_linktorsrc
DocumentTitleAlternate High Frequency Predicates for Preschoolers Basedon the Frequency of Speakers
DocumentTitle_FL High Frequency Predicates for Preschoolers Based on the Frequency of Speakers
EISSN 2671-7158
EndPage 88
ExternalDocumentID oai_kci_go_kr_ARTI_1232985
NODE07521710
GroupedDBID ALMA_UNASSIGNED_HOLDINGS
DBRKI
M~E
TDB
ACYCR
ID FETCH-LOGICAL-n640-537ccdb8ccf9b11f3e527694295d7f9ec03b17b808253eb8da5ee077360e0183
ISSN 1226-587X
IngestDate Tue Nov 21 21:37:19 EST 2023
Thu Feb 06 13:15:07 EST 2025
IsPeerReviewed false
IsScholarly false
Issue 4
Keywords 고빈도 용언
AAC
frequency of speakers
사용 화자 중심 빈도
High frequency predicates
자발화
출현 유형 빈도
spontaneous speech
보완대체 의사소통
frequency of types
Language Korean
LinkModel OpenURL
MergedId FETCHMERGED-LOGICAL-n640-537ccdb8ccf9b11f3e527694295d7f9ec03b17b808253eb8da5ee077360e0183
Notes G704-000939.2014.23.4.010
PageCount 16
ParticipantIDs nrf_kci_oai_kci_go_kr_ARTI_1232985
nurimedia_primary_NODE07521710
PublicationCentury 2000
PublicationDate 2014-12
PublicationDateYYYYMMDD 2014-12-01
PublicationDate_xml – month: 12
  year: 2014
  text: 2014-12
PublicationDecade 2010
PublicationTitle 언어치료연구
PublicationYear 2014
Publisher 한국언어치료학회
Publisher_xml – name: 한국언어치료학회
SSID ssib044745751
ssib001106864
Score 1.5502164
Snippet 배경 및 목적: 이 연구는 사용 화자 수를 중심으로 학령전기 아동이 자발화에서 산출하는 고빈도 용언 목록을 제시하고, 그 특성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사용 빈도 중심의 어휘 빈도 자료는 단어의 총 사용량을 보여줄 수는 있지만, 얼마나 많은 화자가 그 단어를 사용하고 있는지에...
SourceID nrf
nurimedia
SourceType Open Website
Publisher
StartPage 73
SubjectTerms 교육학
Title 사용 화자 수를 중심으로 본 학령전기 아동의 고빈도 용언
URI https://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nodeId=NODE07521710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1944732
Volume 23
hasFullText 1
inHoldings 1
isFullTextHit
isPrint
ispartofPNX 언어치료연구, 2014, 23(4), , pp.73-88
link http://utb.summon.serialssolutions.com/2.0.0/link/0/eLvHCXMwnV3Na9RAFA9tPehFFBXrRwninEpqJplkZo6TbEoVWg9W6G1JslktK1upLYIHD9JDwUMVrLRSpYIehB6EXlroX9Sk_4PvTZJtWipUL2F48_Kb97Gb9-bbMO7LRHAZu7EF2UjXYiyNrTjtUitJ_E6c2lnGUpzRnZ7xp56yR3Pe3NDw6-bukqVkIn1z5r6S__Eq0MCvuEv2Hzw7AAUClMG_8AQPw_NcPiZRSIRDVIgFqYiCHn7UIlISyTQpItIe11yCSEGigCiPBKEmKUYk1XVBjRBCnWaiUB7HUuCSQJSgHuJipU0CqQFsIqAZBRwkKJsBJiQFRExqbqDAmwigEAreQEyJ4pRMgo0PZNcFH9CaCfOAWBe0YgBRqeMSUcrOQQbdjIfaOHjnHiTPrDHSUamotIBqssIEFmU3WQBGicp6lV1aRJxggbYVa7CgjqS8E6YeQaHs1GqU2oZhLWTrfKoNLN9CK4mwEUUgp7U8wefKIKtpjs-pxWl5Tn0VLcpLXOq8Q5wZ0TzuMAxpr148x4NtKZtw3Al94vtxBK9XLZwK7CeOEO-l8-1nC-3eYhs6Sg_bmElL4Q0bFxzO9fqG6bfRcR5NcefQ4EPNGGc4P4eDF7Vq1TZUFO_BGcJBqtZfhAzvYn8Zr6mAb10jbZu9Ylyu-lumKv88V42h3sI1Y7p4t1N8-WUebX4qvn0wi9WN_OeBWfz4WLzfKbYO8u9bZr67Zx6tb-bb-8X2yuHeb7NYX8nXNouvG-bh7na-v5qvrZiAUXzeu248mYxmwymrulfE6vvMtjyXp2knEWnalQmlXTfzHO5LSMy8Du_KLLXdhPJE4OCJmyWiE3tZZnPu-nZmQwS8YYz0F_rZTcPE4-06OBMu7YxJ6SXQXaFd6TA_5pTxZNS4B0bQpv-7C0aNsYGN2i_LI2baM49bESTzDoUOwK3zoNw2Lh3_tO8YI0uLy9ldSJeXkjHt2j-ympnS
linkProvider ISSN International Centre
openUrl ctx_ver=Z39.88-2004&ctx_enc=info%3Aofi%2Fenc%3AUTF-8&rfr_id=info%3Asid%2Fsummon.serialssolutions.com&rft_val_fmt=info%3Aofi%2Ffmt%3Akev%3Amtx%3Ajournal&rft.genre=article&rft.atitle=%EC%82%AC%EC%9A%A9+%ED%99%94%EC%9E%90+%EC%88%98%EB%A5%BC+%EC%A4%91%EC%8B%AC%EC%9C%BC%EB%A1%9C+%EB%B3%B8+%ED%95%99%EB%A0%B9%EC%A0%84%EA%B8%B0+%EC%95%84%EB%8F%99%EC%9D%98+%EA%B3%A0%EB%B9%88%EB%8F%84+%EC%9A%A9%EC%96%B8&rft.jtitle=%EC%96%B8%EC%96%B4%EC%B9%98%EB%A3%8C%EC%97%B0%EA%B5%AC%2C+23%284%29&rft.au=%EC%9C%A4%EB%AF%B8%EC%84%A0&rft.au=%EC%B0%A8%EC%9E%AC%EC%9D%80&rft.au=%EC%98%A4%EC%9E%AC%ED%98%81&rft.date=2014-12-01&rft.pub=%ED%95%9C%EA%B5%AD%EC%96%B8%EC%96%B4%EC%B9%98%EB%A3%8C%ED%95%99%ED%9A%8C&rft.issn=1226-587X&rft.eissn=2671-7158&rft.spage=73&rft.epage=88&rft_id=info:doi/10.15724%2Fjslhd.2014.23.4.007&rft.externalDBID=n%2Fa&rft.externalDocID=oai_kci_go_kr_ARTI_1232985
thumbnail_l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lc.gif&issn=1226-587X&client=summon
thumbnail_m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mc.gif&issn=1226-587X&client=summon
thumbnail_s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sc.gif&issn=1226-587X&client=summ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