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르코프체인 모형 및 GIS 분석을 이용한 신혼부부 가구의 지역별 이동특성과 공간적 분포 변화 예측 분석

최근 저출산·고령화 현상으로 사회·경제적 문제와 인구구조의 변화를 겪고 있는 상황에서 1인 가구는 증가추세를 보이고 있으며, 신혼부부가구는 지속적으로 감소추세를 보이고 있다. 특히, 전국 신혼부부가구는 2015년 1,471,647가구에서 2017년 1,379,766가구로 약 6.2% 감소하였으며, 수도권과 비수도권의 시도 간 신혼부부 이동현상도 다양하게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신혼부부감소와 이동현상의 원인은 다양하겠지만 경제적인 측면과 주거불안정 등이 주요 원인으로 논의되고 있으며, 그중에서도 주거복지 측면이 강조되고 있다. 정부는...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국토계획 Vol. 54; no. 4; pp. 5 - 16
Main Authors 정기성(Jeong, Kiseong), 김병석(Kim, Byung-Suk)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01.08.2019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226-7147
2383-9171
DOI10.17208/jkpa.2019.08.54.4.5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최근 저출산·고령화 현상으로 사회·경제적 문제와 인구구조의 변화를 겪고 있는 상황에서 1인 가구는 증가추세를 보이고 있으며, 신혼부부가구는 지속적으로 감소추세를 보이고 있다. 특히, 전국 신혼부부가구는 2015년 1,471,647가구에서 2017년 1,379,766가구로 약 6.2% 감소하였으며, 수도권과 비수도권의 시도 간 신혼부부 이동현상도 다양하게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신혼부부감소와 이동현상의 원인은 다양하겠지만 경제적인 측면과 주거불안정 등이 주요 원인으로 논의되고 있으며, 그중에서도 주거복지 측면이 강조되고 있다. 정부는 이와 같은 상황에서 맞춤형 공공임대주택 공급 등 다양한 지원 노력을 기울이고 있으나 신혼부부의 시도별 공간적 분포변화를 예측하고 이를 바탕으로 계획수립 및 공급이 이루어진다는 점에서는 미흡한 점을 보이고 있다. 특히, 공간적 분포변화 예측이 이루어지지 않은 상황에서 주택공급이 이루어진다면 해당 도시의 기반시설과 신규주택 미분양 같은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신혼부부의 이동특성 및 공간적 분포변화를 예측하는것은 중요하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배경하에 본 연구는 시도별 신혼부부가구의 이동 및 분포특성을 분석하고, 지역별 장래 분포변화를 예측하며,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해GIS 네트워크 분석(network analysis)과 사회적 네트워크 분석기법(social network analysis, SNA)인 연결 중심성 분석(degree centrality analysis)을 통해 지역별 신혼부부의 공간적 특성과 이동 패턴을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정상 마르코프 체인(stationary Markov chain) 모형의 채프만-콜모고로프 방정식을 이용하여시도별 신혼부부의 공간적 장래 분포변화를 파악하고자 한다. 또한,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정책 방향을 모색하고자 한다. This study aims to predict the changes in spatial distribution and spatial characteristics of newlyweds households in Korea by applying Markov Chain Chapman-Kolmogorov Model and GIS analysis. To do the purpose, the research analyzes the migration pattern and examines the transition probability based on the households’ migration data(2015-2016). Also the pattern and distribution and migration data were analyzed by using an ArcGIS program. Finally, the Chapman-Kolmogorov equation with the transition probability was applied to predict the changes in the regional distribution and pattern of migration for the next five years(2018-2022). The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number of newlywed households has been nationally shrinking. Second, in the capital area, it is predicted that the influx of newlywed households into the Gyeonggi Province area will continue while the population outflow phenomenon in Seoul will simultaneously continue. Third, the portion of newlyweds in the Chuncheong provinces(Sejong, Daejeon, and Chungcheong) and Jeju is predicted to increase gradually, while the portion in Busan, Ulsan and Gwangju is expected to decrease. In particular, the rise of newlyweds in Sejong and Jeju is remarkable and appropriate policy countermeasures need to be taken for the phenomenon. KCI Citation Count: 5
ISSN:1226-7147
2383-9171
DOI:10.17208/jkpa.2019.08.54.4.5